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기간 하(寄簡下)
  • 당흥에서 유주부(劉主簿)의 동생을 만나다[逢唐興劉主簿弟]
메뉴닫기 메뉴열기

당흥에서 유주부(劉主簿)의 동생을 만나다[逢唐興劉主簿弟]


唐興 주001)
당흥(唐興)
당나라 때의 현(縣) 이름. 지금의 사천성 봉계(蓬溪)에 해당한다.
劉主簿 주002)
유주부(劉主簿)
생애가 밝혀져 있지 않다. 주부(主簿)는 관명으로, 문서를 담당하여 처리하는 변리(辨理) 사무의 일을 담당하는 직책이다.
주003)
봉당흥유주부제(逢唐興劉主簿弟)
당흥에서 유주부(劉主簿)의 동생을 만나다. 이 시는 상원(上元) 2년(761)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시는 만나고 헤어지는 정을 서술하고, 처지가 불행하여 안착하지 못하고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한탄하고 있다.

봉당흥류주부제
(당흥에서 유주부(劉主簿)의 동생을 만나다)

分手開元末 連年絶尺書

開元ㅅ 주004)
개원(開元)ㅅ
개원(開元)+ㅅ(관형격 조사). 개원의. 개원(開元)은 중국 당나라 현종 때의 연호(713~741)이다.
그테 주005)
그테
긑[末]+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끝에.
소 주006)
소
손[手]+(대격 조사). 손을.
호니 주007)
호니
호[分]-+-니(연결 어미). 나누니.
주008)
소 호니
손을 나누니. 헤어지니.
자맛 주009)
자맛
자[尺]+-마(보조사)+ㅅ(관형격 조사). 자만한. 한 자 정도 되는. 얼마 안 되는. 자[尺]는 30.3cm이므로, ‘자맛’은 그만한 정도의 크기를 말한다. ¶녀르멘 자맛 해도 벌에 다 이실 목숨 護持논 젼니(여름엔 한 자 정도 되는 땅에도 벌레 다 있기 떄문에 목숨을 보호하여 유지하는 까닭이니)〈월석 21:4ㄴ〉.
글워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28ㄱ

주010)
글워리
글월[文]+이(주격 조사). 글월이. 글이. 편지가.
주011)
자맛 글워리
한 자 정도되는 글월이. 얼마 안 되는 글월이. 원문의 ‘척서(尺書)’에 대한 번역으로, ‘척서’는 짤막한 글, 또는 편지를 뜻한다. 여기서는 편지를 뜻한다.
긋추미 주012)
긋추미
긏[絶]-+-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그침이. 그친 것이. 끊어짐이. 끊어진 것이.
 니도다 주013)
 니도다
[年]#[連]-+-어(연결 어미)#잇[有]-+-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해가 이어 있도다. 여러 해가 되었도다.

【한자음】 분수개원말 련년절척서
【언해역】 개원(開元)의 끝에 손을 나누니(헤어졌는데), 한 자 정도 되는 글월(서신)이 그친 것이 여러 해가 이어 있도다(되었도다).

江山且相見 戎馬未安居

江山애 주014)
강산(江山)애
강산(江山)+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강과 산에서.
서르 주015)
서르
서로. 15세기에도 ‘서로’란 형식이 나타나고 있다. ¶닙니피 서로 次第로 나고(잎과 잎이 서로 차례로 나고)〈월석 8:12ㄱ〉.
보니 주016)
보니
보[見]-+-니(연결 어미). 보니. 만나니.
사호매 주017)
사호매
사홈[戰, 戎馬]+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싸움에. 전쟁(戰爭)에. ‘사홈’은 파생 명사로 본다. 융마(戎馬)는 전쟁에 쓰이는 수레와 말로, 군대나 전쟁을 뜻함.
便安히 주018)
편안(便安)히
편안(便安)+-(동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편안히.
사디 주019)
사디
살[生, 居]-+-디(연결 어미). 살지.
몯노라 주020)
몯노라
몯[不, 未]+-(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못하노라.

【한자음】 강산차상견 융마미안거
【언해역】 강과 산에서 서로 만나니, 전쟁에 편안하게 살지 못하는구나.

