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복약방술문(服藥方術門)
  • 복약방술문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복약방술문 001


鄕藥集成方治時氣無藥處可用兩手指相交緊叩腦後風府穴向前禮百餘拜汗出自

분문온역이해방:22ㄱ


鄕藥集成方 주001)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조선조 세종 15(1433)년 권채(權採), 유효통(兪孝通), 노중례(盧重禮), 박윤덕(朴允德) 등이 종래의 여러 의서들을 참고하여 편찬, 간행한 의서. 우리 나라의 약과 처방에 관한 책이다. 활자본이며, 85권 30책으로 되어 있다. 각 병문 아래에는 그 병증에 필요한 조목이 낱낱이 분류되어 그에 해당되는 병론(病論)과 치방(治方)이 빠짐없이 망라되어 있고, 그 출전도 명시되어 있다. 그 출전 가운데는 한(漢), 당(唐), 송(宋), 원(元)의 의방서(醫方書)와 고려 후기 이후에 발전되어 온 한국 향약 방서들이 거의 포함되어 있다. 성종 19(1588)년에 부분적으로 한글 번역본이 간행되었고 다시 인조 11(1633)년에 중간되었다.([1], [2], [11], [59] 등 참조)
주002)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처격 조사).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이란 책에.
시긔 야셔 주003)
시긔 야셔:
계절 전염성 열병(염병) 들어서. 염병 앓게 되어서.
약 업슨 셔 주004)
약 업슨 셔:
약 없는 땅에서. ‘’가 ‘ㅎ’ 종성 체언이었다.
고틸 버븐 주005)
고틸 버븐:
고티[治療]-+-ㄹ(관형사형 어미)#법+은(보조사). 고칠 방법은. 고치는 방법은.
두 손락을 주006)
두 손락을:
두#손+ㅅ(사이시옷)+가락+을(대격 조사). 두 손가락을.
서 겨러 주007)
서 겨러:
서[互]#결[交]-+-어(연결 어미). 서로 결어. 서로 깍지 끼어.
곡뒤 주008)
곡뒤:
꼭뒤. 뒤통수의 한가운데.
우묵  주009)
우묵 :
우묵-+-ㄴ(관형사형 어미)#(장소 의존 명사)+(대격 조사). 우묵한 곳을.
이 주010)
이:
매우. 몹시.
두드리며 저 주011)
저:
절[拜]+(대격 조사). 절을. 대격 조사에 ‘를’이 쓰여야 할 자리이나, ‘’이 쓰이고 있다. 모음조화를 어기고 있다.
일 번 나마 주012)
나마:
너머.
야  나면 주013)
 나면:
[汗]#나[生]-+-면(연결 어미). 땀 나면.
연히 주014)
연히:
연(自然)-+-이(부사 파생 접미사). 자연히.
됴리라 주015)
됴리라:
둏[佳]-+-(조음소)-+-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라(평서 종결형 어미). 좋을 것이다. 좋으리라.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 계절 전염성 열병(염병) 앓게 되어서 약 없는 땅에서 고칠 방법은 두 손가락을 결어 꼭뒤 우묵한 데를 많이 두드리며 절을 일백 번 너머 하여 땀나면 자연히 좋아질 것이라 하였다.
Ⓒ 역자 | 임홍빈 / 2009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조선조 세종 15(1433)년 권채(權採), 유효통(兪孝通), 노중례(盧重禮), 박윤덕(朴允德) 등이 종래의 여러 의서들을 참고하여 편찬, 간행한 의서. 우리 나라의 약과 처방에 관한 책이다. 활자본이며, 85권 30책으로 되어 있다. 각 병문 아래에는 그 병증에 필요한 조목이 낱낱이 분류되어 그에 해당되는 병론(病論)과 치방(治方)이 빠짐없이 망라되어 있고, 그 출전도 명시되어 있다. 그 출전 가운데는 한(漢), 당(唐), 송(宋), 원(元)의 의방서(醫方書)와 고려 후기 이후에 발전되어 온 한국 향약 방서들이 거의 포함되어 있다. 성종 19(1588)년에 부분적으로 한글 번역본이 간행되었고 다시 인조 11(1633)년에 중간되었다.([1], [2], [11], [59] 등 참조)
주002)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처격 조사).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이란 책에.
주003)
시긔 야셔:계절 전염성 열병(염병) 들어서. 염병 앓게 되어서.
주004)
약 업슨 셔:약 없는 땅에서. ‘’가 ‘ㅎ’ 종성 체언이었다.
주005)
고틸 버븐:고티[治療]-+-ㄹ(관형사형 어미)#법+은(보조사). 고칠 방법은. 고치는 방법은.
주006)
두 손락을:두#손+ㅅ(사이시옷)+가락+을(대격 조사). 두 손가락을.
주007)
서 겨러:서[互]#결[交]-+-어(연결 어미). 서로 결어. 서로 깍지 끼어.
주008)
곡뒤:꼭뒤. 뒤통수의 한가운데.
주009)
우묵 :우묵-+-ㄴ(관형사형 어미)#(장소 의존 명사)+(대격 조사). 우묵한 곳을.
주010)
이:매우. 몹시.
주011)
저:절[拜]+(대격 조사). 절을. 대격 조사에 ‘를’이 쓰여야 할 자리이나, ‘’이 쓰이고 있다. 모음조화를 어기고 있다.
주012)
나마:너머.
주013)
 나면:[汗]#나[生]-+-면(연결 어미). 땀 나면.
주014)
연히:연(自然)-+-이(부사 파생 접미사). 자연히.
주015)
됴리라:둏[佳]-+-(조음소)-+-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라(평서 종결형 어미). 좋을 것이다. 좋으리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