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기간 하(寄簡下)
  • 청성현에 갈 제, 성도를 나와 도(陶)와 왕(王) 두 소윤에게 부친다
메뉴닫기 메뉴열기

청성현에 갈 제, 성도를 나와 도(陶)와 왕(王) 두 소윤에게 부친다


靑城縣 주001)
청성현(靑城縣)
청성현은 사천성 관현(灌縣) 서남쪽 지역으로, 당나라 때에는 촉주(蜀州)에 속해 있었다. 지금의 사천성 성도(省都)인 강언(江堰)에 해당한다.
 제 出成都 주002)
성도(成都)
중국 사천(四川) 분지 서부에 있는 도시. 중국 남서부 교통의 요충지로, 삼국시대 촉한의 도읍이었다. 지금은 사천성의 성도(省都)이다.
야 寄陶王 주003)
도왕(陶王)
성이 도(陶) 씨인 사람과 왕(王) 씨인 사람의 두 사람을 말한다.
少尹 주004)
소윤(少尹)
관직명. 부윤(府尹) 아래에 두어 부윤을 보좌하도록 한 직책. 북송(北宋) 때는 경사(京師)인 개봉(開封)에 부윤을 두어 제반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는데, 그 지위는 상서(尙書)보다는 아래이고 시랑(侍郞)보다는 위였다.
노라
주005)
부청성현(赴靑城縣) 제 출성도(出成都)야 기도왕이소윤(寄陶王二少尹)노라
청성현(靑城縣)에 갈 제, 성도(成都)를 나와 도(陶)와 왕(王) 두 소윤에게 부친다. 이 시는 상원(上元) 2년(761) 가을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부청성현 제 출성도야 기도왕이소윤노라
(청성현(靑城縣)에 갈 제, 성도(成都)를 나와 도(陶)와 왕(王) 두 소윤에게 부친다)

老被樊籠役 貧嗟出入勞【以鳥獸의 在樊籠으로 喩汨沒俗累다】

樊籠앳 주006)
번롱(樊籠)앳
번롱(樊籠)+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새장에서의. 새조롱에서의. 명사절 속에서 관형격 조사 ‘ㅅ’을 가진 성분은 명사형 어미를 가진 서술어와 관련되는 주어를 나타낸다.
브리여 주007)
브리여
브리[使]-+-이(피동 파생 접미사)-+-어(연결 어미). 부려. 부려져.
뇨 주008)
뇨
[走]-+니[行]-+-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다님을. 다니는 것을.
늘거 주009)
늘거
늙[老]-+-어(연결 어미). 늙어.
니부니 주010)
니부니
닙[被]-+-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입으니.
나며 드로매 주011)
나며 드로매
나[出]-+-며(연결 어미)#들[入]-+-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나며 듦에. 드나듦에.
보 주012)
보
[勞]-+-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가쁨을. 가쁜 것을. 힘든 것을.
가난야셔 주013)
가난야셔
가난[貧]+-(형용사 파생 접미사)-+-y(조음소)-+-아(연결 어미)+셔(보조사). 가난하여서. 가난해서. ‘-아셔’를 연결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슬노라 주014)
슬노라
슳[哀, 悲, 嗟]-+-(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슬퍼하노라.

【한자음】 로피번롱역 빈차출입로【새와 짐승이 조롱에 있는 것을 가지고, 속세의 일에 골몰함을 비유한 것이다.】
【언해역】 조롱에서 부려 다니는 것을 늙어서 입으니, 드나듦에 가쁨을(가쁘게 드나드는 것을) 가난하여서 슬퍼하노라.

客情投異縣 詩態憶吾曹【吾曹 指陶王다】

나그내 주015)
나그내
나그네[客]. 15세기에 ‘나내’란 형식도 나타난다. ¶나 본 나내로브터 왯 臣下로셔 堯舜티 다리샤 맛나와 벼 놉고 죄 맛디 몯야(나는 본래 나그네로부터 와 있는 신하로서 요순같이 다스림을 만나 벼슬은 높고 재주 맞지 못하여)〈번소 6:27ㄱ〉.
데 주016)
데
[情]+에(원인격 조사, 부사격 조사). 뜻에. 정에. 정에 의하여. 정으로.
다 주017)
다
다[異]-+-ㄴ(관형사형 어미). 다른.
올로 주018)
올로
올ㅎ[縣]+로(방향격 조사, 부사격 조사). 고을로.
가노니 주019)
가노니
가[去]-+-(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가노니. 가나니. 가니.
그릐 주020)
그릐
글[文, 詩]+의(관형격 조사). 글의. 시의.
 주021)

[態]+(보조사). 양자에 대하여, 모양에 대하여. ‘’은 대격 조사와 형태가 같으나, 문제의 대상을 드러내는 주제 표시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본다. 동사 ‘-’의 진정한 대격 조사구는 ‘우리 무를(물을)’이다.
우리 무를 주022)
우리 무를
우리[吾]#물[輩, 曹]+을(대격 조사). 우리 무리를. 우리 짝을. 여기서는, 도(陶)와 왕(王)을 가리킨다.
노라 주023)
노라
사[思, 憶]+-(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생각하노라.

