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기간 하(寄簡下)
  • 맹씨(孟氏)
메뉴닫기 메뉴열기

맹씨(孟氏)


孟氏 주001)
맹씨(孟氏)
이 시는 대력(大曆) 2년(767), 기주(夔州)에서 지은 것이라 한다. 맹씨(孟氏) 형제가 두보네 이웃에 살았는데, 두 형제 사이의 우애가 돈독하였고, 두 형제가 모두 부모에 효도하는 품덕을 보였다고 한다.

맹씨

孟氏好兄弟 養親唯小園【言爲園야 以養親ㅣ라】

孟氏 주002)
맹씨(孟氏)
맹씨(孟氏)+(보조사). 맹씨는. 맹씨 성을 가진 형제를 가리킨다.
됴 주003)
됴
둏[好]-+-(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좋은.
兄弟니 주004)
형제(兄弟)니
형제(兄弟)#이(지정 형용사)-+-니(연결 어미). 형제이니. 형과 동생이니.
어버 주005)
어버
어버[父母, 兩親]+ㄹ(대격 조사). 어버이를. 부모를.
이바도 주006)
이바도
이받[奉養]-+-오(연결 어미). 대접하되. 봉양하되. 연결 어미 ‘-오’는, 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 ‘-오/우-’와 의존 명사 ‘-’가 연결 어미로 재구조화된 것이다.
오직 주007)
오직
다만. 단지.
져고맛 주008)
져고맛
져고마[小]+ㅅ(관형격 조사). 조고만. 조그만. 작은.
위안로 주009)
위안로
위안ㅎ[園]+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동산으로. 과수원으로. 과일밭으로.
놋다 주010)
놋다
[爲]-+-(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하는구나.

【한자음】 맹씨호형제 양친유소원【과수원을 하여 부모를 봉양하는 것을 말한다.】
【언해역】 맹씨는 좋은 형제이니, 부모 봉양하되 단지 조그만 과수원으로 하는구나.

承顔胝手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33ㄴ

足 坐客强盤飱

父母ㅅ 주011)
부모(父母)ㅅ
부모(父母)+ㅅ(관형격 조사). 부모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顔色 주012)
안색(顔色)
안색(顔色)+(대격 조사). 안색을. 얼굴색을.
바다 주013)
바다
받[承]-+-아(연결 어미). 받들어. 보살피어.
손바 주014)
손바
손발[手足]+(보조사). 손발을. 손과 발을. ‘’을 보조사로 본 것은 ‘브륻(부르트)-’가 타동사가 아니기 때문이다. 역주자는 이러한 ‘//을/를’ 등을 문제의 대상을 드러내는 주제화의 기능을 하는 보조사의 하나로 본다.
부륻게 주015)
부륻게
부륻[胝]-+-게(연결 어미). 부르트게.
니고 주016)
니고
[走]-+니[行]-+-고(연결 어미). 다니고.
안잿 주017)
안잿
앉[坐]-+-아(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앉아 있는.
소게 주018)
소게
손[客]+게(여격 조사, 부사격 조사). 손에게. 손님에게.
盤飱 주019)
반손(盤飱)
반손(盤飱)+(대격 조사). 소반의 저녁밥을.
고파 주020)
고파
억지로. 힘겹게. 힘들여. 힘을 다하여. 정성을 다하여.
놋다 주021)
놋다
[爲]-+-(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하는구나.

【한자음】 승안지수족 좌객강반손
【언해역】 부모의 얼굴색을 보살펴 손발이 부르트게 다니고, 앉아 있는 손님에게 소반의 저녁밥을 정성을 다하여 하는구나.

