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기간 하(寄簡下)
  • 고식안에게 준다[贈高式顔]
메뉴닫기 메뉴열기

고식안에게 준다[贈高式顔]


高式顔 주001)
고식안(高式顔)
고적(高適)의 조카.
주002)
증고식안(贈高式顔)
고식안에게 준다. 이 시는 대력(大曆) 원년(766), 기주(夔州)에서 지어진 것이라 한다. 이때 고적(高適)은 이미 이 세상을 떠난 뒤이다. 시는 고적의 족질(族姪)인 고식안(高式顔)에게 준 것이다.
高適之姪이라】

증고식안
(고식안에게 준다)
고적(高適)의 조카이다】

昔別是何處 相逢皆老夫

주003)
예전. 예전에.
여희요 주004)
여희요
여희[別]-+-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보조사). 여흼은. 여희는 것은. 이별함은. 이별하는 것은.
주005)
원문의 ‘시(是)’를 ‘이’로 번역한 것이다. 언해는 이를 대명사 ‘이’로 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는 서술어 ‘이다’에 해당한다. ‘예전에 이별한 것은 어디인가?’의 ‘인가’의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어듸러뇨 주006)
어듸러뇨
어듸[何處]#이(지정 형용사)-+-러(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어디이던 것인가. 어디였던 것인가.
오 주007)
오
오[今日]+(보조사). 오늘은.
서르 주008)
서르
서로. ¶相 서르 논 디라(상은 서로 하는 뜻이다.)〈훈언 1ㄴ〉.
맛보니 주009)
맛보니
맛보[逢]-+니(연결 어미). 만나니. ‘맛보-’는 현대어 ‘만나-’의 옛말이지만, ‘마주’의 축약형인 ‘맞[相面, 對]’과 ‘보-[見]’의 합성어일 가능성이 있다.
주010)
다[皆]. 모두.
늘근 주011)
늘근
늙[老]-+-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늙은.
사미로다 주012)
사미로다
사[人]#이(지정 형용사)-+-도다(감탄 어미). 사람이로다. 사람이도다. ‘-로다’는 감탄 선어말 어미 ‘-도-’에 어말 어미 ‘-다’가 결합한 형식이다. ‘-도다’가 ‘-로다’가 된 것은 지정 형용사 ‘이-’의 영향이다. 지정 형용사 ‘이-’가 고대에는 어간이 ‘*일-’이었기 떄문에, 뒤에 오는 어미의 ‘ㄷ’이 ‘ㄹ’로 변한 것이다.

【한자음】 석별시하처 상봉개로부
【언해역】 예전에 이별함은 어디였던가? 오늘은 서로 만나니 다 늙은 사람이로다.

故人還寂寞 削迹共艱虞【故人은 指式顔니라 莊子애 孔子ㅣ 削迹於衛라 다】

故人이 주013)
고인(故人)이
고인(故人)+이(주격 조사). 오래 사귄 친구가. 오랜 친구가.
도혀 주014)
도혀
돌[回, 還]-+-(사동 파생 접미사)-+혀[引]-+-어(연결 어미). 돌이키어. 돌이켜. 도리어.
寂寞야 주015)
적막(寂寞)야
적막(寂寞)+-(형용사 파생 접미사)-+-y(조음소)-+-아(연결 어미). 적막하여. 찾는 이 없어.
자최 주016)
자최
자최[痕, 迹]+(대격 조사). 자취를.
갓겨 주017)
갓겨
갓기[削]-+-어(연결 어미). 깎이어.
주018)
자최 갓겨
자취를 깎이어. 관(官)에 쫓기어.
다 주019)
다
함께. 더불어.
어려이 주020)
어려이
어렵[難, 艱]-+-이(부사 파생 접미사). 어려이. 어렵게.
니놋다 주021)
니놋다
[走]-+니[行]-+-(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다니는구나. 다니도다. ‘-놋다’나 ‘-옷다’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한자음】 고인환적막 삭적공간우【오랜 친구는 고식안을 가리키는 것이다. 장자(莊子, 잡편(雜篇))에 공자가 위(衛)에서 수비병들에게 쫓기었다 하였다.】
【언해역】 오랜 친구가 도리어 적막하여 관(官)에 쫓기어 똑같이 어렵게 다니는구나.