【한자음】 객정투이현 시태억오조【우리 짝은 도(陶)와 왕(王)을 가리킨다.】
【언해역】 나그네 정에 의하여 다른 고을로 가니, 글(시)의 모양에 대하여 우리 짝을 생각하노라.

東郭滄江合 西山白雪高【東郭西山은 皆指言蜀地다】

東郭앤 주024)
동곽(東郭)앤
동곽(東郭)+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동곽에는. 동쪽 성곽에는. 여기서는 당연히 청성(靑城)의 동쪽 성곽을 가리킨다.
滄江이 주025)
창강(滄江)이
창강(滄江)+이(주격 조사). 창강이. 청성현 동쪽 성곽에 있는 강 이름. ‘창(滄)’은 ‘푸르다’는 뜻도 있지만, ‘차다, 싸늘하다’는 뜻을 가진다. ‘백설’과 함께 가난하고 고단한 삶을 암시한다.
몯고 주026)
몯고
몯[合]-+-고(연결 어미). 모이고. 합하고.
西山앤 주027)
서산(西山)앤
서산(西山)+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서산에는.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19ㄱ

白雪이 주028)
백설(白雪)이
백설(白雪)+이(주격 조사). 백설이. 흰 눈이.
노팻도다 주029)
노팻도다
높[高]-+-아(연결 어미)#잇[有]-+-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높아 있도다. ‘-도다’를 어말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한자음】 동곽창강합 서산백설고【동쪽 성곽과 서산은 모두 촉나라 땅을 가리켜 말한다.】
【언해역】 동쪽 성곽에는 창강(滄江)이 모이고, 서산(西山)에는 흰 눈이 높아 있도다.