負米力葵外 讀書秋樹根【子路ㅣ 爲親負米니 言孟氏ㅣ 致力治葵之餘에 出而負米也ㅣ라】

아오 주022)
아오
아옥[葵]+(대격 조사). 아욱을.
힘 주023)
힘
힘[力]#[用]-+-어(연결 어미). 힘을 써. 힘써.
던 주024)
던
[鋤(서)]-+-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 매던. 김을 매던. 이의 ‘던’은 ‘매던 것’으로 풀이해야 한다. ‘-ㄴ’을 동명사 어미로 본 것은 이 때문이다.
밧긔 주025)
밧긔
[外]+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밖에. 외에.
 주026)

[米]+(대격 조사). 쌀을. ¶그 짓 리  가져 나오 婆羅門이 보고 깃거 이 각시 내 얻니논 매 맛도다(그 집 딸이 쌀 가져 나오는 것을 바라문이 보고 기뻐 이 각시야말로 내가 찾아다니는 마음에 맞도다.)〈석상 6:14ㄱ~ㄴ〉.
지고 주027)
지고
지[負]-+-고(연결 어미). 지고.
 주028)

[秋]+ㅅ(관형격 조사). 가을의.
나못 주029)
나못
나모[木, 樹]+ㅅ(관형격 조사). 나무의.
미틔셔 주030)
미틔셔
밑[低, 根]+의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밑에서. ‘의셔’를 처격 조사로 보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한 것이다.
그를 주031)
그를
글[文, 書]+을(대격 조사). 글을.
닑놋다 주032)
닑놋다
닑[讀]-+-(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읽는구나. 읽는도다.

【한자음】 부미력규외 독서추수근【자로(子路)가 부모를 위하여 쌀을 지니, 맹씨가 힘을 다하여 아욱을 기르는 나머지에 나가서 쌀을 지는 것을 말한다.】
【언해역】 아욱을 힘써 매는 것 외에 쌀을 지고 가을의 나무 밑에서 글을 읽는도다.

