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진양문(鎭禳門)
  • 진양문 022
메뉴닫기 메뉴열기

진양문 022


千金方辟溫疫氣傷寒熱病正月朔朝取東行桑根如指長七寸以朱砂塗之懸門戶上又令人帶之【肘後方云二月一日】

千金方 주001)
천금방(千金方):
중국 당(唐)나라 때의 손사막(孫思邈)이 650년 무렵에 저술한 의학서. 원제는 ≪비급천금요방(備急千金要方)≫이며, 중국에서 체계적으로 편찬된 가장 오래된 의학 전서이다. 인명(人命)은 소중하여 천금(千金)의 가치가 있으며, 하나의 처방으로 인명을 구한다는 것은 덕이 천금을 초월하는 것과 같다는 데서 책이름이 붙여졌다. 내용은 대개 출전(出典)이 기록되어 있지 않고 대부분이 당시의 처방을 수록한 것이다. 이 책은 당나라 때부터 송(宋)나라 때에 걸쳐서 널리 이용되었으며 후에 ≪천금방≫을 보충하기 위하여 ≪천금익방(千金翼方)≫이 저술되었다.([11] 참조)
주002)
천금방(千金方)의:
≪천금방(千金方)≫+의(처격 조사). ≪천금방≫이란 책에.
덥단 모딘 긔와 주003)
덥단 모딘 긔와:
덥[溫]-+달[熱]-+-ㄴ(관형사형 어미)#모딜-+-ㄴ(관형사형 어미)#긔(病氣)+와(접속 조사). 더운 열 나는 모진 병기운과. 모진 염병과.
한으로 주004)
한으로:
한(傷寒)+으로(조격 조사). 감기로 인한.
덥단  업게 호 주005)
호:
[爲]-+-오(연결 어미). 하되. ‘-오/우-’를 선어말 어미로 보기도 한다.
월 초날 주006)
월 초날:
정월 초하룻날.
아 주007)
아:
아+(처격 조사). 아침에.
녁으로 주008)
녁으로:
동녘+으로(부사격 조사, 방향격 조사). 동녘으로, 동쪽으로.
버든 주009)
버든:
벋.
나못 주010)
나못:
[桑]+나모+ㅅ(사이시옷). 뽕나무의. 뽕나무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교목이다. 키는 10m에 이른다.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다소 두껍고 광택이 있으며, 잎 아래쪽은 3~5갈래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가 2~3㎝ 정도이다. 뽕나무 잎은 잠엽(蠶葉)이라 하여 누에를 기르는 데 쓴다. 한국에는 신라시대부터 뽕나무를 재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고려 현종 때는 마을마다 일정한 수의 뽕나무를 심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불휘 주011)
불휘:
뿌리.
손락 주012)
손락:
손+ㅅ(사이시옷)+가락. 손가락.
니 주013)
니:
-+-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같은 것.
기 주014)
기:
길-+-(명사 파생 접미사). 길이.
닐굽 치 주015)
닐굽 치:
닐굽[七]#치[寸]+(대격 조사). 일곱 치를.
다가 주016)
다가:
다그-+-아. 다가. 가지고.
쥬사로 주017)
쥬사로:
쥬사+로(조격 조사). 주사로. 주사를 가지고. 주사는 수은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이다. 육방 정계에 속하며 진한 붉은색을 띠고 다이아몬드 광택이 난다. 흔히 덩어리 모양으로 점판암, 혈암, 석회암 속에서 나며 수은의 원료, 붉은색 안료, 약재로 쓴다. 진사(辰砂)라고도 한다.
라 주018)
라:
-+-아(연결 어미). 발라. 발라서.
문과 주019)
문과:
문(門)+과(접속 조사). 문과. 문에 대한 고유어는 ‘오레’였으나, 이미 1542년 경에 이러한 말이 쓰이지 않게 되었음 알 수 있다.
지게 주020)
지게:
창문[戶].

