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기간 하(寄簡下)
  • 관(官)의 정자에서 저녁 식사 자리에 앉아, 재미로 안소부(顔少府)에게 서신을 쓴다[官亭夕坐戱簡顔十少府]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官)의 정자에서 저녁 식사 자리에 앉아, 재미로 안소부(顔少府)에게 서신을 쓴다[官亭夕坐戱簡顔十少府]


官亭夕坐戱簡顔十少府 주001)
소부(少府)
전한(前漢) 시대에는 제실재정(帝室財政)을 맡아 황제의 가산적(家産的) 수입(收入:주로 山海池澤으로부터의 수입)을 관할하던 관청. 후한(後漢) 이후 대사농(大司農)에게 그 주요 임무가 흡수되고, 궁정에서 사용하는 기물(器物)이나 공예품을 제작하는 관청이 되었다. 당나라 때에는 5감(監)의 하나로, 다수의 공장(工匠)을 모아 공방(工房)에서 제품을 만들게 하여 이를 진상하였다.
주002)
안십소부(顔十少府)
성은 안(顔)씨, 공안현(公安縣)에서 소부(少府) 벼슬을 한 사람으로, 두보를 관(官)의 정자 연회에 초청한 인물이다.
주003)
관정석좌희간안십소부(官亭夕坐戱簡顔十少府)
관(官)의 정자에서 저녁 식사 자리에 앉아, 재미로 안소부(顔少府) 에게 서신을 쓴다. 두보가 관의 정자에서 열린 연회에 초청을 받아 먼저 도착하였으나, 주인이 도착하지 않아 두보가 이 시를 쓴 것이라 한다. 이 시는 대력(大曆) 3년(768) 가을, 공안(公安)에서 지어진 것이라 한다.

관정석좌희간안십소부
(관(官)의 정자에서 저녁 식사 자리에 앉아, 재미로 안소부(顔少府)에게 서신을 쓴다)

南國調寒杵 西江浸日車

南國에셔 주004)
남국(南國)에셔
남국(南國)+에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남국에서. 남쪽 나라에서. ‘에셔’는 기원적으로 ‘에 이셔(있어)’가 문법화된 것이다.
치운 주005)
치운
칩[寒]-+-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추운.
핫곳 주006)
핫곳
하[杵]+ㅅ(관형격 조사)#곳[處]. 방아를 찧는 곳. 방앗간.
소리 고니 주007)
고니
고[調]-+-니(연결 어미). 고르니.
西江은 주008)
서강(西江)은
공안현(公安縣) 일대를 지나 흐르는 긴 강. 서쪽을 따라서 오기 때문에, 서강(西江)이라 불린다.
  주009)
 
[日]#[乘]-+-ㄴ(관형사형 어미). 해 탄. 해가 탄.
술위 주010)
술위
술위[車]+(대격 조사). 수레를. 태양을 수레에 비유한 것이다.
주011)
  술위
해 탄 수레를. 해가 탄 수레를. ‘해가 탄 수레’는 태양을 가리킨다.
맛도다 주012)
맛도다
[浸]-+-아(연결 어미)#잇[有]-+-+-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잠겨 있도다. 잠기게 하였도다. ‘-도다’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한 것임.

【한자음】 남국조한저 서강침일거
【언해역】 남쪽 나라에서 추운 방앗간 소리 고르니, 서강(西江)은 해 탄 수레를 잠기게 하였도다.

客愁連蟋蟀 亭古帶蒹葭蟋蟀 주013)
실솔(蟋蟀)
귀뚜라미. 한자로는 보통 실솔(蟋蟀)이라 하였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28ㄴ

은 促織이라】

나그내 주014)
나그내
나그네.
시르믄 주015)
시르믄
시름[愁]+은(보조사). 시름은.
귓돌와 주016)
귓돌와
귓돌왐[蟋蟀]+(관형격 조사). 귀뚜라미의.
소리예 주017)
소리예
소리[音]+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소리에.
니고 주018)
니고
[連]-+-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이어 있고.
亭子 주019)
정자(亭子)
정자(亭子)+(보조사). 정자는.
가 주020)
가
[古]-+-아(연결 어미). 낡아.
 주021)

[蒹葭(겸가)]+(대격 조사). 갈대를.
찻도다 주022)
찻도다
[帶]#차[帶]-+-아(연결 어미)#잇[有]-+-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띠 차 있도다. 띠로 차고 있도다.