劒外官人冷 關中驛騎踈

劍閣 주021)
검각(劍閣)
중국 삼국시대 이래의 요해지(要害地). 장안(長安)으로부터 촉(蜀)으로 가는 대검산(大劍山), 소검산(小劍山) 사이에 있는 요충지로, 현재의 지명으로는 사천성(四川省) 검각현이다.
밧긔 주022)
밧긔
[外]+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밖에.
벼슬 주023)
벼슬
벼슬[官]+-(동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벼슬한.
사미 주024)
사미
사[人]+이(주격 조사). 사람이.
冷니 주025)
냉(冷)니
냉(冷)+-(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냉하니. 차가우니. 관직이 낮으니. 지위가 낮으니. ‘차갑다’는 것은 대접을 잘 못 받아 지위가 낮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關中엔 주026)
관중(關中)엔
관중(關中)+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관중에는. 관중은 중국 북부의 섬서성(陝西省), 위수(渭水) 강 분지 일대를 말한다. 사방으로 함곡관(函穀關), 무관(武關), 산관(散關), 숙관(蕭關)의 네 관 안에 있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주나라의 호경(鎬京), 진(秦)나라의 함양(鹹陽), 한나라, 수나라, 당나라 때의 장안(長安)이다. 분지는 비옥한 토양과 우수한 관개 시설 덕분에 진나라는 여러 나라들 중에서 우위에 설 수 있었고, 결국 중국을 통일하였다.
驛馬 주027)
역마(驛馬)
역말. 공무로 다니는 관리들이 갈아타도록 역참에 갖추어 두는 말.
니 주028)
니
[騎]-+-니(연결 어미). 타니.
드므도다 주029)
드므도다
드믈[踈]-+-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드물도다. ‘-도다’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한자음】 검외관인랭 관중역기소
【언해역】 검각(劍閣) 밖에 벼슬한 사람이 차가우니(지위가 낮으니), 관중(關中)에는 역마 탄 사람이 드물도다.

