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불상전염문(不相傳染門)
  • 불상전염문 006
메뉴닫기 메뉴열기

불상전염문 006


분문온역이해방:19ㄴ

又方以繩度所住戶中璧屈繩結之

병니 주001)
니:
-+-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병을 앓는 이. 병을 앓는 사람. 병든 이.
잇 주002)
잇:
잇[有]-+-(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있는.
온 주003)
온:
창+ㅅ(사이시옷)+가온+(대격 조사). 창 가운데를.
노호[]로 주004)
노호[]로:
노ㅎ[繩]+로(조격 조사). 노끈으로. 새끼줄로.
견조워 주005)
견조워:
견조우[度]-+-어(연결 어미). 견주워. (창 가운데에 새끼줄이 오도록) 겨냥하여.
[] 주006)
[]:
[璧]+(처격 조사). 벽에. ‘벽’에 대한 고유어가 ‘’이었으나, ‘ㆍ’의 소실로 ‘바람’과 ‘’의 차이가 없어지거나 흡사하게 되어, ‘’이 한자어 ‘벽’으로 대치된 것이다.
노 주007)
노:
노ㅎ[繩]+. 끈을. 노끈을. 새끼를. 여기서는 ‘새끼줄’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이해하기 쉽다.
구펴 주008)
구펴:
굽[屈]-+-히(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굽혀. 굽게 하여.
야 주009)
야:
[結]-+-아(연결 어미). 매어. ‘아’의 ‘아’가 ‘야’가 된 것은 ‘ㅣ’ 모음 순행 동화에 의한 것이다.
두라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또 병 앓는 사람 있는 창 가운데를 노끈
(새끼줄)
으로 견주어 벽에 노끈을 굽혀 매어 두라
(양쪽 벽에 새끼줄을 매어 창문 가운데에 새끼줄이 늘어지도록 하라)
.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병을 앓는 이. 병을 앓는 사람. 병든 이.
주002)
잇:잇[有]-+-(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있는.
주003)
온:창+ㅅ(사이시옷)+가온+(대격 조사). 창 가운데를.
주004)
노호[]로:노ㅎ[繩]+로(조격 조사). 노끈으로. 새끼줄로.
주005)
견조워:견조우[度]-+-어(연결 어미). 견주워. (창 가운데에 새끼줄이 오도록) 겨냥하여.
주006)
[]:[璧]+(처격 조사). 벽에. ‘벽’에 대한 고유어가 ‘’이었으나, ‘ㆍ’의 소실로 ‘바람’과 ‘’의 차이가 없어지거나 흡사하게 되어, ‘’이 한자어 ‘벽’으로 대치된 것이다.
주007)
노:노ㅎ[繩]+. 끈을. 노끈을. 새끼를. 여기서는 ‘새끼줄’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이해하기 쉽다.
주008)
구펴:굽[屈]-+-히(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굽혀. 굽게 하여.
주009)
야:[結]-+-아(연결 어미). 매어. ‘아’의 ‘아’가 ‘야’가 된 것은 ‘ㅣ’ 모음 순행 동화에 의한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