【한자음】 객수련실솔 정고대겸가【실솔(蟋蟀)은 귀뚜라미이다.】
【언해역】 나그네 시름은 귀뚜라미의 소리에 이어 있고, 정자는 낡아 갈대를 띠로 차고 있도다.

不返靑絲鞚 虛燒夜燭花【鞚은 馬勤(勒의 잘못)이니 靑絲로 爲之니라 言少府不來 虛燒燭야 待之而已니라 】

프른 주023)
프른
프르[靑]-+-ㄴ(관형사형 어미). 푸른.
실로 주024)
실로
실[絲]+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실로.
론 주025)
론
[製]-+-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만든.
굴에 주026)
굴에
굴레[勒, 鞚]. 언해의 할주에는 ‘마근(馬勤)’으로 되어 있으나, ‘마륵(馬勒)’의 잘못으로 여겨진다.
도라오디 주027)
도라오디
돌[回, 返]-+-아(연결 어미)#오[來]-+-디(연결 어미). 돌아오지.
아니니 주028)
아니니
아니[不]#[爲]-+-(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아니하나니. 아니하니.
바 주029)
바
밤[夜]+(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밤에의. 밤의.
燭ㅅ 븘 주030)
초(燭)ㅅ븘
초(燭)+ㅅ(관형격 조사)#블[火]+ㅅ(관형격 조사). 촛불의.
고 주031)
고
곶[花]+(대격 조사). 꽃을.
虛히 주032)
허(虛)히
허(虛)+-(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허하게. 헛되게. 헛되이.
로라 주033)
로라
[燒]-+-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사르도다. 사르는구나.

【한자음】 불반청사공 허소야촉화【공(鞚)은 말의 굴레이니 푸른 실로 만드는 것이다. 소부(少府)가 아니 오기 때문에, 공연히 초를 태워 기다릴 뿐이라는 말이다.】
【언해역】 푸른 실로 만든 굴레 돌아오지 아니하니, 밤의 촛불 꽃을 헛되이 사르는구나.

