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진양문(鎭禳門)
  • 진양문 025
메뉴닫기 메뉴열기

진양문 025


분문온역이해방:8ㄴ

聖惠方治時氣瘴疫女靑【卽蘿摩】 正月上寅日取搗羅爲末四兩以三角絳囊繫戶上帳前

聖惠方 주001)
성혜방(聖惠方):
송나라 때 최초로 국가에서 발행한 의서. ≪성혜방(成惠方)≫이라고도 불리는 이 책은 총 100권으로 구성되었으며 992년에 발간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한림의관원(翰林醫官院)에 적을 두고 있던 왕회은(王懷隱)의 주도로 민간에서 주로 사용하는 처방과 북송이 전의 방서를 종합하여 만든 의방서이다. 권1~2는 진단법 및 처방 용약법을 주로 논하고 권3~7은 오장의 모든 병을 나누어 논하였으며, 권8~14는 상한을 논하였다. 권15~59는 내과 잡병(눈·입과 이·목을 포함)을 논하고 권60~68은 외과 질병은, 권69~81은 부인병을, 권82~93은 어린아이의 질병을, 권94~95는 단약 먹는 것을, 권96~98은 식이 요법 및 보익방을, 권99는 침경 십이인형도를, 권100은 명당구경 및 소아구경을 논하였다. 총 만여 가지의 방제를 수록하고 있으며 북송 이전을 총결한 대형 임상 방서로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62] 참조)
주002)
성혜방(聖惠方)의:
≪성혜방≫+의(처격 조사). ≪성혜방≫이란 책에.
시긔 주003)
시긔:
시기(時氣). 계절병을 가리킨다.
셕 주004)
셕:
‘장역병(瘴疫病)’이 전와된 것으로 추측된다.
고툐 새 주005)
박: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풀. 전체가 잔털로 덮여 있고 줄기가 변한 덩굴손이 있어서 다른 물건을 감고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둥근 심장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얕게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다. 여름에 흰 꽃이 잎겨드랑이에 한 개씩 피는데 저녁부터 피었다가 아침 햇살이 나면 시든다. 암수한그루이나 암수의 꽃이 따로 핀다. 포과(匏瓜)ㆍ포로(匏蘆)라고도 한다. 학명은 Lagenaria leucantha.(≪표준국어대사전≫ 참조)
주006)
박을:
박+을(대격 조사).
월 첫 저우룸날 주007)
월 첫 저우룸 날:
정월의 인일(寅日), 즉 음력 1월 첫 범날. 호랑이날.
디허 주008)
디허:
딯[搗]-+-어(연결 어미). 찧어. ‘딯-’이 ‘찧-’로 됨은 구개음화에 의한 것이다.
체로 주009)
체로:
체[篩]+로(조격 조사). 체로. 체를 가지고. 체로써.
주010)
처:
츠[篩]-+-어(연결 어미). (체로) 쳐.
 주011)
:
가루[粉]. 중세어에서 ‘’는 ‘이(주격), (대격)’과 같이 특수 교체를 보였다.
라 주012)
라:
[作]-+-아(연결 어미). 만들어.
넉 을 서 모 난 주013)
서 모 난:
서[三]#모[角]#나[生]-+-ㄴ(관형사형 어미). 세 모 난.
블근 주014)
블근:
븕-+-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붉은. ‘븕-’이 ‘붉-’이 된 것은 순음화에 의한 것이다.
 주015)
:
주머니.
녀허 주016)
녀허:
녛-+-어(연결 어미). 넣어.
우희와 주017)
우희와:
우ㅎ[上] +와(접속 조사). 위와.
주018)
(帳):
천막. 휘장. 천막. 유목민의 집. 여기서는 ‘집’으로 해석하였다.
앏 주019)
앏:
앒[前]+(처격 조사). 앞에.
야 주020)
야:
[繫]-+-아(연결 어미). 매어. 연결 어미 ‘-아’가 ‘야’로 적힌 것은 ‘ㅣ’ 모음 순행 동화에 의한 것이다.
라 주021)
라:
