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기간 하(寄簡下)
  • 재주 막부에 대한 서신과 위십 낭관에 대한 서신을 보낸다[投簡梓州幕府兼簡韋十郞官]
메뉴닫기 메뉴열기

재주 막부에 대한 서신과 위십 낭관에 대한 서신을 보낸다[投簡梓州幕府兼簡韋十郞官]


投簡梓州 주001)
재주(梓州)
중국 사천성 삼태현에 있는 도시 이름.
幕府 주002)
막부(幕府)
변방에서 지휘관이 머물면서 군사를 지휘하던 군막(軍幕). 군 지휘관의 군막.
兼簡韋十郞官 주003)
위십랑관(韋十郞官)
위(韋)씨로, 십낭관(十郞官)의 직위에 있던 인물.
주004)
투간재주막부겸간위십랑관(投簡梓州幕府兼簡韋十郞官)
재주(梓州) 막부에 대한 서신 겸 위십낭관에 대한 서신을 보낸다. 이 시는 두보가 사천성(四川省) 한주(漢州)에 있을 때 지은 것이라 한다. 시로써 서신을 대신하여, 재주 막부의 여러 관리 및 위십낭관에게 뜻을 전한 것이다.

투간재주막부겸간위십랑관
(재주 막부에 대한 서신과 위십 낭관에 대한 서신을 보낸다)

幕下郞官安穩無 從來不奉一行書

幕下앳 주005)
막하(幕下)앳
막하(幕下)+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막하(幕下)의. 막부(幕府) 아래의.
郞官은 주006)
낭관(郞官)은
각 관아의 당하관을 일컫던 말. 가령, 조조는 20세 때인 174년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낭관(郞官)으로 관직에 올랐다고 한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25ㄴ

便安녀 주007)
편안(便安)녀
편안(便安)+-(형용사 파생 접미사)-+-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어(의문 어미). 편안한 것인가. ‘-녀’를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의 의문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아니녀 주008)
아니녀
아니[不]+-(형용사 파생 접미사)-+-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어(의문 어미). 아니한 것인가. 위에서와 같이 여기서도 역시 ‘-녀’를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의 의문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요조브터 주009)
요조브터
요조[近來]+브터(보조사). 요즈음부터. ¶昭ㅣ 모 사려 무러 닐오 요조 이른 뉘 그 허믈 맛고 여(소(昭)가 모든 사람에게 물어 이르기를 요즈음 일은 누가 그 잘못을 만든 것인가 하여늘)〈번소 9:26ㄱ〉.
오매 주010)
오매
오[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옴에.
주011)
요조브터 오매
요즈음부터 옴에. 요즈음에는.
 줈 글도 주012)
 줈 글도
[一]#줄[行]+ㅅ(관형격 조사)#글[書]+도(보조사). 한 줄의 글도. 한 줄의 서신도. 한 줄의 편지도.
받디 주013)
받디
받[受, 奉]-+-디(연결 어미). 받지.
몯요라 주014)
몯요라
몯[不]+(동사 파생 접미사)-+-y(조음소)-+-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못한 것이다. 못하도다.

【한자음】 막하랑관안온무 종래부봉일행서
【언해역】 막부(幕府)의 아래 낭관은 편안한 것인가 아니한 것인가? 요즈음부터 오매(요즈음에는) 한 줄의 서신도 받지 못한 것이다.

