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기간 하(寄簡下)
  • 혜자가 동계를 지났다는 이야기를 듣다[聞惠子過東溪]
메뉴닫기 메뉴열기

혜자가 동계를 지났다는 이야기를 듣다[聞惠子過東溪]


惠子 주001)
혜자(惠子)
본명은 혜시(惠施), 양(梁)나라의 재상을 지낸 인물. 장자(莊子)와 매우 막역한 사이였다고 한다. 장자는 혜자를 교묘한 논법을 전개한 궤변론자로 보고, 그 재능을 아까워하고 있다.
過東溪
주002)
문혜자과동계(聞惠子過東溪)
혜자가 동계를 지났다는 이야기를 듣다. 이 시가 언제 지어진 것인지는 자세치 않다.

문혜자과동계
(혜자가 동계를 지났다는 이야기를 듣다)

惠子白驢瘦 歸溪唯病身

惠子의 주003)
혜자(惠子)의
혜자(惠子)+의(관형격 조사). 혜자의. 혜자(惠子)는 본명이 혜시(惠施)로, 양(梁)나라의 재상을 지낸 인물이다.
 나귀 주004)
 나귀
[白]-+-ㄴ(관형사형 어미)#나귀(驢). 흰 나귀. 흰 당나귀. 당나귀는 말과 비슷한데, 몸은 작고, 앞머리의 긴 털이 없으며, 귀가 길다.
여위니 주005)
여위니
여위[瘦(수)]-+-니(연결 어미). 여위니. 살이 빠지니.
시내로 가매 주006)
가매
가[去, 歸]-+-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감에. 가는데.
오직 病 주007)
병(病)
병(病)+-(동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병든.
모미로다 주008)
모미로다
몸[身]#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몸이로다.

【한자음】 혜자백려수 귀계유병신
【언해역】 혜자(惠子)의 흰 당나귀 살이 여위니, 시내로 가는데 오직 병든 몸이로다.

皇天無老眼 空谷滯斯人

큰 하히 주009)
큰 하히
크[大, 皇]-+-ㄴ(관형사형 어미)#하ㅎ[天]+이(주격 조사). 큰 하늘이.
늘근 주010)
늘근
늙[老]-+-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늙은.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34ㄴ

누니 주011)
누니
눈[眼]+이(주격 조사). 눈이.
업서 주012)
업서
없[無]-+-어(연결 어미). 없어.
주013)
큰 하히 늘근 누니 업서
큰 하늘이 늙은 눈이 없어. ‘큰 하늘이’와 ‘늙은 눈이’가 ‘이/가’를 가진 중주어 혹은 주격 중출 문장이다. ‘큰 하늘이’의 ‘이’는 주제 표지이다.
주014)
뷔[空]-+-ㄴ(관형사형 어미). 빈. 비어 있는.
묏고래 주015)
묏고래
뫼[山]+ㅅ(관형격 조사)#골[谷]+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산의 골짜기에. 산골짜기에.
이 사미 주016)
이 사미
이[此, 斯]#사[人]+이(주격 조사). 이 사람이.
머므렛도다 주017)
머므렛도다
머믈[滯]-+-어(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머물러 있도다.

【한자음】 황천무로안 공곡체사인
【언해역】 큰 하늘이 늙은 눈이 없어, 빈 산골짜기에 이 사람이 머물러 있도다.

崖蜜松花老 山柸竹葉春【松花熟은 言蜂이 採松花야 作蜜於崖石也ㅣ라 竹葉은 用竹葉釀酒也ㅣ니라】

비러옛 주018)
비러옛
비레[崖(애)]+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벼랑에의. 벼랑의. 원문의 ‘비러’는 ‘비레’의 오기로 여겨진다. 처격 조사가 ‘예’로 된 것은 앞의 명사가 ‘ㅣ’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른 주019)
른
[蜜]+은(보조사). 꿀은.
소나못 고지 주020)
소나못 고지
솔[松]#나모[木]+ㅅ(관형격 조사)#곶[花]+이(주격 조사). 소나무의 꽃이. 소나무꽃이.
닉고 주021)
닉고
닉[熟]-+-고(연결 어미). 익고.
뫼햇 주022)
뫼햇
뫼ㅎ[山]+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산에의. 산의.
숤잔은 주023)
숤잔은
술[酒]+ㅅ(관형격 조사)#잔[杯]+은(보조사). 술의 잔은. 술잔은. 원문의 ‘배(柸)’는 ‘배(杯)’의 잘못으로 여겨진다.
댓 주024)
댓
대[竹]+ㅅ(관형격 조사)#[米]+ㅅ(관형격 조사). 대나무 쌀의. ‘댓’은 ‘댓닚’의 잘못으로 여겨진다. 원문은 ‘죽엽(竹葉)’인데, 언해는 ‘죽미(竹米)’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나무쌀’은 존재하지 않는다.
보미로다 주025)
보미로다
봄[春]#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봄이로다.

