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불상전염문(不相傳染門)
  • 불상전염문 009
메뉴닫기 메뉴열기

불상전염문 009


又方時氣瘴疫浴湯方
桃枝葉 주001)
도지엽(桃枝葉):
복사나무 가지와 잎. 복사나무는 장미과의 낙엽 소교목으로, 높이는 3미터 정도 자라고, 잎은 어긋나고 피침 모양으로 입가에 뭉툭한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흰색 또는 연붉은색의 오판화가 잎겨드랑이에 한 개 또는 두 개씩 피고, 열매는 큰 공 모양으로 7~8월에 누렇거나 붉게 익는데 ‘복숭아’라고 하며, 과육(果肉)은 부드러워 식용하고 씨는 약용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현재 널리 재배되는 품종은 유럽과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품종을 개량한 것이다.([1], [11], [24] 참조)
十兩 열  白芷 주002)
백지(白芷):
구릿대의 뿌리로, 감기로 인한 두통이나 요통, 비연(鼻淵) 따위에 쓰이며 종기에 외과약으로도 쓴다. 구릿대뿌리, 단귀, 지(芷)라고도 한다. 구릿대는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2미터 정도가 된다. 6~8월에 흰 꽃이 겹산형(繖形) 화서로 피고 타원형의 열매를 맺는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백지(白芷)’라 하여 한약재로 쓴다. 중국 진나라에서는 효(虈)라 하고, 제라에서는 채(茝, 구리때 채)라고 하고, 초나라에서는 이(蘺) 또는 약(藥)이라 불렀다고도 한다. 문헌에서는 방향(芳香), 택분(澤芬) 또는 향백지(香白芷)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산지(山地)의 골짜기에서 나는데 한국, 만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Angelica dahurica이다.([1], [24], [59] 참조)
三兩 석 

분문온역이해방:20ㄴ

주003)
백엽(栢葉):
측백나무 잎. 측백나무는 측백나뭇과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높이는 25미터 정도로 자라고, 잎은 작은 비늘 모양으로 밀집하여 있다. 4월에 암수한그루로 단성화(單性花)가 피고 열매는 구과(毬果)로 9~10월에 익는다. 정원수나 울타리용으로 심으며 잎과 열매는 약용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측백(側柏), 측백목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Thuja orientalis이다.([1], [11], [24], [34], [59], [66] 참조)
五兩 닷 
右擣篩爲散每取三兩煎湯浴之極良