卜隣慚近舍 訓子覺先門【先門은 謂孟母의 敎子也ㅣ니 此亦孟姓故로 云先門이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이우제 주033)
이우제
이웆[隣]+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이웃에. 이웃에서.
占卜야 주034)
점복(占卜)야
점복(占卜)+-(동사 파생 접미사)-+-y(조음소)-+-아(연결 어미). 점복하여. 점을 쳐서.
사로매 주035)
사로매
살[生]-+-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원인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삶에. 살기 때문에.
지비 주036)
지비
집[家, 舍]+이(주격 조사). 집이.
갓가오 주037)
갓가오
갓갑[近]-+-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가까움을.
붓그리노니 주038)
붓그리노니
붓그리[慚(참)]-+-(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부끄러워하니.
아 주039)
아
아들[子].
쵸란 주040)
쵸란
치[敎, 訓]-+-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란(보조사). 가르침이란. 가르침이란 것은.
몬졋 주041)
몬졋
몬져[先]+ㅅ(관형격 조사). 먼저의.
家門엣 주042)
가문(家門)엣
가문(家門)+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가문에의. 가문의.
이를 주043)
이를
일[事]+을(대격 조사). 일을.
아놋다 주044)
아놋다
알[知, 覺]-+-(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아는구나. 아는도다. 아는 것이구나. 아는 것이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복린참근사 훈자각선문【‘먼저 가문’은 맹모(孟母)의 자식 가르침을 이르니, 이 또한 성이 맹씨이기 때문에 ‘먼저 가문’을 말한 것이다.】
【언해역】 이웃에서 점을 쳐서 살기 때문에 집이 가까운 것을 부끄러워하니, 아들 가르치는 것은 ‘먼저 가문’의 일을 아는 것이구나.
Ⓒ 역자 | 임홍빈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맹씨(孟氏) : 이 시는 대력(大曆) 2년(767), 기주(夔州)에서 지은 것이라 한다. 맹씨(孟氏) 형제가 두보네 이웃에 살았는데, 두 형제 사이의 우애가 돈독하였고, 두 형제가 모두 부모에 효도하는 품덕을 보였다고 한다.
주002)
맹씨(孟氏) : 맹씨(孟氏)+(보조사). 맹씨는. 맹씨 성을 가진 형제를 가리킨다.
주003)
됴 : 둏[好]-+-(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좋은.
주004)
형제(兄弟)니 : 형제(兄弟)#이(지정 형용사)-+-니(연결 어미). 형제이니. 형과 동생이니.
주005)
어버 : 어버[父母, 兩親]+ㄹ(대격 조사). 어버이를. 부모를.
주006)
이바도 : 이받[奉養]-+-오(연결 어미). 대접하되. 봉양하되. 연결 어미 ‘-오’는, 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 ‘-오/우-’와 의존 명사 ‘-’가 연결 어미로 재구조화된 것이다.
주007)
오직 : 다만. 단지.
주008)
져고맛 : 져고마[小]+ㅅ(관형격 조사). 조고만. 조그만. 작은.
주009)
위안로 : 위안ㅎ[園]+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동산으로. 과수원으로. 과일밭으로.
주010)
놋다 : [爲]-+-(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하는구나.
주011)
부모(父母)ㅅ : 부모(父母)+ㅅ(관형격 조사). 부모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주012)
안색(顔色) : 안색(顔色)+(대격 조사). 안색을. 얼굴색을.
주013)
바다 : 받[承]-+-아(연결 어미). 받들어. 보살피어.
주014)
손바 : 손발[手足]+(보조사). 손발을. 손과 발을. ‘’을 보조사로 본 것은 ‘브륻(부르트)-’가 타동사가 아니기 때문이다. 역주자는 이러한 ‘//을/를’ 등을 문제의 대상을 드러내는 주제화의 기능을 하는 보조사의 하나로 본다.
주015)
부륻게 : 부륻[胝]-+-게(연결 어미). 부르트게.
주016)
니고 : [走]-+니[行]-+-고(연결 어미). 다니고.
주017)
안잿 : 앉[坐]-+-아(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앉아 있는.
주018)
소게 : 손[客]+게(여격 조사, 부사격 조사). 손에게. 손님에게.
주019)
반손(盤飱) : 반손(盤飱)+(대격 조사). 소반의 저녁밥을.
주020)
고파 : 억지로. 힘겹게. 힘들여. 힘을 다하여. 정성을 다하여.
주021)
놋다 : [爲]-+-(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하는구나.
주022)
아오 : 아옥[葵]+(대격 조사). 아욱을.
주023)
힘 : 힘[力]#[用]-+-어(연결 어미). 힘을 써. 힘써.
주024)
던 : [鋤(서)]-+-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 매던. 김을 매던. 이의 ‘던’은 ‘매던 것’으로 풀이해야 한다. ‘-ㄴ’을 동명사 어미로 본 것은 이 때문이다.
주025)
밧긔 : [外]+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밖에. 외에.
주026)
 : [米]+(대격 조사). 쌀을. ¶그 짓 리  가져 나오 婆羅門이 보고 깃거 이 각시 내 얻니논 매 맛도다(그 집 딸이 쌀 가져 나오는 것을 바라문이 보고 기뻐 이 각시야말로 내가 찾아다니는 마음에 맞도다.)〈석상 6:14ㄱ~ㄴ〉.
주027)
지고 : 지[負]-+-고(연결 어미). 지고.
주028)
 : [秋]+ㅅ(관형격 조사). 가을의.
주029)
나못 : 나모[木, 樹]+ㅅ(관형격 조사). 나무의.
주030)
미틔셔 : 밑[低, 根]+의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밑에서. ‘의셔’를 처격 조사로 보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한 것이다.
주031)
그를 : 글[文, 書]+을(대격 조사). 글을.
주032)
닑놋다 : 닑[讀]-+-(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읽는구나. 읽는도다.
주033)
이우제 : 이웆[隣]+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이웃에. 이웃에서.
주034)
점복(占卜)야 : 점복(占卜)+-(동사 파생 접미사)-+-y(조음소)-+-아(연결 어미). 점복하여. 점을 쳐서.
주035)
사로매 : 살[生]-+-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원인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삶에. 살기 때문에.
주036)
지비 : 집[家, 舍]+이(주격 조사). 집이.
주037)
갓가오 : 갓갑[近]-+-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가까움을.
주038)
붓그리노니 : 붓그리[慚(참)]-+-(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부끄러워하니.
주039)
아 : 아들[子].
주040)
쵸란 : 치[敎, 訓]-+-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란(보조사). 가르침이란. 가르침이란 것은.
주041)
몬졋 : 몬져[先]+ㅅ(관형격 조사). 먼저의.
주042)
가문(家門)엣 : 가문(家門)+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가문에의. 가문의.
주043)
이를 : 일[事]+을(대격 조사). 일을.
주044)
아놋다 : 알[知, 覺]-+-(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아는구나. 아는도다. 아는 것이구나. 아는 것이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