【한자음】 애밀송화로 산배죽엽춘【송화숙(松花熟)은 벌이 소나무꽃을 따서, 절벽의 돌에 꿀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죽엽(竹葉)은 대나무잎을 써서 술을 빚는 것이다.】
【언해역】 벼랑의 꿀은 소나무의 꽃이 익고, 산의 술잔은 댓잎의 봄이로다.

柴門了生事 黃綺未稱臣【言惠子之隱이 如四皓 주026)
사호(四皓)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시황 때에 난리를 피하여 섬서성(陝西省) 상산(商山)에 들어가 숨은 네 사람을 말한다. 이들은 동원공(東園公), 기리계(綺里季), 하황공(夏黃公), 각리선생(角里先生)을 이른다. ‘사호(四皓)’의 ‘호(皓)’는 본래 희다는 뜻으로, 이들이 모두 눈썹과 수염이 흰 노인이었다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也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柴門에셔 주027)
시문(柴門)에셔
시문(柴門)+에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사립문에서.
사 주028)
사
살[生]-+-(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사는.
이 주029)
이
일[事]+(대격 조사). 일을.
주030)
시문(柴門)에셔 사 이
사립문에서 사는 일을. ‘사립문에서 사는 것’은 벼슬을 하지 않고 사는 것을 가리킨다. 은둔 생활을 말한다.
리로소니 주031)
리로소니
ᄆᆞᆾ[了(료)]-+-ᄋᆞ(조음소)-+-ㄹ(미래 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소니(연결 어미). 마칠 것이로소니. 마칠 것이니.
黃綺 주032)
황기(黃綺)ㅣ
황기(黃綺)+이(주격 조사). 황기가. 황기는 동원공(東園公), 기리계(綺里季), 하황공(夏黃公), 각리선생(角里先生)의 사호(四皓)를 이르는 것으로 여겨진다.
臣下ㅣ로라 주033)
신하(臣下)ㅣ로라
신하(臣下)#이(지정 형용사)-+-로(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신하이로라. 신하이라. ‘-로-’는 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 ‘-오-’의 이형태로, 지정 형용사 ‘이-’의 어원이 ‘*일-’이었기 때문에, ‘이오-’가 ‘이로-’가 된 것이다.
일디 주034)
일디
일[稱]-+-디(연결 어미). 일컫지.
아니니라 주035)
아니니라
아니[不, 未]+-(동사 파생 접미사)-+-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아니한 것이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시문료생사 황기미칭신혜자의 은둔이 사호(四皓)와 같음을 말한다.】
【언해역】 사립문에서 사는 일을 마칠 것이로소니, 황기
(이는 동원공(東園公), 기리계(綺里季), 하황공(夏黃公), 각리선생(角里先生) 등의 사호(四皓)를 이르는 것으로 여겨진다)
가 신하로라 일컫지 아니한 것이다.
Ⓒ 역자 | 임홍빈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혜자(惠子) : 본명은 혜시(惠施), 양(梁)나라의 재상을 지낸 인물. 장자(莊子)와 매우 막역한 사이였다고 한다. 장자는 혜자를 교묘한 논법을 전개한 궤변론자로 보고, 그 재능을 아까워하고 있다.
주002)
문혜자과동계(聞惠子過東溪) : 혜자가 동계를 지났다는 이야기를 듣다. 이 시가 언제 지어진 것인지는 자세치 않다.
주003)
혜자(惠子)의 : 혜자(惠子)+의(관형격 조사). 혜자의. 혜자(惠子)는 본명이 혜시(惠施)로, 양(梁)나라의 재상을 지낸 인물이다.
주004)
 나귀 : [白]-+-ㄴ(관형사형 어미)#나귀(驢). 흰 나귀. 흰 당나귀. 당나귀는 말과 비슷한데, 몸은 작고, 앞머리의 긴 털이 없으며, 귀가 길다.
주005)
여위니 : 여위[瘦(수)]-+-니(연결 어미). 여위니. 살이 빠지니.
주006)
가매 : 가[去, 歸]-+-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감에. 가는데.
주007)
병(病) : 병(病)+-(동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병든.
주008)
모미로다 : 몸[身]#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몸이로다.
주009)
큰 하히 : 크[大, 皇]-+-ㄴ(관형사형 어미)#하ㅎ[天]+이(주격 조사). 큰 하늘이.
주010)
