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기간 하(寄簡下)
  • 잠참 보궐이 준 것을 보고 받들어 답한다[奉答岑參補闕見贈]
메뉴닫기 메뉴열기

잠참 보궐이 준 것을 보고 받들어 답한다[奉答岑參補闕見贈]


奉答 주001)
봉답(奉答)
받들어 답한다.
岑參 주002)
잠참(岑參)
성당(盛唐)의 시인(715~770). 호북성(湖北省) 강릉(江陵) 출생. 태종(太宗) 때의 재상 잠문본(岑文本)의 증손. 안서(安西: 신강성 토로번(吐魯番) 근처) 절도사의 서기관으로서 두 번에 걸쳐 북서 변경 요새의 사막지대에 종군한 일이 있다.
補闕 주003)
보궐(補闕)
직명으로, 아랫사람으로서 윗사람의 잘못된 일이나, 관리가 된 자로서 임금의 과오를 도와 바르게 인도하는 직책.
見贈
주004)
봉답잠참보궐견증(奉答岑參補闕見贈)
잠참 보궐이 준 것을 보고 받들어 답한다. 이 시는 건원(乾元) 원년(758) 봄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좌습유의 직에 있었다. 잠참(岑參)은 두보의 시우(詩友)로, 봉상(鳳翔)에 있을 때에는 두보의 추천에 의하여 우보궐(右補闕)의 직책을 맡았다. 좌보궐은 문하성에 속하고, 우보궐은 중서성에 속한다. 이 시는 잠참이 두보에게 준 시에 대한 답이다.

봉답잠참보궐견증
(잠참 보궐이 준 것을 보고 받들어 답한다)

窈窕淸禁闕 罷朝歸不同【窈窕 深邃也ㅣ라】

기픈 주005)
기픈
깊[深, 深邃(심수)]-+-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깊은.
 주006)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맑은.
禁闕에 주007)
금궐(禁闕)에
금궐(禁闕)+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궁궐에.
朝會 주008)
조회(朝會)
대궐의 모든 문무백관들이 함께 정전에 모여 임금에게 문안드리고 정사를 아뢰던 일. 초하루와 보름날 아침에 모든 문무백관들이 임금에게 문안을 드리고 결재를 받던 큰 조회를 대조(大朝)라 하고, 한 달에 네 번 중앙에 있는 문무백관이 정전(正殿)에 모여 임금에게 문안을 드리고 정사(政事)를 아뢰던 조회를 조참(朝參)이라 하였다. 의정(議政)을 비롯한 중신(重臣)과 시종관(侍從官)이 매일 편전(便殿)에서 임금에게 정사를 아뢰던 것은 상참(常參)이라 하였다.
고 주009)
고
[罷]-+-고(연결 어미). 마치고.
도라오 주010)
도라오
돌[回, 歸]-+-아(연결 어미)#오[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돌아옴을. 돌아오는 것을.
 주011)

[一, 同]#[處]. 한데. 함께. 같이.
몯호라 주012)
몯호라
몯[不能]+-(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못하는구나. 못하도다.

【한자음】 요조청금궐 파조귀부동【요조는 깊은 것이다.】
【언해역】 깊은 맑은 궁궐(宮闕)에 조회(朝會) 마치고 돌아오는 것을 같이 못하는구나.

君隨丞相後 我在日華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15ㄱ

【日華 含元殿 前門이니 東有門下省니라】

그듸 주013)
그듸
그듸[君]+(보조사). 그대는.
丞相의 주014)
승상(丞相)의
승상(丞相)+의(관형격 조사). 승상의. 승상(丞相)은 옛 중국의 벼슬로, 우리나라의 정승(政丞)에 해당한다.
뒤흘 좃고 주015)
뒤흘 좃고
뒤ㅎ[後]+을(대격 조사)#좇[隨]-+-고(연결 어미). 뒤를 좇고.
나 日華ㅅ 주016)
일화(日華)ㅅ
일화(日華)+ㅅ(관형사형 어미). 일화(日華)의. 일화는 함원전의 앞문이라는 것이 할주의 풀이이다. 함원전 동쪽에 문하성이 있다고 하였는데, 문하성은 두보가 근무한 곳이다.
東녀긔 주017)
동(東)녀긔
동(東)#녁[方] +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동녘에. 동쪽에.
잇노라 주018)
잇노라
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있노라. 있도다. 있는도다.

【한자음】 군수승상후 아재일화동【일화(日華)는 함원전 앞문이니 동쪽에 문하성이 있는 것이다.】
【언해역】 그듸 승상(丞相)의 뒤를 좇고, 나는 일화(日華) 문의 동쪽에 있노라.

