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복약방술문(服藥方術門)
  • 복약방술문 017
메뉴닫기 메뉴열기

복약방술문 017


又方治時氣熱病
生葛根

분문온역이해방:26ㄴ

右不計多少擣取汁服之若無則乾者水煎服亦可

시긔로 주001)
시긔로:
시긔(時氣)+로(조격 조사). 절기에 따라 (유행하는).
덥단 주002)
덥단:
더운 열나는 병. 덥게 열나는 병. 전염성 열병. 염병.
고툐 주003)
고툐:
고티[治]-+-오(연결 어미). 고치되. 치료하되. ‘-오’의 ‘-오/우-’를 선어말 어미로도 보기도 한다.
츩불휘 주004)
츩불휘:
[生]+츩[葛]+불휘[根]. 날칡뿌리. 생갈근. ‘칡’은 콩과의 낙엽 활엽 덩굴성 식물로, 8월에 붉은 자주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협과(莢果)로 9~10월에 익는다. 산기슭 양지에서 자라며,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학명은 Pueraria thunbergiana이다. 칡뿌리의 껍질을 벗겨 잘게 썰어서 소금물 또는 백반수에 담갔다가 말린 것을 한의학에서 ‘갈근(葛根)’이라 한다. 겉은 회백색의 섬유질로 되어 있고, 씹으면 들척지근한 맛이 난다. 한방에서는 고열, 두통 등의 완화제로 쓰인다.([1], [11], [24] 참조)
하나 져그나 주005)
하나 져그나:
하[多]-+-나#적[少]-+-으(조음소)-+-나(연결 어미). 많으나 적으나, 많든 적든.
혜디 주006)
혜디:
혜[計]-+-디(연결 어미). 계산하지. 헤어리지. 생각하지. 상관하지.
마오 주007)
마오:
말[禁]-+-고(연결 어미). 말고. ‘말고’가 ‘ㄱ’ 탈락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말오’가 되고(‘말오’ 형식도 이 책에 나타난다), ‘말오’형에서 다시 ‘ㄹ’이 탈락하여 ‘마오’가 되었다.
즛두드려 주008)
즛두드려:
즛(접두사)-+-두드리-+-어(연결 어미). 짓두드려.
즙  주009)
즙 :
즙(汁)#[絞]-+-아(연결 어미). 즙 짜.
머구 주010)
머구:
먹[食]-+-우(연결 어미). 먹되.
옷 주011)
옷:
[生]+옷(보조사). 날것 바로 그것. ‘’이 명사적으로 쓰인 것이 주목된다.
업거든 니 주012)
니:
[乾]-+-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대격 조사). 마른 것을.
므레 달혀 주013)
므레 달혀:
믈[水]+에(처격 조사)#달[熱]-+-히(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물에 달여.
머거도 주014)
머거도:
먹[食]-+-어(연결 어미)+도(보조사). 먹어도. ‘-어도’를 하나의 어미로 취급하기도 한다.
됴니라 주015)
됴니라:
됴[可]-+-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평서형 종결 어미). 좋으니라. ‘-니라’ 전체를 하나의 어미로 분석하기도 한다. 이는 재구조화에 의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또 절기로 앓는 더운 열나는 병
(열병, 염병)
고치되, 생갈근을 많든 적든 계산하지
(상관하지)
말고, 짓두드려 즙 짜 먹되 날 것 곧 없거든 마른 것을 물에 달여 먹어도 좋으니라.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시긔로:시긔(時氣)+로(조격 조사). 절기에 따라 (유행하는).
주002)
덥단:더운 열나는 병. 덥게 열나는 병. 전염성 열병. 염병.
주003)
고툐:고티[治]-+-오(연결 어미). 고치되. 치료하되. ‘-오’의 ‘-오/우-’를 선어말 어미로도 보기도 한다.
주004)
츩불휘:[生]+츩[葛]+불휘[根]. 날칡뿌리. 생갈근. ‘칡’은 콩과의 낙엽 활엽 덩굴성 식물로, 8월에 붉은 자주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협과(莢果)로 9~10월에 익는다. 산기슭 양지에서 자라며,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학명은 Pueraria thunbergiana이다. 칡뿌리의 껍질을 벗겨 잘게 썰어서 소금물 또는 백반수에 담갔다가 말린 것을 한의학에서 ‘갈근(葛根)’이라 한다. 겉은 회백색의 섬유질로 되어 있고, 씹으면 들척지근한 맛이 난다. 한방에서는 고열, 두통 등의 완화제로 쓰인다.([1], [11], [24] 참조)
주005)
하나 져그나:하[多]-+-나#적[少]-+-으(조음소)-+-나(연결 어미). 많으나 적으나, 많든 적든.
주006)
혜디:혜[計]-+-디(연결 어미). 계산하지. 헤어리지. 생각하지. 상관하지.
주007)
마오:말[禁]-+-고(연결 어미). 말고. ‘말고’가 ‘ㄱ’ 탈락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말오’가 되고(‘말오’ 형식도 이 책에 나타난다), ‘말오’형에서 다시 ‘ㄹ’이 탈락하여 ‘마오’가 되었다.
주008)
즛두드려:즛(접두사)-+-두드리-+-어(연결 어미). 짓두드려.
주009)
즙 :즙(汁)#[絞]-+-아(연결 어미). 즙 짜.
주010)
머구:먹[食]-+-우(연결 어미). 먹되.
주011)
옷:[生]+옷(보조사). 날것 바로 그것. ‘’이 명사적으로 쓰인 것이 주목된다.
주012)
니:[乾]-+-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대격 조사). 마른 것을.
주013)
므레 달혀:믈[水]+에(처격 조사)#달[熱]-+-히(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물에 달여.
주014)
머거도:먹[食]-+-어(연결 어미)+도(보조사). 먹어도. ‘-어도’를 하나의 어미로 취급하기도 한다.
주015)
됴니라:됴[可]-+-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평서형 종결 어미). 좋으니라. ‘-니라’ 전체를 하나의 어미로 분석하기도 한다. 이는 재구조화에 의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