文章差底病 回首興滔滔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文章은 주030)
문장(文章)은
문장(文章)+은(보조사). 문장은. ‘문장’은 여기서 ‘시(詩)’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흥이 도도하다’는 것이 그것이 시임을 암시한다.
므슴 주031)
므슴
무슨[何, 底]. ‘므슴’은 ‘무엇’을 뜻하기도 하였다. 뒤에 수식을 받는 성분이 있으면, ‘무슨’으로 해석된다.
病을 됴케 주032)
됴케
둏[好, 差, 病除]-+-게(연결 어미). 좋게. 나아지게.
뇨 주033)
뇨
[爲]-+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하나뇨. 하느뇨. 하는 것인가. ‘-뇨’를 의문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머리 주034)
머리
머리[首]+(대격 조사). 머리를.
도혀 주035)
도혀
돌[回]-+-(사동 파생 접미사)-+혀[引]-+-어(연결 어미). 돌이키어. 돌리어. ‘도혀’는 ‘도’의 ‘ㆅ’이 약화된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라오니 주036)
라오니
라[望]-+ -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바라니. 바라보니.
興이 주037)
흥(興)이
흥(興)+이(주격 조사). 흥이. 속에서 우러나오는 감동이.
滔滔도다 주038)
도도(滔滔)도다
도도(滔滔)+-(동사 파생 접미사)-+-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도도(滔滔)다’는 물이 그득 퍼져 흐르는 모양이 막힘이 없고 기운찬 것을 말한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문장차저병 회수흥도도
【언해역】 문장은 무슨 병을 좋게 하는 것인가? 머리를 돌이켜 바라보니 흥이 막힘이 없고 기운차도다.
Ⓒ 역자 | 임홍빈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청성현(靑城縣) : 청성현은 사천성 관현(灌縣) 서남쪽 지역으로, 당나라 때에는 촉주(蜀州)에 속해 있었다. 지금의 사천성 성도(省都)인 강언(江堰)에 해당한다.
주002)
성도(成都) : 중국 사천(四川) 분지 서부에 있는 도시. 중국 남서부 교통의 요충지로, 삼국시대 촉한의 도읍이었다. 지금은 사천성의 성도(省都)이다.
주003)
도왕(陶王) : 성이 도(陶) 씨인 사람과 왕(王) 씨인 사람의 두 사람을 말한다.
주004)
소윤(少尹) : 관직명. 부윤(府尹) 아래에 두어 부윤을 보좌하도록 한 직책. 북송(北宋) 때는 경사(京師)인 개봉(開封)에 부윤을 두어 제반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는데, 그 지위는 상서(尙書)보다는 아래이고 시랑(侍郞)보다는 위였다.
주005)
부청성현(赴靑城縣) 제 출성도(出成都)야 기도왕이소윤(寄陶王二少尹)노라 : 청성현(靑城縣)에 갈 제, 성도(成都)를 나와 도(陶)와 왕(王) 두 소윤에게 부친다. 이 시는 상원(上元) 2년(761) 가을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주006)
번롱(樊籠)앳 : 번롱(樊籠)+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새장에서의. 새조롱에서의. 명사절 속에서 관형격 조사 ‘ㅅ’을 가진 성분은 명사형 어미를 가진 서술어와 관련되는 주어를 나타낸다.
주007)
브리여 : 브리[使]-+-이(피동 파생 접미사)-+-어(연결 어미). 부려. 부려져.
주008)
뇨 : [走]-+니[行]-+-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다님을. 다니는 것을.
주009)
늘거 : 늙[老]-+-어(연결 어미). 늙어.
주010)
니부니 : 닙[被]-+-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입으니.
주011)
나며 드로매 : 나[出]-+-며(연결 어미)#들[入]-+-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나며 듦에. 드나듦에.
주012)
보 : [勞]-+-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가쁨을. 가쁜 것을. 힘든 것을.
주013)
가난야셔 : 가난[貧]+-(형용사 파생 접미사)-+-y(조음소)-+-아(연결 어미)+셔(보조사). 가난하여서. 가난해서. ‘-아셔’를 연결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주014)
슬노라 : 슳[哀, 悲, 嗟]-+-(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슬퍼하노라.
주015)
나그내 : 나그네[客]. 15세기에 ‘나내’란 형식도 나타난다. ¶나 본 나내로브터 왯 臣下로셔 堯舜티 다리샤 맛나와 벼 놉고 죄 맛디 몯야(나는 본래 나그네로부터 와 있는 신하로서 요순같이 다스림을 만나 벼슬은 높고 재주 맞지 못하여)〈번소 6:27ㄱ〉.
주016)
데 : [情]+에(원인격 조사, 부사격 조사). 뜻에. 정에. 정에 의하여. 정으로.
주017)
다 : 다[異]-+-ㄴ(관형사형 어미). 다른.
주018)
올로 : 올ㅎ[縣]+로(방향격 조사, 부사격 조사). 고을로.
주019)
가노니 : 가[去]-+-(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가노니. 가나니. 가니.
주020)
그릐 : 글[文, 詩]+의(관형격 조사). 글의. 시의.
주021)
 : [態]+(보조사). 양자에 대하여, 모양에 대하여. ‘’은 대격 조사와 형태가 같으나, 문제의 대상을 드러내는 주제 표시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본다. 동사 ‘-’의 진정한 대격 조사구는 ‘우리 무를(물을)’이다.
주022)
우리 무를 : 우리[吾]#물[輩, 曹]+을(대격 조사). 우리 무리를. 우리 짝을. 여기서는, 도(陶)와 왕(王)을 가리킨다.
주023)
노라 : 사[思, 憶]+-(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생각하노라.
주024)
동곽(東郭)앤 : 동곽(東郭)+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동곽에는. 동쪽 성곽에는. 여기서는 당연히 청성(靑城)의 동쪽 성곽을 가리킨다.
주025)
창강(滄江)이 : 창강(滄江)+이(주격 조사). 창강이. 청성현 동쪽 성곽에 있는 강 이름. ‘창(滄)’은 ‘푸르다’는 뜻도 있지만, ‘차다, 싸늘하다’는 뜻을 가진다. ‘백설’과 함께 가난하고 고단한 삶을 암시한다.
주026)
몯고 : 몯[合]-+-고(연결 어미). 모이고. 합하고.
주027)
서산(西山)앤 : 서산(西山)+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서산에는.
주028)
백설(白雪)이 : 백설(白雪)+이(주격 조사). 백설이. 흰 눈이.
주029)
노팻도다 : 높[高]-+-아(연결 어미)#잇[有]-+-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높아 있도다. ‘-도다’를 어말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주030)
문장(文章)은 : 문장(文章)+은(보조사). 문장은. ‘문장’은 여기서 ‘시(詩)’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흥이 도도하다’는 것이 그것이 시임을 암시한다.
주031)
므슴 : 무슨[何, 底]. ‘므슴’은 ‘무엇’을 뜻하기도 하였다. 뒤에 수식을 받는 성분이 있으면, ‘무슨’으로 해석된다.
주032)
됴케 : 둏[好, 差, 病除]-+-게(연결 어미). 좋게. 나아지게.
주033)
뇨 : [爲]-+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하나뇨. 하느뇨. 하는 것인가. ‘-뇨’를 의문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주034)
머리 : 머리[首]+(대격 조사). 머리를.
주035)
도혀 : 돌[回]-+-(사동 파생 접미사)-+혀[引]-+-어(연결 어미). 돌이키어. 돌리어. ‘도혀’는 ‘도’의 ‘ㆅ’이 약화된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주036)
라오니 : 라[望]-+ -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바라니. 바라보니.
주037)
흥(興)이 : 흥(興)+이(주격 조사). 흥이. 속에서 우러나오는 감동이.
주038)
도도(滔滔)도다 : 도도(滔滔)+-(동사 파생 접미사)-+-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도도(滔滔)다’는 물이 그득 퍼져 흐르는 모양이 막힘이 없고 기운찬 것을 말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