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기간 하(寄簡下)
  • 공주 최 녹사에게 드린다[寄邛州崔錄事]
메뉴닫기 메뉴열기

공주 최 녹사에게 드린다[寄邛州崔錄事]


邛州 주001)
공주(邛州)
공주(邛州)는 지금의 사천성 공래(邛崍)이다.
崔錄事 주002)
최 녹사(崔錄事)
최씨 성을 가진 녹사. 녹사(錄事)는 관명이다.
주003)
기공주최록사(寄邛州崔錄事)
공주 최 녹사에게 드린다. 이 시는 두보가 초당(草堂)으로 돌아온 후인, 광덕(廣德) 2년(764)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시는 최 녹사가 초당에 와서 손님이 되었음을 그리고 있다.

기공주최녹사
(공주 최 녹사에게 드린다)

邛州崔錄事 聞在果園坊【果園은 坊名이니 在成都다】

邛州ㅅ 주004)
공주(邛州)ㅅ
공주(邛州)+ㅅ(관형격 조사). 공주의. 공주는 지금의 사천성 공래(邛崍)이다.
崔錄事 주005)
최 녹사(崔錄事)
최 녹사(崔錄事)+(보조사). 최 녹사를. ‘잇-’의 주어로 ‘’을 가지고 있다. ‘’을 대격 조사로 분석하지 않은 것은 이 때문이다. 이때의 ‘’은 주제 표시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본다.
果園坊애 주006)
과원방(果園坊)애
과원방(果園坊)+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과원 동네에.
잇다 주007)
잇다
잇[有, 在]-+-다(어말 어미). 있다. 있다고. ‘있다고’는 문맥을 고려한 의미이다.
듣노라 주008)
듣노라
듣[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듣는구나. 듣노라.

【한자음】 공주최록사 문재과원방【과원(果園)은 동네 이름으로, 성도(成都)에 있다.】
【언해역】 공주(邛州)의 최 녹사를 과원(果園) 동네에 있다고 듣노라.

久待無消息 終朝有底忙

오래 기들워도 주009)
기들워도
기들우[待]-+-어(연결 어미)+도(보조사). 기다려도.
消息이 주010)
소식(消息)이
소식(消息)+이(주격 조사). 소식이.
업스니 주011)
업스니
없으니.
아미 주012)
아미
아[朝]+이(주격 조사). 아침이.
록 주013)
록
[終]-+-록(연결 어미). 마치도록. 끝나도록. 끝날 때까지. ¶글지 니 鳳이  도다(글짓는 것을 마치니 봉황이 나는 듯하도다.)〈두시(초) 8:9ㄱ〉.
므슷 주014)
므슷
므스[底(저)]+ㅅ(관형격 조사). 무슨.
이리 주015)
이리
일[事]+이(보조사). 일이.
뵈왓보미 주016)
뵈왓보미
뵈왓브[忙]-+-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바쁨이. 바쁜 것이.
잇니오 주017)
잇니오
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있는 것인가. ‘-니오’를 의문 종결 어미로 보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한자음】 구대무소식 종조유저망
【언해역】 오래 기다려도 소식이 없으니, 아침이 끝나도록 무슨 일이 바쁨이 있는 것인가?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27ㄱ

愁江樹遠 怯見野亭荒【江樹野亭은 皆甫之所在니라】

 주018)

강. ¶四月ㅅ 八日에 과 우믌 므리 다 디고(4월의 8일에 강과 우물 물이 다 넘치고)〈월석 2:48ㄴ〉.
남긔 주019)
남긔
[木]+의(달격 조사, 부사격 조사). 나무에. 나무에서.
머로 주020)
머로
멀[遠]-+-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멂을. 먼 것을.
이 주021)
이
(當當)+-(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당당히. 마땅히. 응당.
시름며 주022)
시름며
시름[愁]+-(동사 파생 접미사)-+-며(연결 어미). 시름하며. 걱정하며.
햇 주023)
햇
ㅎ[野]+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들의.
亭子의 거츠루믈 주024)
거츠루믈
거츨[荒]-+-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거칢을. 거친 것을.
저허 주025)
저허
젛[怯(겁: 무서워하다, 겁내다)]-+-어(연결 어미). 무서워. 무서워하며. 겁내어. 겁내고. 겁내며. ¶控怖저허 씨라(공포는 두려워하는 것이다.)〈월석 21:94ㄴ〉.
보놋다 주026)
보놋다
보[見]-+-(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보는구나.

【한자음】 응수강수원 겁견야정황【강수와 야정은 다 두보가 있는 곳이다.】
【언해역】 강 나무에서 먼 것을 마땅히 시름하며, 들의 정자의 거친 것을 겁내며 보는구나.