因知貧病人須棄 能使韋郞迹也踈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가난코 주015)
가난코
가난[貧]+-(형용사 파생 접미사)-+-고(연결 어미). 가난하고.
病호 주016)
병(病)호
병(病)+-(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병듦을. 병드는 것을.
사미 주017)
사미
사[人]+이(주격 조사). 사람이.
모로매 주018)
모로매
모름지기[須].
리논 주019)
리논
리[棄]-+-(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버리는.
주를 주020)
주를
줄(의존 명사)+을(대격 조사). 줄을. 것을.
因야 주021)
인(因)야
인(因)+-(동사 파생 접미사)-+-y(조음소)-+-아(연결 어미). 인하여. 그로 인하여. 그 뒤에. 이어서.
아노니 주022)
아노니
알[知]-+-(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아노니. 아나니.
能히 주023)
능(能)히
능(能)+-(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능히.
韋郞으로 주024)
위낭(韋郞)으로
위낭(韋郞)+으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위낭으로. 위낭은 위십랑관(韋十郞官)을 가리킨다.
여 주025)
여
[爲]-+-이(사동 파생 접미사)-+-어(연결 어미). 하여. 하여금.
자최 주026)
자최
자최[跡, 迹]+(대격 조사). 자취를.
疎히 주027)
소(疎)히
소(疎)+(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뜸하게. 멀게.
주028)
[爲]-+-게(연결 어미). 하게.
거녀 주029)
거녀
[爲]-+-거(대상성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어(의문 어미). 하는 것인가. ‘-녀’를 의문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인지빈병인수기 능사위랑적야소
【언해역】 가난하고 병든 것을 사람이 모름지기 버리는 것을 인하여 아노니, 능히 위십랑관으로 하여금 자취를 또 뜸하게 되게 하는 것인가?
Ⓒ 역자 | 임홍빈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재주(梓州) : 중국 사천성 삼태현에 있는 도시 이름.
주002)
막부(幕府) : 변방에서 지휘관이 머물면서 군사를 지휘하던 군막(軍幕). 군 지휘관의 군막.
주003)
위십랑관(韋十郞官) : 위(韋)씨로, 십낭관(十郞官)의 직위에 있던 인물.
주004)
투간재주막부겸간위십랑관(投簡梓州幕府兼簡韋十郞官) : 재주(梓州) 막부에 대한 서신 겸 위십낭관에 대한 서신을 보낸다. 이 시는 두보가 사천성(四川省) 한주(漢州)에 있을 때 지은 것이라 한다. 시로써 서신을 대신하여, 재주 막부의 여러 관리 및 위십낭관에게 뜻을 전한 것이다.
주005)
막하(幕下)앳 : 막하(幕下)+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막하(幕下)의. 막부(幕府) 아래의.
주006)
낭관(郞官)은 : 각 관아의 당하관을 일컫던 말. 가령, 조조는 20세 때인 174년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낭관(郞官)으로 관직에 올랐다고 한다.
주007)
편안(便安)녀 : 편안(便安)+-(형용사 파생 접미사)-+-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어(의문 어미). 편안한 것인가. ‘-녀’를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의 의문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주008)
아니녀 : 아니[不]+-(형용사 파생 접미사)-+-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어(의문 어미). 아니한 것인가. 위에서와 같이 여기서도 역시 ‘-녀’를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의 의문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주009)
요조브터 : 요조[近來]+브터(보조사). 요즈음부터. ¶昭ㅣ 모 사려 무러 닐오 요조 이른 뉘 그 허믈 맛고 여(소(昭)가 모든 사람에게 물어 이르기를 요즈음 일은 누가 그 잘못을 만든 것인가 하여늘)〈번소 9:26ㄱ〉.
주010)
오매 : 오[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옴에.
주011)
요조브터 오매 : 요즈음부터 옴에. 요즈음에는.
주012)
 줈 글도 : [一]#줄[行]+ㅅ(관형격 조사)#글[書]+도(보조사). 한 줄의 글도. 한 줄의 서신도. 한 줄의 편지도.
주013)
받디 : 받[受, 奉]-+-디(연결 어미). 받지.
주014)
몯요라 : 몯[不]+(동사 파생 접미사)-+-y(조음소)-+-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못한 것이다. 못하도다.
주015)
가난코 : 가난[貧]+-(형용사 파생 접미사)-+-고(연결 어미). 가난하고.
주016)
병(病)호 : 병(病)+-(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병듦을. 병드는 것을.
주017)
사미 : 사[人]+이(주격 조사). 사람이.
주018)
모로매 : 모름지기[須].
주019)
리논 : 리[棄]-+-(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버리는.
주020)
주를 : 줄(의존 명사)+을(대격 조사). 줄을. 것을.
주021)
인(因)야 : 인(因)+-(동사 파생 접미사)-+-y(조음소)-+-아(연결 어미). 인하여. 그로 인하여. 그 뒤에. 이어서.
주022)
아노니 : 알[知]-+-(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아노니. 아나니.
주023)
능(能)히 : 능(能)+-(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능히.
주024)
위낭(韋郞)으로 : 위낭(韋郞)+으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위낭으로. 위낭은 위십랑관(韋十郞官)을 가리킨다.
주025)
여 : [爲]-+-이(사동 파생 접미사)-+-어(연결 어미). 하여. 하여금.
주026)
자최 : 자최[跡, 迹]+(대격 조사). 자취를.
주027)
소(疎)히 : 소(疎)+(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뜸하게. 멀게.
주028)
케 : [爲]-+-게(연결 어미). 하게.
주029)
거녀 : [爲]-+-거(대상성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어(의문 어미). 하는 것인가. ‘-녀’를 의문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