輕舟下吳會 主簿意何如【吳爲江東之一都會라 ㅣ 欲東下而問主簿之意何如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가야온 주030)
가야온
가얍[輕]-+-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가벼운.
로 주031)
로
[船, 舟]+로(조격 조사). 배로.
吳會로 주032)
오회(吳會)로
오회(吳會)+로(방향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오회로. 오회는 오문(吳門)으로, 오나라의 관문을 뜻한다.
려(러)가노니 주033)
려가노니
리[下]-+-어(연결 어미)#가[行]-+-(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내려가노니. 내려가니.
主簿 주034)
주부(主簿)
주부(主簿)+(보조사). 주부는. 주부는 유주부(劉主簿)를 가리킨다.
디 주035)
디
[意]+이(주격 조사). 뜻이.
엇더뇨 주036)
엇더뇨
엇더[何如]-+-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어떠한 것인가. ‘-뇨’를 하나의 의문 어미로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ㄴ(관형사형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에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의문 어미 ‘-고’에서 ‘ㄱ’이 탈락하여 지정사 어간과 함께 ‘이오’가 되고 그것이 ‘요’로 축약된 뒤에 동명사 어미 ‘-ㄴ’과 합하여 ‘-뇨’가 된 것이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경주하오회 주부의하여【오(吳)는 강동(江東)의 한 도회이다. 두보가 동쪽으로 내려가고자 하여 주부의 뜻이 어떠한가 묻다.】
【언해역】 가벼운 배로 오문(吳門)으로 내려가는데, 주부는 뜻이 어떠한가?
Ⓒ 역자 | 임홍빈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당흥(唐興) : 당나라 때의 현(縣) 이름. 지금의 사천성 봉계(蓬溪)에 해당한다.
주002)
유주부(劉主簿) : 생애가 밝혀져 있지 않다. 주부(主簿)는 관명으로, 문서를 담당하여 처리하는 변리(辨理) 사무의 일을 담당하는 직책이다.
주003)
봉당흥유주부제(逢唐興劉主簿弟) : 당흥에서 유주부(劉主簿)의 동생을 만나다. 이 시는 상원(上元) 2년(761)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시는 만나고 헤어지는 정을 서술하고, 처지가 불행하여 안착하지 못하고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한탄하고 있다.
주004)
개원(開元)ㅅ : 개원(開元)+ㅅ(관형격 조사). 개원의. 개원(開元)은 중국 당나라 현종 때의 연호(713~741)이다.
주005)
그테 : 긑[末]+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끝에.
주006)
소 : 손[手]+(대격 조사). 손을.
주007)
호니 : 호[分]-+-니(연결 어미). 나누니.
주008)
소 호니 : 손을 나누니. 헤어지니.
주009)
자맛 : 자[尺]+-마(보조사)+ㅅ(관형격 조사). 자만한. 한 자 정도 되는. 얼마 안 되는. 자[尺]는 30.3cm이므로, ‘자맛’은 그만한 정도의 크기를 말한다. ¶녀르멘 자맛 해도 벌에 다 이실 목숨 護持논 젼니(여름엔 한 자 정도 되는 땅에도 벌레 다 있기 떄문에 목숨을 보호하여 유지하는 까닭이니)〈월석 21:4ㄴ〉.
주010)
글워리 : 글월[文]+이(주격 조사). 글월이. 글이. 편지가.
주011)
자맛 글워리 : 한 자 정도되는 글월이. 얼마 안 되는 글월이. 원문의 ‘척서(尺書)’에 대한 번역으로, ‘척서’는 짤막한 글, 또는 편지를 뜻한다. 여기서는 편지를 뜻한다.
주012)
긋추미 : 긏[絶]-+-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그침이. 그친 것이. 끊어짐이. 끊어진 것이.
주013)
 니도다 : [年]#[連]-+-어(연결 어미)#잇[有]-+-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해가 이어 있도다. 여러 해가 되었도다.
주014)
강산(江山)애 : 강산(江山)+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강과 산에서.
주015)
서르 : 서로. 15세기에도 ‘서로’란 형식이 나타나고 있다. ¶닙니피 서로 次第로 나고(잎과 잎이 서로 차례로 나고)〈월석 8:12ㄱ〉.
주016)
보니 : 보[見]-+-니(연결 어미). 보니. 만나니.
주017)
사호매 : 사홈[戰, 戎馬]+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싸움에. 전쟁(戰爭)에. ‘사홈’은 파생 명사로 본다. 융마(戎馬)는 전쟁에 쓰이는 수레와 말로, 군대나 전쟁을 뜻함.
주018)
편안(便安)히 : 편안(便安)+-(동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편안히.
주019)
사디 : 살[生, 居]-+-디(연결 어미). 살지.
주020)
몯노라 : 몯[不, 未]+-(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못하노라.
주021)
검각(劍閣) : 중국 삼국시대 이래의 요해지(要害地). 장안(長安)으로부터 촉(蜀)으로 가는 대검산(大劍山), 소검산(小劍山) 사이에 있는 요충지로, 현재의 지명으로는 사천성(四川省) 검각현이다.
주022)
밧긔 : [外]+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밖에.
주023)
벼슬 : 벼슬[官]+-(동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벼슬한.
주024)
사미 : 사[人]+이(주격 조사). 사람이.
주025)
냉(冷)니 : 냉(冷)+-(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냉하니. 차가우니. 관직이 낮으니. 지위가 낮으니. ‘차갑다’는 것은 대접을 잘 못 받아 지위가 낮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주026)
관중(關中)엔 : 관중(關中)+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관중에는. 관중은 중국 북부의 섬서성(陝西省), 위수(渭水) 강 분지 일대를 말한다. 사방으로 함곡관(函穀關), 무관(武關), 산관(散關), 숙관(蕭關)의 네 관 안에 있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주나라의 호경(鎬京), 진(秦)나라의 함양(鹹陽), 한나라, 수나라, 당나라 때의 장안(長安)이다. 분지는 비옥한 토양과 우수한 관개 시설 덕분에 진나라는 여러 나라들 중에서 우위에 설 수 있었고, 결국 중국을 통일하였다.
주027)
역마(驛馬) : 역말. 공무로 다니는 관리들이 갈아타도록 역참에 갖추어 두는 말.
주028)
니 : [騎]-+-니(연결 어미). 타니.
주029)
드므도다 : 드믈[踈]-+-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드물도다. ‘-도다’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주030)
가야온 : 가얍[輕]-+-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가벼운.
주031)
로 : [船, 舟]+로(조격 조사). 배로.
주032)
오회(吳會)로 : 오회(吳會)+로(방향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오회로. 오회는 오문(吳門)으로, 오나라의 관문을 뜻한다.
주033)
려가노니 : 리[下]-+-어(연결 어미)#가[行]-+-(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내려가노니. 내려가니.
주034)
주부(主簿) : 주부(主簿)+(보조사). 주부는. 주부는 유주부(劉主簿)를 가리킨다.
주035)
디 : [意]+이(주격 조사). 뜻이.
주036)
엇더뇨 : 엇더[何如]-+-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어떠한 것인가. ‘-뇨’를 하나의 의문 어미로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ㄴ(관형사형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에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의문 어미 ‘-고’에서 ‘ㄱ’이 탈락하여 지정사 어간과 함께 ‘이오’가 되고 그것이 ‘요’로 축약된 뒤에 동명사 어미 ‘-ㄴ’과 합하여 ‘-뇨’가 된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