시긔 주004)
시긔(時氣):
절기에 따리 유행하는 시환(時患). 계절병.([1], [24] 참조)
셕에 주005)
셕에:
역(瘴疫病)+에(처격 조사). 계절 전염성 열병(염병)에.
모욕 주006)
모욕:
목욕(沐浴)+[浴]-+-(조음소)-+-ㄹ(관형사형 어미). 목욕감을.
법이라
이 약 주007)
이 약:
이(근칭)#약(藥)+ㅎ(복수 접미사)+. 이 약들을. 복수 표지 ‘’이 ‘ㅎ’ 종성 체언이었다.
허 주008)
허:
[擣]-+-어(연결 어미). 찧어. ‘-’은 ‘딯-’이 경음화된 것이고, ‘-’이 ‘찧-’이 된 것은 구개음화에 의한 것이다.
주009)
처:
츠[篩]-+-어(연결 어미). (체로) 쳐.
뫼화 주010)
뫼화:
뫼호[取, 會]-+-아(연결 어미). 모아.
 버 주011)
 버:
#번(番)+(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한 번에.
석곰 주012)
석 곰:
석[三]#(兩)+곰(보조사). 석 냥씩.
화 주013)
화:
호[分]-+-아(연결 어미). 나누어.
므레 달혀 주014)
므레 달혀:
믈[水]+에(처격 조사)#달[熱]-+-히(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물에 달여.
모욕 면 주015)
모욕면:
모욕[沐浴]+[浴]-+-(조음소)-+-면(연결 어미). 목욕감으면.
됴니라 주016)
됴니라:
둏-+-(조음소)-+-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 좋으니라. 좋은 것이다. ‘-니라’ 전체를 평서 종결 어미로 분석하기도 한다. 이는 재구조화에 의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또 계절 전염성 열병(염병)에 목욕감을 법이다.
도지엽 열 냥, 백지(白芷) 석 냥, 백엽(栢葉) 닷 냥.
이 약들을 찧어 〈체로〉 쳐 모아 한 번에 석 냥씩 나누어 물에 달여 목욕 감으면 좋으니라 하였다.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도지엽(桃枝葉):복사나무 가지와 잎. 복사나무는 장미과의 낙엽 소교목으로, 높이는 3미터 정도 자라고, 잎은 어긋나고 피침 모양으로 입가에 뭉툭한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흰색 또는 연붉은색의 오판화가 잎겨드랑이에 한 개 또는 두 개씩 피고, 열매는 큰 공 모양으로 7~8월에 누렇거나 붉게 익는데 ‘복숭아’라고 하며, 과육(果肉)은 부드러워 식용하고 씨는 약용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현재 널리 재배되는 품종은 유럽과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품종을 개량한 것이다.([1], [11], [24] 참조)
주002)
백지(白芷):구릿대의 뿌리로, 감기로 인한 두통이나 요통, 비연(鼻淵) 따위에 쓰이며 종기에 외과약으로도 쓴다. 구릿대뿌리, 단귀, 지(芷)라고도 한다. 구릿대는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2미터 정도가 된다. 6~8월에 흰 꽃이 겹산형(繖形) 화서로 피고 타원형의 열매를 맺는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백지(白芷)’라 하여 한약재로 쓴다. 중국 진나라에서는 효(虈)라 하고, 제라에서는 채(茝, 구리때 채)라고 하고, 초나라에서는 이(蘺) 또는 약(藥)이라 불렀다고도 한다. 문헌에서는 방향(芳香), 택분(澤芬) 또는 향백지(香白芷)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산지(山地)의 골짜기에서 나는데 한국, 만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Angelica dahurica이다.([1], [24], [59] 참조)
주003)
백엽(栢葉):측백나무 잎. 측백나무는 측백나뭇과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높이는 25미터 정도로 자라고, 잎은 작은 비늘 모양으로 밀집하여 있다. 4월에 암수한그루로 단성화(單性花)가 피고 열매는 구과(毬果)로 9~10월에 익는다. 정원수나 울타리용으로 심으며 잎과 열매는 약용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측백(側柏), 측백목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Thuja orientalis이다.([1], [11], [24], [34], [59], [66] 참조)
주004)
시긔(時氣):절기에 따리 유행하는 시환(時患). 계절병.([1], [24] 참조)
주005)
셕에:역(瘴疫病)+에(처격 조사). 계절 전염성 열병(염병)에.
주006)
모욕:목욕(沐浴)+[浴]-+-(조음소)-+-ㄹ(관형사형 어미). 목욕감을.
주007)
이 약:이(근칭)#약(藥)+ㅎ(복수 접미사)+. 이 약들을. 복수 표지 ‘’이 ‘ㅎ’ 종성 체언이었다.
주008)
허:[擣]-+-어(연결 어미). 찧어. ‘-’은 ‘딯-’이 경음화된 것이고, ‘-’이 ‘찧-’이 된 것은 구개음화에 의한 것이다.
주009)
처:츠[篩]-+-어(연결 어미). (체로) 쳐.
주010)
뫼화:뫼호[取, 會]-+-아(연결 어미). 모아.
주011)
 버:#번(番)+(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한 번에.
주012)
석 곰:석[三]#(兩)+곰(보조사). 석 냥씩.
주013)
화:호[分]-+-아(연결 어미). 나누어.
주014)
므레 달혀:믈[水]+에(처격 조사)#달[熱]-+-히(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물에 달여.
주015)
모욕면:모욕[沐浴]+[浴]-+-(조음소)-+-면(연결 어미). 목욕감으면.
주016)
됴니라:둏-+-(조음소)-+-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 좋으니라. 좋은 것이다. ‘-니라’ 전체를 평서 종결 어미로 분석하기도 한다. 이는 재구조화에 의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