冉冉柳枝碧 娟娟花蘂紅

어른어른 주019)
어른어른
어른어른[冉冉]+-(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어른어른하는. 원문의 ‘염염(冉冉)’의 ‘염(冉)’은 ‘나아가다, 부드럽다, 침범하다’ 등을 뜻한다. ‘염염’은 ‘부드럽고 부드럽다’ 혹은 ‘칭칭 늘어진’ 정도의 뜻이다. 언해의 ‘어른어른하다’는 보이다 말다 하는 뜻 외에 자꾸 크게 움직이는 모양을 나타낸다.
버듨 가지 주020)
가지
가지[枝]+(보조사). 가지는.
프르고 주021)
프르고
프르[靑, 碧]-+-고(연결 어미). 푸르고.
고온 주022)
고온
곱[麗, 娟娟]-+-(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고운. ‘곱’이 ‘고온’이 된 것은 ‘ㅂ’이 [w]로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것을 보여 준다.
곳부리 주023)
곳부리
곳[花]#부리[花冠]+(보조사). 꽃부리는. 꽃부리는 꽃 한 송이의 꽃잎 전체를 이르기도 한다. 꽃받침과 함께 꽃술을 보호한다. 꽃잎이 하나씩 갈라져 있는 것을 갈래꽃부리, 유합해 있는 것을 통꽃부리라고 한다. 시의 원문에 있는 한자는 ‘화예(花蕊)’라는 것인데, 이는 ‘꽃술’에 해당한다. 언해자는 ‘꽃술’을 ‘꽃부리’로 번역하였다.
븕도다 주024)
븕도다
븕[赤, 紅]-+-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붉도다. ‘-도다’ 전체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한자음】 염염류지벽 연연화예홍
【언해역】 어른어른하는 버들가지는 푸르고, 고운 꽃부리는 붉도다.