늘근 : 늙[老]-+-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늙은.
주011)
누니 : 눈[眼]+이(주격 조사). 눈이.
주012)
업서 : 없[無]-+-어(연결 어미). 없어.
주013)
큰 하히 늘근 누니 업서 : 큰 하늘이 늙은 눈이 없어. ‘큰 하늘이’와 ‘늙은 눈이’가 ‘이/가’를 가진 중주어 혹은 주격 중출 문장이다. ‘큰 하늘이’의 ‘이’는 주제 표지이다.
주014)
뷘 : 뷔[空]-+-ㄴ(관형사형 어미). 빈. 비어 있는.
주015)
묏고래 : 뫼[山]+ㅅ(관형격 조사)#골[谷]+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산의 골짜기에. 산골짜기에.
주016)
이 사미 : 이[此, 斯]#사[人]+이(주격 조사). 이 사람이.
주017)
머므렛도다 : 머믈[滯]-+-어(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머물러 있도다.
주018)
비러옛 : 비레[崖(애)]+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벼랑에의. 벼랑의. 원문의 ‘비러’는 ‘비레’의 오기로 여겨진다. 처격 조사가 ‘예’로 된 것은 앞의 명사가 ‘ㅣ’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주019)
른 : [蜜]+은(보조사). 꿀은.
주020)
소나못 고지 : 솔[松]#나모[木]+ㅅ(관형격 조사)#곶[花]+이(주격 조사). 소나무의 꽃이. 소나무꽃이.
주021)
닉고 : 닉[熟]-+-고(연결 어미). 익고.
주022)
뫼햇 : 뫼ㅎ[山]+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산에의. 산의.
주023)
숤잔은 : 술[酒]+ㅅ(관형격 조사)#잔[杯]+은(보조사). 술의 잔은. 술잔은. 원문의 ‘배(柸)’는 ‘배(杯)’의 잘못으로 여겨진다.
주024)
댓 : 대[竹]+ㅅ(관형격 조사)#[米]+ㅅ(관형격 조사). 대나무 쌀의. ‘댓’은 ‘댓닚’의 잘못으로 여겨진다. 원문은 ‘죽엽(竹葉)’인데, 언해는 ‘죽미(竹米)’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나무쌀’은 존재하지 않는다.
주025)
보미로다 : 봄[春]#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봄이로다.
주026)
사호(四皓)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시황 때에 난리를 피하여 섬서성(陝西省) 상산(商山)에 들어가 숨은 네 사람을 말한다. 이들은 동원공(東園公), 기리계(綺里季), 하황공(夏黃公), 각리선생(角里先生)을 이른다. ‘사호(四皓)’의 ‘호(皓)’는 본래 희다는 뜻으로, 이들이 모두 눈썹과 수염이 흰 노인이었다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주027)
시문(柴門)에셔 : 시문(柴門)+에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사립문에서.
주028)
사 : 살[生]-+-(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사는.
주029)
이 : 일[事]+(대격 조사). 일을.
주030)
시문(柴門)에셔 사 이 : 사립문에서 사는 일을. ‘사립문에서 사는 것’은 벼슬을 하지 않고 사는 것을 가리킨다. 은둔 생활을 말한다.
주031)
리로소니 : ᄆᆞᆾ[了(료)]-+-ᄋᆞ(조음소)-+-ㄹ(미래 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소니(연결 어미). 마칠 것이로소니. 마칠 것이니.
주032)
황기(黃綺)ㅣ : 황기(黃綺)+이(주격 조사). 황기가. 황기는 동원공(東園公), 기리계(綺里季), 하황공(夏黃公), 각리선생(角里先生)의 사호(四皓)를 이르는 것으로 여겨진다.
주033)
신하(臣下)ㅣ로라 : 신하(臣下)#이(지정 형용사)-+-로(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신하이로라. 신하이라. ‘-로-’는 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 ‘-오-’의 이형태로, 지정 형용사 ‘이-’의 어원이 ‘*일-’이었기 때문에, ‘이오-’가 ‘이로-’가 된 것이다.
주034)
일디 : 일[稱]-+-디(연결 어미). 일컫지.
주035)
아니니라 : 아니[不, 未]+-(동사 파생 접미사)-+-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아니한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