[懸]-+-라(명령형 어미). 달라.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성혜방(聖惠方)≫에 계절병 장역병[瘴疫病] 고치되(고치려면) 새 박을 정월 첫 범날 찧어 체로 쳐 가루 만들어 넉 냥을 세 모 난 붉은 주머니에 넣어 문 위와 집 앞에 매어 달라고 하였다.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성혜방(聖惠方):송나라 때 최초로 국가에서 발행한 의서. ≪성혜방(成惠方)≫이라고도 불리는 이 책은 총 100권으로 구성되었으며 992년에 발간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한림의관원(翰林醫官院)에 적을 두고 있던 왕회은(王懷隱)의 주도로 민간에서 주로 사용하는 처방과 북송이 전의 방서를 종합하여 만든 의방서이다. 권1~2는 진단법 및 처방 용약법을 주로 논하고 권3~7은 오장의 모든 병을 나누어 논하였으며, 권8~14는 상한을 논하였다. 권15~59는 내과 잡병(눈·입과 이·목을 포함)을 논하고 권60~68은 외과 질병은, 권69~81은 부인병을, 권82~93은 어린아이의 질병을, 권94~95는 단약 먹는 것을, 권96~98은 식이 요법 및 보익방을, 권99는 침경 십이인형도를, 권100은 명당구경 및 소아구경을 논하였다. 총 만여 가지의 방제를 수록하고 있으며 북송 이전을 총결한 대형 임상 방서로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62] 참조)
주002)
성혜방(聖惠方)의:≪성혜방≫+의(처격 조사). ≪성혜방≫이란 책에.
주003)
시긔:시기(時氣). 계절병을 가리킨다.
주004)
셕:‘장역병(瘴疫病)’이 전와된 것으로 추측된다.
주005)
박:박과의 한해살이 덩굴풀. 전체가 잔털로 덮여 있고 줄기가 변한 덩굴손이 있어서 다른 물건을 감고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둥근 심장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얕게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다. 여름에 흰 꽃이 잎겨드랑이에 한 개씩 피는데 저녁부터 피었다가 아침 햇살이 나면 시든다. 암수한그루이나 암수의 꽃이 따로 핀다. 포과(匏瓜)ㆍ포로(匏蘆)라고도 한다. 학명은 Lagenaria leucantha.(≪표준국어대사전≫ 참조)
주006)
박을:박+을(대격 조사).
주007)
월 첫 저우룸 날:정월의 인일(寅日), 즉 음력 1월 첫 범날. 호랑이날.
주008)
디허:딯[搗]-+-어(연결 어미). 찧어. ‘딯-’이 ‘찧-’로 됨은 구개음화에 의한 것이다.
주009)
체로:체[篩]+로(조격 조사). 체로. 체를 가지고. 체로써.
주010)
처:츠[篩]-+-어(연결 어미). (체로) 쳐.
주011)
:가루[粉]. 중세어에서 ‘’는 ‘이(주격), (대격)’과 같이 특수 교체를 보였다.
주012)
라:[作]-+-아(연결 어미). 만들어.
주013)
서 모 난:서[三]#모[角]#나[生]-+-ㄴ(관형사형 어미). 세 모 난.
주014)
블근:븕-+-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붉은. ‘븕-’이 ‘붉-’이 된 것은 순음화에 의한 것이다.
주015)
:주머니.
주016)
녀허:녛-+-어(연결 어미). 넣어.
주017)
우희와:우ㅎ[上] +와(접속 조사). 위와.
주018)
(帳):천막. 휘장. 천막. 유목민의 집. 여기서는 ‘집’으로 해석하였다.
주019)
앏:앒[前]+(처격 조사). 앞에.
주020)
야:[繫]-+-아(연결 어미). 매어. 연결 어미 ‘-아’가 ‘야’로 적힌 것은 ‘ㅣ’ 모음 순행 동화에 의한 것이다.
주021)
라:[懸]-+-라(명령형 어미). 달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