老翁須地主 細細酌流霞【流霞 謂酒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늘근 한아비 주034)
한아비
하[大]-+-ㄴ(관형사형 어미)#아비[父]+(보조사). 할아비는.
地主의게 주035)
지주(地主)의게
지주(地主)+의게(여격 조사, 부사격 조사). 지주에게. ‘의게’는 ‘의(관형격 조사)#그(대명사)+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가 재구조화된 것이다.
須求야 주036)
수구(須求)야
마땅히 구하여. 반드시 구하여.
리 주037)
리
[細]-+-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늘게. ¶ 버믜 이나 시혹 일희 이나  라 리 라  돈 므레 프러 머그라(또 범의 똥이나 혹시이리 똥이나 재로 살라 가늘게 갈아 한 돈을 물에 풀어 먹으라.)〈구급방 상:49ㄴ〉.
流霞 주038)
유하(流霞)
유하(流霞)+(대격 조사). 술을.
브 주039)
브
[酌]-+-어(연결 어미). 부어. 따라.
먹노라 주040)
먹노라
먹[食, 飮]-+-(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먹노라. 먹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노옹수지주 세세작류하【유하(流霞)는 술을 이른다.】
【언해역】 늙은 할아비는 지주(地主)에게 반드시 구하여 가늘게 술을 부어 먹노라.
Ⓒ 역자 | 임홍빈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소부(少府) : 전한(前漢) 시대에는 제실재정(帝室財政)을 맡아 황제의 가산적(家産的) 수입(收入:주로 山海池澤으로부터의 수입)을 관할하던 관청. 후한(後漢) 이후 대사농(大司農)에게 그 주요 임무가 흡수되고, 궁정에서 사용하는 기물(器物)이나 공예품을 제작하는 관청이 되었다. 당나라 때에는 5감(監)의 하나로, 다수의 공장(工匠)을 모아 공방(工房)에서 제품을 만들게 하여 이를 진상하였다.
주002)
안십소부(顔十少府) : 성은 안(顔)씨, 공안현(公安縣)에서 소부(少府) 벼슬을 한 사람으로, 두보를 관(官)의 정자 연회에 초청한 인물이다.
주003)
관정석좌희간안십소부(官亭夕坐戱簡顔十少府) : 관(官)의 정자에서 저녁 식사 자리에 앉아, 재미로 안소부(顔少府) 에게 서신을 쓴다. 두보가 관의 정자에서 열린 연회에 초청을 받아 먼저 도착하였으나, 주인이 도착하지 않아 두보가 이 시를 쓴 것이라 한다. 이 시는 대력(大曆) 3년(768) 가을, 공안(公安)에서 지어진 것이라 한다.
주004)
남국(南國)에셔 : 남국(南國)+에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남국에서. 남쪽 나라에서. ‘에셔’는 기원적으로 ‘에 이셔(있어)’가 문법화된 것이다.
주005)
치운 : 칩[寒]-+-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추운.
주006)
핫곳 : 하[杵]+ㅅ(관형격 조사)#곳[處]. 방아를 찧는 곳. 방앗간.
주007)
고니 : 고[調]-+-니(연결 어미). 고르니.
주008)
서강(西江)은 : 공안현(公安縣) 일대를 지나 흐르는 긴 강. 서쪽을 따라서 오기 때문에, 서강(西江)이라 불린다.
주009)
  : [日]#[乘]-+-ㄴ(관형사형 어미). 해 탄. 해가 탄.
주010)
술위 : 술위[車]+(대격 조사). 수레를. 태양을 수레에 비유한 것이다.
주011)
  술위 : 해 탄 수레를. 해가 탄 수레를. ‘해가 탄 수레’는 태양을 가리킨다.
주012)
맛도다 : [浸]-+-아(연결 어미)#잇[有]-+-+-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잠겨 있도다. 잠기게 하였도다. ‘-도다’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한 것임.
주013)
실솔(蟋蟀) : 귀뚜라미. 한자로는 보통 실솔(蟋蟀)이라 하였다.
주014)
나그내 : 나그네.
주015)
시르믄 : 시름[愁]+은(보조사). 시름은.
주016)
귓돌와 : 귓돌왐[蟋蟀]+(관형격 조사). 귀뚜라미의.
주017)
소리예 : 소리[音]+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소리에.
주018)
니고 : [連]-+-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이어 있고.
주019)
정자(亭子) : 정자(亭子)+(보조사). 정자는.
주020)
가 : [古]-+-아(연결 어미). 낡아.
주021)
 : [蒹葭(겸가)]+(대격 조사). 갈대를.
주022)
찻도다 : [帶]#차[帶]-+-아(연결 어미)#잇[有]-+-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띠 차 있도다. 띠로 차고 있도다.
주023)
프른 : 프르[靑]-+-ㄴ(관형사형 어미). 푸른.
주024)
실로 : 실[絲]+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실로.
주025)
론 : [製]-+-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만든.
주026)
굴에 : 굴레[勒, 鞚]. 언해의 할주에는 ‘마근(馬勤)’으로 되어 있으나, ‘마륵(馬勒)’의 잘못으로 여겨진다.
주027)
도라오디 : 돌[回, 返]-+-아(연결 어미)#오[來]-+-디(연결 어미). 돌아오지.
주028)
아니니 : 아니[不]#[爲]-+-(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아니하나니. 아니하니.
주029)
바 : 밤[夜]+(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밤에의. 밤의.
주030)
초(燭)ㅅ븘 : 초(燭)+ㅅ(관형격 조사)#블[火]+ㅅ(관형격 조사). 촛불의.
주031)
고 : 곶[花]+(대격 조사). 꽃을.
주032)
허(虛)히 : 허(虛)+-(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허하게. 헛되게. 헛되이.
주033)
로라 : [燒]-+-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사르도다. 사르는구나.
주034)
한아비 : 하[大]-+-ㄴ(관형사형 어미)#아비[父]+(보조사). 할아비는.
주035)
지주(地主)의게 : 지주(地主)+의게(여격 조사, 부사격 조사). 지주에게. ‘의게’는 ‘의(관형격 조사)#그(대명사)+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가 재구조화된 것이다.
주036)
수구(須求)야 : 마땅히 구하여. 반드시 구하여.
주037)
리 : [細]-+-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늘게. ¶ 버믜 이나 시혹 일희 이나  라 리 라  돈 므레 프러 머그라(또 범의 똥이나 혹시이리 똥이나 재로 살라 가늘게 갈아 한 돈을 물에 풀어 먹으라.)〈구급방 상:49ㄴ〉.
주038)
유하(流霞) : 유하(流霞)+(대격 조사). 술을.
주039)
브 : [酌]-+-어(연결 어미). 부어. 따라.
주040)
먹노라 : 먹[食, 飮]-+-(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먹노라. 먹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