自失論文友 空知賣酒壚 平生飛動意 見爾不能無ㅣ 昔與高適式顔으로 入酒壚야 論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30ㄴ

文暢飮다가 亂離相失之後에空想昔日之遊더니 今見式顔니 平生飛騰之意悠然復生也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글 議論던 주022)
글 의논(議論)던
글[文]#의논(議論)+(동사 파생 접미사)-+-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글을 논의하던.
주023)
벗. 친구.
주024)
글 의논(議論)던 벋
글을 논의하던 벗. 고적(高適)을 말한다. 글은 주로 시를 가리킨다.
일후므로브터 주025)
일후므로브터
잃[失]-+-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으로부터(출격 조사, 부사격 조사). 잃음으로부터. 잃은 뒤로부터. 고적(高適)을 잃은 뒤로부터.
술  주026)
술 
술[酒]#[賣]-+-(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술 파는. 술을 파는.
壚 주027)
노(壚)
노(壚)+(대격 조사). 화로(火爐)를. 주막(酒幕)을.
갓 주028)
갓
고작. 겨우.
아노라 주029)
아노라
알[知]-+-(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아노라. 알도다.
平生애 주030)
평생(平生)애
평생(平生)+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평생에. 한 평생 동안. 평생 동안.
뮈던 주031)
뮈던
[飛]-+뮈[動]-+-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날아 움직이던. 날아다니던. (뒤에 오는 말의 뜻과 함께) 날고 싶던.
디 주032)
디
[意]+이(주격 조사). 뜻이.
주033)
뮈던 디
날아 움직이던 뜻이. 날아 움직이고 싶던 뜻이. 날고 싶던 뜻이.
너를 보니 주034)
너를 보니
너[爾]+를(대격 조사)#보[見]-+-니(연결 어미). 너를 보니. 여기서 ‘너’는 고식안(高式顔)을 가리킨다.
能히 주035)
능(能)히
능(能)+-(동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능히.
업디 주036)
업디
없[無]-+-디(연결 어미). 없지.
아니도다 주037)
아니도다
아니[不]+-(형용사 파생 접미사)-+-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아니하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자실론문우 공지매주로 평생비동의 견이불능무【두보가 예전에 고적(高適) 및 고식안(高式顔)과 더불어 주점에 들어가 글을 논하고 마음이 통하여 술을 마시다가 난리로 서로를 잃은 뒤에 헛되이 지난날 놀던 것을 생각하였는데, 이제 고식안(式顔)을 보니 평생에 날아다니고 싶었던 뜻이 아득하게 다시 살아나는 것이다.】
【언해역】 글 논의하던 벗을 잃은 뒤로 술 파는 주막을 고작 아노라. 평생에 날아다니고 싶던 뜻이 너를 보니 능히 없지 아니하도다.
Ⓒ 역자 | 임홍빈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고식안(高式顔) : 고적(高適)의 조카.
주002)
증고식안(贈高式顔) : 고식안에게 준다. 이 시는 대력(大曆) 원년(766), 기주(夔州)에서 지어진 것이라 한다. 이때 고적(高適)은 이미 이 세상을 떠난 뒤이다. 시는 고적의 족질(族姪)인 고식안(高式顔)에게 준 것이다.
주003)
녜 : 예전. 예전에.
주004)
여희요 : 여희[別]-+-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보조사). 여흼은. 여희는 것은. 이별함은. 이별하는 것은.
주005)
이 : 원문의 ‘시(是)’를 ‘이’로 번역한 것이다. 언해는 이를 대명사 ‘이’로 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는 서술어 ‘이다’에 해당한다. ‘예전에 이별한 것은 어디인가?’의 ‘인가’의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주006)