분문온역이해방:8ㄱ

우희
주021)
우희:
우ㅎ+의. 위에. ‘우’가 ‘ㅎ’ 종성 체언이었다.
야 주022)
야:
-+-아(연결 어미). 매어. 연결 어미가 ‘-야’로 된 것은 ‘ㅣ’ 모음 순행 동화에 의한 것이다.
라 주023)
라:
[懸]-+-라(명령형 어미). 달라.
사도 주024)
사도:
사람+도(보조사). 사람도.
게 주025)
게:
-+-게(연결 어미). 차게.
라肘後方 주026)
주후방(肘後方):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의 준말. 중국 동진(東晋) 때 사람 갈홍(葛洪)이 썼다는 의방서이다. 당서(唐書)에는 편작(扁鵲)의 ≪주후방≫과 갈홍의 ≪주후방≫이 기록되었다고도 하고, 당서 예문지에는 유황(劉貺)의 ≪주후방≫이 기록되었다고 한다. 갈홍의 ≪주후방≫에는 수나라 양제의 후궁들이 콩을 애용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고 한다. 검은 콩을 식초에 넣어 이틀 밤을 불린 후 열을 가해 끓인 후 가라앉혀 농축액으로 만든 후 머리에 바르면 머리카락이 칠흑처럼 까맣게 변한다고 했다. 후궁들이 수양제에게 간택을 받기 위해 애용했던 궁중 비방이다. ≪주후방≫에는 또 매실 열매살, 씨, 뿌리의 약효가 소개되어 있다고 한다. 매실씨에는 기를 잘 돌게 하고 눈이 침침한 증상을 개선해주며 기력과 체력을 증강시켜주고 통증이나 열을 제거해주며 위산과다에 의한 위장의 질병을 누그러뜨린다고 적혀 있다. 사용방법은 가루로 빻아서 먹거나 초나 술에 담갔다가 사용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매실을 통째로 먹는 사람이나 분말을 복용한 사람은 위궤양이나 고혈압 의 개선, 변비의 해소 등 여러 가지의 효과를 실감했다는 체험담이 이어지고 있다고도 한다. 본장의 내용도 ≪주후방≫에 있었던 것으로 보아야 한다.([29], [34], [41] 등 참조)
의 주027)
주후방의:
≪주후방(肘後方)≫+의(처격 조사)+(보조사). ≪주후방≫에는.
이월 초[]날 라】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천금방(千金方)≫에 더운 열 나는 모진 병기운(전염병)과 감기로 인한 더운 열병 없게 하되(하려면) 정월 초하룻날 아침에 동녁으로 뻗은 뽕나무 뿌리, 손가락 〈굵기와〉 같은 것을, 길이 일곱 치를 가져다가 주사(朱砂)를 발라 문과 창문 위에 매달라. 또 사람에게도 〈허리에〉 차게 하라.주후방(肘後方)에는 이것을 이월 초하룻날 하게 하였다.】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천금방(千金方):중국 당(唐)나라 때의 손사막(孫思邈)이 650년 무렵에 저술한 의학서. 원제는 ≪비급천금요방(備急千金要方)≫이며, 중국에서 체계적으로 편찬된 가장 오래된 의학 전서이다. 인명(人命)은 소중하여 천금(千金)의 가치가 있으며, 하나의 처방으로 인명을 구한다는 것은 덕이 천금을 초월하는 것과 같다는 데서 책이름이 붙여졌다. 내용은 대개 출전(出典)이 기록되어 있지 않고 대부분이 당시의 처방을 수록한 것이다. 이 책은 당나라 때부터 송(宋)나라 때에 걸쳐서 널리 이용되었으며 후에 ≪천금방≫을 보충하기 위하여 ≪천금익방(千金翼方)≫이 저술되었다.([11] 참조)
주002)
천금방(千金方)의:≪천금방(千金方)≫+의(처격 조사). ≪천금방≫이란 책에.
주003)
덥단 모딘 긔와:덥[溫]-+달[熱]-+-ㄴ(관형사형 어미)#모딜-+-ㄴ(관형사형 어미)#긔(病氣)+와(접속 조사). 더운 열 나는 모진 병기운과. 모진 염병과.
주004)
한으로:한(傷寒)+으로(조격 조사). 감기로 인한.
주005)
호:[爲]-+-오(연결 어미). 하되. ‘-오/우-’를 선어말 어미로 보기도 한다.
주006)
월 초날:정월 초하룻날.
주007)
아:아+(처격 조사). 아침에.
주008)
녁으로:동녘+으로(부사격 조사, 방향격 조사). 동녘으로, 동쪽으로.
주009)
버든:벋.
주010)
