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진양문(鎭禳門)
  • 진양문 027
메뉴닫기 메뉴열기

진양문 027


傷寒類要治天行辟溫松葉細切酒服方寸匕

분문온역이해방:9ㄱ

日三辟五年瘟

傷寒類要 주001)
상한류요(傷寒類要):
쉽게 확인되지 않지만, 역병을 치료하고 온병을 막는 처방을 말하는 것으로 해석한 블로그도 있으나, 이는 처방 이름이라기보다는 책 이름으로 해석해야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송나라 때 양사영(梁士瀛)이 지은 ≪상한류서(傷寒類書)≫는 세종 13년 5월에 50부 정도를 인출한 일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이 ≪상한류요≫를 말하는 것인지 확인되지 않는다.
주002)
상한류요(傷寒類要)애:
≪상한류요(傷寒類要)≫+애(처격 조사). 상한류요란 책에.
시긧병 주003)
시긧병:
시긔(時氣)+ㅅ(사이시옷)+병. 계절에 따라 유행하는 시환(時患). 계절병.
고티며 덥단병 주004)
덥단병:
전염성 열병. 염병.
업게 호 솔닙 주005)
솔닙:
솔[松]+닙[葉]. 솔잎. 소나무 잎.
리 주006)
리:
[細]-+-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늘게.
싸라 주007)
싸라:
싸[切]-+-아(연결 어미). 썰어.
 술옴 주008)
 술옴:
[一]+술+곰(보조사). 한 숟가락씩.
수 주009)
수:
술[酒]+(처격 조사). 술에.
프러 주010)
프러:
플-+-어(연결 어미).
 주011)
:
하루. 중세어에서 ‘’는 ‘이(주격), (대격)’과 같이 특수 교체를 보이었다.
세 번곰 주012)
세 번곰:
세#번+곰(보조사). 세 번씩.
머그면 다  주013)
다 :
다[五]+[年]+ㅅ(사이시옷). 다섯 해의. ‘오년 전염성 열병’은 오년만에 오는 전염성 열병 또는 오년 동안 생긴 전염성 열병 중 가장 심한 것.
 주014)
:
가장. 제일.
덥단 업게 리라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상한류요(傷寒類要)≫에 계절병 고치며 전염성 열병 없게 하되(하려면), 솔잎 가늘게 썰어 한 숟가락씩 술에 풀어 세 번씩 먹으면, 오년 가장 (심한) 전염성 열병(염병) 없게 할 것이라고 하였다.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상한류요(傷寒類要):쉽게 확인되지 않지만, 역병을 치료하고 온병을 막는 처방을 말하는 것으로 해석한 블로그도 있으나, 이는 처방 이름이라기보다는 책 이름으로 해석해야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송나라 때 양사영(梁士瀛)이 지은 ≪상한류서(傷寒類書)≫는 세종 13년 5월에 50부 정도를 인출한 일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이 ≪상한류요≫를 말하는 것인지 확인되지 않는다.
주002)
상한류요(傷寒類要)애:≪상한류요(傷寒類要)≫+애(처격 조사). 상한류요란 책에.
주003)
시긧병:시긔(時氣)+ㅅ(사이시옷)+병. 계절에 따라 유행하는 시환(時患). 계절병.
주004)
덥단병:전염성 열병. 염병.
주005)
솔닙:솔[松]+닙[葉]. 솔잎. 소나무 잎.
주006)
리:[細]-+-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늘게.
주007)
싸라:싸[切]-+-아(연결 어미). 썰어.
주008)
 술옴:[一]+술+곰(보조사). 한 숟가락씩.
주009)
수:술[酒]+(처격 조사). 술에.
주010)
프러:플-+-어(연결 어미).
주011)
:하루. 중세어에서 ‘’는 ‘이(주격), (대격)’과 같이 특수 교체를 보이었다.
주012)
세 번곰:세#번+곰(보조사). 세 번씩.
주013)
다 :다[五]+[年]+ㅅ(사이시옷). 다섯 해의. ‘오년 전염성 열병’은 오년만에 오는 전염성 열병 또는 오년 동안 생긴 전염성 열병 중 가장 심한 것.
주014)
:가장. 제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