故人得佳句 獨贈白頭翁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故人이 주025)
고인(故人)이
고인(故人)+이(주격 조사). 사귄지 오랜 친구가. 오랜 친구가.
됴 주026)
됴
둏[好, 佳]-+-(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좋은.
긄句 주027)
긄구(句)
글[文, 詩]+ㅅ(관형사형 어미)#구(句)+(대격 조사). 글귀를.
어더 주028)
어더
얻[得]-+-어(연결 어미). 얻어.
올로 주029)
올로
홀로. ‘올로’는 ‘로’가 변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머리 셴 주030)
머리 셴
머리[髮]#셰[白]-+-ㄴ(관형사형 어미). 머리 센. 머리가 센.
한아비 주031)
한아비
하[大]-+-ㄴ(관형사형 어미)#아비[父]+(보조사). 할아비를. ‘’을 보조사로 본 것은 ‘한아비’이 ‘할아비에게’로 풀이되는 구성이기 때문이다.
주다 주032)
주다
주[賜, 與, 贈]-+-(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준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고인득가구 독증백두옹
【언해역】 오랜 친구가 좋은 글귀를 얻어, 홀로 머리 센 할아비를 준다.
Ⓒ 역자 | 임홍빈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봉답(奉答) : 받들어 답한다.
주002)
잠참(岑參) : 성당(盛唐)의 시인(715~770). 호북성(湖北省) 강릉(江陵) 출생. 태종(太宗) 때의 재상 잠문본(岑文本)의 증손. 안서(安西: 신강성 토로번(吐魯番) 근처) 절도사의 서기관으로서 두 번에 걸쳐 북서 변경 요새의 사막지대에 종군한 일이 있다.
주003)
보궐(補闕) : 직명으로, 아랫사람으로서 윗사람의 잘못된 일이나, 관리가 된 자로서 임금의 과오를 도와 바르게 인도하는 직책.
주004)
봉답잠참보궐견증(奉答岑參補闕見贈) : 잠참 보궐이 준 것을 보고 받들어 답한다. 이 시는 건원(乾元) 원년(758) 봄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좌습유의 직에 있었다. 잠참(岑參)은 두보의 시우(詩友)로, 봉상(鳳翔)에 있을 때에는 두보의 추천에 의하여 우보궐(右補闕)의 직책을 맡았다. 좌보궐은 문하성에 속하고, 우보궐은 중서성에 속한다. 이 시는 잠참이 두보에게 준 시에 대한 답이다.
주005)
기픈 : 깊[深, 深邃(심수)]-+-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깊은.
주006)
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맑은.
주007)
금궐(禁闕)에 : 금궐(禁闕)+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궁궐에.
주008)
조회(朝會) : 대궐의 모든 문무백관들이 함께 정전에 모여 임금에게 문안드리고 정사를 아뢰던 일. 초하루와 보름날 아침에 모든 문무백관들이 임금에게 문안을 드리고 결재를 받던 큰 조회를 대조(大朝)라 하고, 한 달에 네 번 중앙에 있는 문무백관이 정전(正殿)에 모여 임금에게 문안을 드리고 정사(政事)를 아뢰던 조회를 조참(朝參)이라 하였다. 의정(議政)을 비롯한 중신(重臣)과 시종관(侍從官)이 매일 편전(便殿)에서 임금에게 정사를 아뢰던 것은 상참(常參)이라 하였다.
주009)
고 : [罷]-+-고(연결 어미). 마치고.
주010)
도라오 : 돌[回, 歸]-+-아(연결 어미)#오[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돌아옴을. 돌아오는 것을.
주011)
 : [一, 同]#[處]. 한데. 함께. 같이.
주012)
몯호라 : 몯[不能]+-(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못하는구나. 못하도다.
주013)
그듸 : 그듸[君]+(보조사). 그대는.
주014)
승상(丞相)의 : 승상(丞相)+의(관형격 조사). 승상의. 승상(丞相)은 옛 중국의 벼슬로, 우리나라의 정승(政丞)에 해당한다.
주015)
뒤흘 좃고 : 뒤ㅎ[後]+을(대격 조사)#좇[隨]-+-고(연결 어미). 뒤를 좇고.
주016)
일화(日華)ㅅ : 일화(日華)+ㅅ(관형사형 어미). 일화(日華)의. 일화는 함원전의 앞문이라는 것이 할주의 풀이이다. 함원전 동쪽에 문하성이 있다고 하였는데, 문하성은 두보가 근무한 곳이다.
주017)
동(東)녀긔 : 동(東)#녁[方] +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동녘에. 동쪽에.
주018)
잇노라 : 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있노라. 있도다. 있는도다.
주019)
어른어른 : 어른어른[冉冉]+-(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어른어른하는. 원문의 ‘염염(冉冉)’의 ‘염(冉)’은 ‘나아가다, 부드럽다, 침범하다’ 등을 뜻한다. ‘염염’은 ‘부드럽고 부드럽다’ 혹은 ‘칭칭 늘어진’ 정도의 뜻이다. 언해의 ‘어른어른하다’는 보이다 말다 하는 뜻 외에 자꾸 크게 움직이는 모양을 나타낸다.
주020)
가지 : 가지[枝]+(보조사). 가지는.
주021)
프르고 : 프르[靑, 碧]-+-고(연결 어미). 푸르고.
주022)
고온 : 곱[麗, 娟娟]-+-(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고운. ‘곱’이 ‘고온’이 된 것은 ‘ㅂ’이 [w]로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것을 보여 준다.
주023)
곳부리 : 곳[花]#부리[花冠]+(보조사). 꽃부리는. 꽃부리는 꽃 한 송이의 꽃잎 전체를 이르기도 한다. 꽃받침과 함께 꽃술을 보호한다. 꽃잎이 하나씩 갈라져 있는 것을 갈래꽃부리, 유합해 있는 것을 통꽃부리라고 한다. 시의 원문에 있는 한자는 ‘화예(花蕊)’라는 것인데, 이는 ‘꽃술’에 해당한다. 언해자는 ‘꽃술’을 ‘꽃부리’로 번역하였다.
주024)
븕도다 : 븕[赤, 紅]-+-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붉도다. ‘-도다’ 전체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주025)
고인(故人)이 : 고인(故人)+이(주격 조사). 사귄지 오랜 친구가. 오랜 친구가.
주026)
됴 : 둏[好, 佳]-+-(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좋은.
주027)
긄구(句) : 글[文, 詩]+ㅅ(관형사형 어미)#구(句)+(대격 조사). 글귀를.
주028)
어더 : 얻[得]-+-어(연결 어미). 얻어.
주029)
올로 : 홀로. ‘올로’는 ‘로’가 변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주030)
머리 셴 : 머리[髮]#셰[白]-+-ㄴ(관형사형 어미). 머리 센. 머리가 센.
주031)
한아비 : 하[大]-+-ㄴ(관형사형 어미)#아비[父]+(보조사). 할아비를. ‘’을 보조사로 본 것은 ‘한아비’이 ‘할아비에게’로 풀이되는 구성이기 때문이다.
주032)
주다 : 주[賜, 與, 贈]-+-(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