나못:[桑]+나모+ㅅ(사이시옷). 뽕나무의. 뽕나무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교목이다. 키는 10m에 이른다.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다소 두껍고 광택이 있으며, 잎 아래쪽은 3~5갈래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가 2~3㎝ 정도이다. 뽕나무 잎은 잠엽(蠶葉)이라 하여 누에를 기르는 데 쓴다. 한국에는 신라시대부터 뽕나무를 재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고려 현종 때는 마을마다 일정한 수의 뽕나무를 심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주011)
불휘:뿌리.
주012)
손락:손+ㅅ(사이시옷)+가락. 손가락.
주013)
니:-+-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같은 것.
주014)
기:길-+-(명사 파생 접미사). 길이.
주015)
닐굽 치:닐굽[七]#치[寸]+(대격 조사). 일곱 치를.
주016)
다가:다그-+-아. 다가. 가지고.
주017)
쥬사로:쥬사+로(조격 조사). 주사로. 주사를 가지고. 주사는 수은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이다. 육방 정계에 속하며 진한 붉은색을 띠고 다이아몬드 광택이 난다. 흔히 덩어리 모양으로 점판암, 혈암, 석회암 속에서 나며 수은의 원료, 붉은색 안료, 약재로 쓴다. 진사(辰砂)라고도 한다.
주018)
라:-+-아(연결 어미). 발라. 발라서.
주019)
문과:문(門)+과(접속 조사). 문과. 문에 대한 고유어는 ‘오레’였으나, 이미 1542년 경에 이러한 말이 쓰이지 않게 되었음 알 수 있다.
주020)
지게:창문[戶].
주021)
우희:우ㅎ+의. 위에. ‘우’가 ‘ㅎ’ 종성 체언이었다.
주022)
야:-+-아(연결 어미). 매어. 연결 어미가 ‘-야’로 된 것은 ‘ㅣ’ 모음 순행 동화에 의한 것이다.
주023)
라:[懸]-+-라(명령형 어미). 달라.
주024)
사도:사람+도(보조사). 사람도.
주025)
게:-+-게(연결 어미). 차게.
주026)
주후방(肘後方):≪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의 준말. 중국 동진(東晋) 때 사람 갈홍(葛洪)이 썼다는 의방서이다. 당서(唐書)에는 편작(扁鵲)의 ≪주후방≫과 갈홍의 ≪주후방≫이 기록되었다고도 하고, 당서 예문지에는 유황(劉貺)의 ≪주후방≫이 기록되었다고 한다. 갈홍의 ≪주후방≫에는 수나라 양제의 후궁들이 콩을 애용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고 한다. 검은 콩을 식초에 넣어 이틀 밤을 불린 후 열을 가해 끓인 후 가라앉혀 농축액으로 만든 후 머리에 바르면 머리카락이 칠흑처럼 까맣게 변한다고 했다. 후궁들이 수양제에게 간택을 받기 위해 애용했던 궁중 비방이다. ≪주후방≫에는 또 매실 열매살, 씨, 뿌리의 약효가 소개되어 있다고 한다. 매실씨에는 기를 잘 돌게 하고 눈이 침침한 증상을 개선해주며 기력과 체력을 증강시켜주고 통증이나 열을 제거해주며 위산과다에 의한 위장의 질병을 누그러뜨린다고 적혀 있다. 사용방법은 가루로 빻아서 먹거나 초나 술에 담갔다가 사용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매실을 통째로 먹는 사람이나 분말을 복용한 사람은 위궤양이나 고혈압 의 개선, 변비의 해소 등 여러 가지의 효과를 실감했다는 체험담이 이어지고 있다고도 한다. 본장의 내용도 ≪주후방≫에 있었던 것으로 보아야 한다.([29], [34], [41] 등 참조)
주027)
주후방의:≪주후방(肘後方)≫+의(처격 조사)+(보조사). ≪주후방≫에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