어듸러뇨 : 어듸[何處]#이(지정 형용사)-+-러(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어디이던 것인가. 어디였던 것인가.
주007)
오 : 오[今日]+(보조사). 오늘은.
주008)
서르 : 서로. ¶相 서르 논 디라(상은 서로 하는 뜻이다.)〈훈언 1ㄴ〉.
주009)
맛보니 : 맛보[逢]-+니(연결 어미). 만나니. ‘맛보-’는 현대어 ‘만나-’의 옛말이지만, ‘마주’의 축약형인 ‘맞[相面, 對]’과 ‘보-[見]’의 합성어일 가능성이 있다.
주010)
다 : 다[皆]. 모두.
주011)
늘근 : 늙[老]-+-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늙은.
주012)
사미로다 : 사[人]#이(지정 형용사)-+-도다(감탄 어미). 사람이로다. 사람이도다. ‘-로다’는 감탄 선어말 어미 ‘-도-’에 어말 어미 ‘-다’가 결합한 형식이다. ‘-도다’가 ‘-로다’가 된 것은 지정 형용사 ‘이-’의 영향이다. 지정 형용사 ‘이-’가 고대에는 어간이 ‘*일-’이었기 떄문에, 뒤에 오는 어미의 ‘ㄷ’이 ‘ㄹ’로 변한 것이다.
주013)
고인(故人)이 : 고인(故人)+이(주격 조사). 오래 사귄 친구가. 오랜 친구가.
주014)
도혀 : 돌[回, 還]-+-(사동 파생 접미사)-+혀[引]-+-어(연결 어미). 돌이키어. 돌이켜. 도리어.
주015)
적막(寂寞)야 : 적막(寂寞)+-(형용사 파생 접미사)-+-y(조음소)-+-아(연결 어미). 적막하여. 찾는 이 없어.
주016)
자최 : 자최[痕, 迹]+(대격 조사). 자취를.
주017)
갓겨 : 갓기[削]-+-어(연결 어미). 깎이어.
주018)
자최 갓겨 : 자취를 깎이어. 관(官)에 쫓기어.
주019)
다 : 함께. 더불어.
주020)
어려이 : 어렵[難, 艱]-+-이(부사 파생 접미사). 어려이. 어렵게.
주021)
니놋다 : [走]-+니[行]-+-(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다니는구나. 다니도다. ‘-놋다’나 ‘-옷다’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주022)
글 의논(議論)던 : 글[文]#의논(議論)+(동사 파생 접미사)-+-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글을 논의하던.
주023)
벋 : 벗. 친구.
주024)
글 의논(議論)던 벋 : 글을 논의하던 벗. 고적(高適)을 말한다. 글은 주로 시를 가리킨다.
주025)
일후므로브터 : 잃[失]-+-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으로부터(출격 조사, 부사격 조사). 잃음으로부터. 잃은 뒤로부터. 고적(高適)을 잃은 뒤로부터.
주026)
술  : 술[酒]#[賣]-+-(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술 파는. 술을 파는.
주027)
노(壚) : 노(壚)+(대격 조사). 화로(火爐)를. 주막(酒幕)을.
주028)
갓 : 고작. 겨우.
주029)
아노라 : 알[知]-+-(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아노라. 알도다.
주030)
평생(平生)애 : 평생(平生)+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평생에. 한 평생 동안. 평생 동안.
주031)
뮈던 : [飛]-+뮈[動]-+-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날아 움직이던. 날아다니던. (뒤에 오는 말의 뜻과 함께) 날고 싶던.
주032)
디 : [意]+이(주격 조사). 뜻이.
주033)
뮈던 디 : 날아 움직이던 뜻이. 날아 움직이고 싶던 뜻이. 날고 싶던 뜻이.
주034)
너를 보니 : 너[爾]+를(대격 조사)#보[見]-+-니(연결 어미). 너를 보니. 여기서 ‘너’는 고식안(高式顔)을 가리킨다.
주035)
능(能)히 : 능(能)+-(동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능히.
주036)
업디 : 없[無]-+-디(연결 어미). 없지.
주037)
아니도다 : 아니[不]+-(형용사 파생 접미사)-+-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아니하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