浩蕩風烟外 誰知酒熟香【此 望崔之就飮也ㅣ라 】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훤츨 주027)
훤츨
훤츨[浩蕩]+-(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훤칠한. 훤하고 시원한. ‘훤츨’이 수식하고 있는 것을 ‘풍연(風煙)’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풍연(風煙) ’을 수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글 짓 例 우리 짓 그레 미츠니 미 훤츨야 린 거슬 러 리도다(글 짓는 예 우리 집 글에 미치니 마음이 시원하여 가린 것을 쓸어 버리도다.)〈두시(초) 24:30〉.
風煙 주028)
풍연(風煙)
바람과 연기.
밧긔 주029)
밧긔
[外]+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밖에. 바깥에.
주030)
누[誰]+이(주격 조사). 누가.
수리 주031)
수리
술[酒]+이(주격 조사). 술이.
니거 주032)
니거
닉[熟]-+-어(연결 어미). 익어.
곳다오 주033)
곳다오
곳[花]+-답[如]-+-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꽃다움을. 꽃다운 것을. 향기로움을. 향기로운 것을.
알리오 주034)
알리오
알[知]-+-ㄹ(미래 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알 것인가.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호탕풍연외 수지주숙향【이는 최 녹사가 바로 술 마시기를 바라는 것이다.】
【언해역】 훤칠한 바람과 연기 바깥에 누가 술이 익어 향기로움을 알 것인가?
Ⓒ 역자 | 임홍빈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공주(邛州) : 공주(邛州)는 지금의 사천성 공래(邛崍)이다.
주002)
최 녹사(崔錄事) : 최씨 성을 가진 녹사. 녹사(錄事)는 관명이다.
주003)
기공주최록사(寄邛州崔錄事) : 공주 최 녹사에게 드린다. 이 시는 두보가 초당(草堂)으로 돌아온 후인, 광덕(廣德) 2년(764)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시는 최 녹사가 초당에 와서 손님이 되었음을 그리고 있다.
주004)
공주(邛州)ㅅ : 공주(邛州)+ㅅ(관형격 조사). 공주의. 공주는 지금의 사천성 공래(邛崍)이다.
주005)
최 녹사(崔錄事) : 최 녹사(崔錄事)+(보조사). 최 녹사를. ‘잇-’의 주어로 ‘’을 가지고 있다. ‘’을 대격 조사로 분석하지 않은 것은 이 때문이다. 이때의 ‘’은 주제 표시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본다.
주006)
과원방(果園坊)애 : 과원방(果園坊)+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과원 동네에.
주007)
잇다 : 잇[有, 在]-+-다(어말 어미). 있다. 있다고. ‘있다고’는 문맥을 고려한 의미이다.
주008)
듣노라 : 듣[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듣는구나. 듣노라.
주009)
기들워도 : 기들우[待]-+-어(연결 어미)+도(보조사). 기다려도.
주010)
소식(消息)이 : 소식(消息)+이(주격 조사). 소식이.
주011)
업스니 : 없으니.
주012)
아미 : 아[朝]+이(주격 조사). 아침이.
주013)
록 : [終]-+-록(연결 어미). 마치도록. 끝나도록. 끝날 때까지. ¶글지 니 鳳이  도다(글짓는 것을 마치니 봉황이 나는 듯하도다.)〈두시(초) 8:9ㄱ〉.
주014)
므슷 : 므스[底(저)]+ㅅ(관형격 조사). 무슨.
주015)
이리 : 일[事]+이(보조사). 일이.
주016)
뵈왓보미 : 뵈왓브[忙]-+-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바쁨이. 바쁜 것이.
주017)
잇니오 : 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있는 것인가. ‘-니오’를 의문 종결 어미로 보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주018)
 : 강. ¶四月ㅅ 八日에 과 우믌 므리 다 디고(4월의 8일에 강과 우물 물이 다 넘치고)〈월석 2:48ㄴ〉.
주019)
남긔 : [木]+의(달격 조사, 부사격 조사). 나무에. 나무에서.
주020)
머로 : 멀[遠]-+-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멂을. 먼 것을.
주021)
이 : (當當)+-(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당당히. 마땅히. 응당.
주022)
시름며 : 시름[愁]+-(동사 파생 접미사)-+-며(연결 어미). 시름하며. 걱정하며.
주023)
햇 : ㅎ[野]+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들의.
주024)
거츠루믈 : 거츨[荒]-+-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거칢을. 거친 것을.
주025)
저허 : 젛[怯(겁: 무서워하다, 겁내다)]-+-어(연결 어미). 무서워. 무서워하며. 겁내어. 겁내고. 겁내며. ¶控怖저허 씨라(공포는 두려워하는 것이다.)〈월석 21:94ㄴ〉.
주026)
보놋다 : 보[見]-+-(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보는구나.
주027)
훤츨 : 훤츨[浩蕩]+-(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훤칠한. 훤하고 시원한. ‘훤츨’이 수식하고 있는 것을 ‘풍연(風煙)’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풍연(風煙) ’을 수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글 짓 例 우리 짓 그레 미츠니 미 훤츨야 린 거슬 러 리도다(글 짓는 예 우리 집 글에 미치니 마음이 시원하여 가린 것을 쓸어 버리도다.)〈두시(초) 24:30〉.
주028)
풍연(風煙) : 바람과 연기.
주029)
밧긔 : [外]+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밖에. 바깥에.
주030)
뉘 : 누[誰]+이(주격 조사). 누가.
주031)
수리 : 술[酒]+이(주격 조사). 술이.
주032)
니거 : 닉[熟]-+-어(연결 어미). 익어.
주033)
곳다오 : 곳[花]+-답[如]-+-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꽃다움을. 꽃다운 것을. 향기로움을. 향기로운 것을.
주034)
알리오 : 알[知]-+-ㄹ(미래 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알 것인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