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복약방술문(服藥方術門)
  • 복약방술문 011
메뉴닫기 메뉴열기

복약방술문 011


又方殺百精老物殃鬼辟溫疫瘴氣邪氣
升麻一兩  
右細剉水一升煎取汁服之入口卽吐出毒氣

온가짓 주001)
온가짓:
온 가지의. 온갖.
혼애 주002)
혼애:
혼(精魂)+애(처격 조사). ‘정혼’은 정령이나 영혼을 뜻하는 것으로 풀이되어 있기도 하지만, 혼백을 뜻하는 것으로 본다. ‘혼애’의 ‘애’는 처격 조사이지만, ‘혼애’가 재구조화되어 명사처럼 인식되고 그것이 수식 기능을 하게 된 것으로 본다. 따라서 ‘혼애 귓것’은 ‘혼앳 귓것’이나 ‘혼 귓것’과 같이 해석된다. ‘혼 귓것’은 사람 죽은 귀신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1], [24] 참조)
귓것과 오란 거시 주003)
오란 거시:
오라[久]-+-ㄴ(관형사형 어미)#것(의존 명사)+이(주격 조사). 오랜 것이. 오래된 것이.
귓것 도외니와 주004)
귓것 도외니와:
귓것#도외[化]-+-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와(접속 조사). 귀신 된 것과. ‘도외-’는 15세기 중세어형 ‘외-’가 변한 것이다.
어렛 주005)
어렛:
얼(殃孼)+에(방향 처격 조사)+ㅅ(사이시옷). 재앙에의. 재앙을 부르는.
귓거슬 주기며 딥(덥)단과 모딘 긔운과 주006)
모딘 긔운과:
모딜-+-ㄴ(관형사형 어미)#긔운(氣運)+과(접속 조사). 모딘 기운과. 나쁜 기운과.
샤긔를 주007)
샤긔를:
샤긔(邪氣)+를(대격 조사). 요사스러운 기운을.
업게 호 가리 주008)
댱가리:
승마(升麻).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미터 정도 자라며, 잎은 두 번 또는 세 번 세 쪽 겹잎이며 작은 잎은 달걀 모양으로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8~9월에 잘고 흰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골돌과(蓇葖果)이며 뿌리는 약용한다. 산지(山地)에서 자라며 한국, 만주, 우수리 강 등지에 분포한다. 끼멸가리, 끼절가리라고도 한다.
불휘 주009)
불휘:
뿌리.
에 주010)
에:
[細]-+-게(연결 어미). 가늘게. 연결 어미 ‘-게’가 ‘-에’가 된 것은 ‘ㄱ’ 탈락에 의한 것이다.
싸라 주011)
싸라:
싸[剉]-+-아(연결 어미). 썰어.
 을 믈  되 브 주012)
브:
[灌(관)]-+-어(연결 어미). 부어.
달힌 주013)
달힌:
달히[煎]-+-ㄴ(관형사형 어미). 달인.

분문온역이해방:25ㄱ

주014)
즈블:
즙(汁)+을(대격 조사). 즙을.
머그면 즉재 주015)
즉재:
즉시.
토야 주016)
토야:
토[吐]-+-j(조음소)-+-아(연결 어미). 토하여. 여기서는 방법을 뜻함.
모딘 긔운이 주017)
모딘 긔운이:
모딜-+-ㄴ(관형사형 어미)#긔운(氣運)+이(주격 조사). 모진 기운이. 나쁜 기운이. 여기서는 원문을 고려하여 ‘독기(毒氣)가’로 풀이하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
나니라 주018)
나니라:
나[出]-+-(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평서형 어미). 나느니라. 나오느니라. 빠지느니라. ‘-니라’를 평서 종결형 어미로 보기도 한다. 이는 재구조화에 의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또 온갖 혼백 귀신과 오랜 것이 귀신 된 것과 재앙을 부르는 귀신을 죽이며 더운 열나는 병(전염성 열병, 염병)과 모진 기운과 요사스러운 기운을 없게 하되 승마 뿌리 가늘게 썰어 한 냥을 물 한 되 부어 달인 즙을 먹으면 즉시 토하여 독기가 빠지느니라.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온가짓:온 가지의. 온갖.
주002)
혼애:혼(精魂)+애(처격 조사). ‘정혼’은 정령이나 영혼을 뜻하는 것으로 풀이되어 있기도 하지만, 혼백을 뜻하는 것으로 본다. ‘혼애’의 ‘애’는 처격 조사이지만, ‘혼애’가 재구조화되어 명사처럼 인식되고 그것이 수식 기능을 하게 된 것으로 본다. 따라서 ‘혼애 귓것’은 ‘혼앳 귓것’이나 ‘혼 귓것’과 같이 해석된다. ‘혼 귓것’은 사람 죽은 귀신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1], [24] 참조)
주003)
오란 거시:오라[久]-+-ㄴ(관형사형 어미)#것(의존 명사)+이(주격 조사). 오랜 것이. 오래된 것이.
주004)
귓것 도외니와:귓것#도외[化]-+-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와(접속 조사). 귀신 된 것과. ‘도외-’는 15세기 중세어형 ‘외-’가 변한 것이다.
주005)
어렛:얼(殃孼)+에(방향 처격 조사)+ㅅ(사이시옷). 재앙에의. 재앙을 부르는.
주006)
모딘 긔운과:모딜-+-ㄴ(관형사형 어미)#긔운(氣運)+과(접속 조사). 모딘 기운과. 나쁜 기운과.
주007)
샤긔를:샤긔(邪氣)+를(대격 조사). 요사스러운 기운을.
주008)
댱가리:승마(升麻).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미터 정도 자라며, 잎은 두 번 또는 세 번 세 쪽 겹잎이며 작은 잎은 달걀 모양으로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8~9월에 잘고 흰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골돌과(蓇葖果)이며 뿌리는 약용한다. 산지(山地)에서 자라며 한국, 만주, 우수리 강 등지에 분포한다. 끼멸가리, 끼절가리라고도 한다.
주009)
불휘:뿌리.
주010)
에:[細]-+-게(연결 어미). 가늘게. 연결 어미 ‘-게’가 ‘-에’가 된 것은 ‘ㄱ’ 탈락에 의한 것이다.
주011)
싸라:싸[剉]-+-아(연결 어미). 썰어.
주012)
브:[灌(관)]-+-어(연결 어미). 부어.
주013)
달힌:달히[煎]-+-ㄴ(관형사형 어미). 달인.
주014)
즈블:즙(汁)+을(대격 조사). 즙을.
주015)
즉재:즉시.
주016)
토야:토[吐]-+-j(조음소)-+-아(연결 어미). 토하여. 여기서는 방법을 뜻함.
주017)
모딘 긔운이:모딜-+-ㄴ(관형사형 어미)#긔운(氣運)+이(주격 조사). 모진 기운이. 나쁜 기운이. 여기서는 원문을 고려하여 ‘독기(毒氣)가’로 풀이하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
주018)
나니라:나[出]-+-(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평서형 어미). 나느니라. 나오느니라. 빠지느니라. ‘-니라’를 평서 종결형 어미로 보기도 한다. 이는 재구조화에 의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