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불상전염문(不相傳染門)
  • 불상전염문 012
메뉴닫기 메뉴열기

불상전염문 012


簡易辟溫方家染時疫卽初病人衣服浣洗令淨飯甑中蒸之卽無傳染之患

簡易辟溫方 주001)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조선조 중종 때 의관 김순몽, 유영정, 박세거 등이 왕명에 의해 온역(瘟疫)의 치료에 필요한 처방문(處方文)을 모아 1권 1책으로 엮은 의서. 1524년(중종 19)에 평안도 전역에 전염병이 크게 번져 많은 백성들이 죽자 김순몽 등에게 명하여 온역에 필요한 모든 방문(方文)들을 뽑아 한글로 번역하여, 이를 1525년 5월에 널리 보급하도록 한 것이다. 현재 원간본은 전하지 않고 1578년(선조 11)의 을해자(乙亥字), 1631년(광해군 5)의 훈련도감자로 된 중간본이 전한다.([2]. [13]. [22], [33] 등 참조)
주002)
간이벽온방(簡易辟溫方)의:
≪간이벽온방(簡易辟溫方)≫+의(처격 조사). ≪간이벽온방≫이란 책에.
지븨 주003)
지븨:
집[家]+의(처격 조사, 방향격 조사). 집에.
모딘 이 주004)
모딘 이:
모딜-+-ㄴ(관형사형 어미)#병(病)+이(주격 조사). 모진 병이. 나쁜 병이.
들어든 주005)
들어든:
들[入]-+-거든(연결 어미). 들거든. ‘-거든’이 ‘-어든’이 된 것은 ‘ㄹ’ 뒤에서 ‘ㄱ’이 탈락한 것이다.
즉재 주006)
즉재:
즉시.
처 주007)
처:
처음.
 사 주008)
 사:
(病)-+-ㄴ(관형사형 어미)#사+이(주격 조사). 병든 사람이. 병을 앓는 사람이.
오 주009)
오:
옷[衣]+(대격 조사). 옷을.
라 주010)
라:
[浣洗]-+-아(연결 어미). 빨아. 세탁하여.
조케 주011)
조케:
좋[淨]-+-게(연결 어미). 깨끗하게.
야 주012)
야:
[爲]-+-j(조음소)-+-아(연결 어미). 하여.
밥  주013)
밥 :
밥[飯]#[蒸]-+-(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밥 찌는.
시예 주014)
시예:
시[甑]+j+에(처격 조사). ‘시’와 ‘에’ 사이에 조음소 /j/가 개입된 모습을 보인다.
면 주015)
면:
[蒸]-+-면(연결 어미). 찌면.
곧 이 뎐염티 주016)
뎐염티:
뎐염(傳染)-+-디(연결 어미). 전염하지.
아니니라 주017)
아니니라:
아니[不爲]-+-(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평서 종결 어미). 아니하느니라. ‘-니라’ 전체를 하나의 어미로 분석하기도 한다. 이는 재구조화에 의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간이벽온방(簡易辟溫方)≫에 집에 모진 병이 들거든 즉시 처음 병든 사람의 옷을 빨아 깨끗하게 하여 밥 찌는 시루에 찌면 곧 병이 전염치 아니하느니라.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조선조 중종 때 의관 김순몽, 유영정, 박세거 등이 왕명에 의해 온역(瘟疫)의 치료에 필요한 처방문(處方文)을 모아 1권 1책으로 엮은 의서. 1524년(중종 19)에 평안도 전역에 전염병이 크게 번져 많은 백성들이 죽자 김순몽 등에게 명하여 온역에 필요한 모든 방문(方文)들을 뽑아 한글로 번역하여, 이를 1525년 5월에 널리 보급하도록 한 것이다. 현재 원간본은 전하지 않고 1578년(선조 11)의 을해자(乙亥字), 1631년(광해군 5)의 훈련도감자로 된 중간본이 전한다.([2]. [13]. [22], [33] 등 참조)
주002)
간이벽온방(簡易辟溫方)의:≪간이벽온방(簡易辟溫方)≫+의(처격 조사). ≪간이벽온방≫이란 책에.
주003)
지븨:집[家]+의(처격 조사, 방향격 조사). 집에.
주004)
모딘 이:모딜-+-ㄴ(관형사형 어미)#병(病)+이(주격 조사). 모진 병이. 나쁜 병이.
주005)
들어든:들[入]-+-거든(연결 어미). 들거든. ‘-거든’이 ‘-어든’이 된 것은 ‘ㄹ’ 뒤에서 ‘ㄱ’이 탈락한 것이다.
주006)
즉재:즉시.
주007)
처:처음.
주008)
 사:(病)-+-ㄴ(관형사형 어미)#사+이(주격 조사). 병든 사람이. 병을 앓는 사람이.
주009)
오:옷[衣]+(대격 조사). 옷을.
주010)
라:[浣洗]-+-아(연결 어미). 빨아. 세탁하여.
주011)
조케:좋[淨]-+-게(연결 어미). 깨끗하게.
주012)
야:[爲]-+-j(조음소)-+-아(연결 어미). 하여.
주013)
밥 :밥[飯]#[蒸]-+-(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밥 찌는.
주014)
시예:시[甑]+j+에(처격 조사). ‘시’와 ‘에’ 사이에 조음소 /j/가 개입된 모습을 보인다.
주015)
면:[蒸]-+-면(연결 어미). 찌면.
주016)
뎐염티:뎐염(傳染)-+-디(연결 어미). 전염하지.
주017)
아니니라:아니[不爲]-+-(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평서 종결 어미). 아니하느니라. ‘-니라’ 전체를 하나의 어미로 분석하기도 한다. 이는 재구조화에 의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