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복약방술문(服藥方術門)
  • 복약방술문 019
메뉴닫기 메뉴열기

복약방술문 019


又方蒼茸擣篩每服二錢漿水調服麁剉煎服亦可

돗고마리 주001)
도꼬마리: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5미터 정도이고 온몸에 거친 털이 많으며, 잎은 삼각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여름에 노란 두상화(頭狀花)가 피는데 수꽃은 꼭지에 붙고 암꽃은 그 밑에 붙으며, 열매는 수과(瘦果)로 갈고리 모양의 가시와 짧은 털이 있다. 들이나 길가에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갈기래, 권이(卷耳), 되꼬리, 시이(葈耳), 양부래(羊負來), 창이(蒼耳) 등으로도 불린다. 학명은 Xanthium strumarium이다.([1], [11], [24] 참조)
주002)
돗고마리:
돗고마리[蒼耳]+(대격 조사). 도꼬마리를.
허 주003)
허:
[搗]-+-어(연결 어미). 찧어. ‘-’은 ‘딯-’이 경음화된 것을 보인다. ‘-’이 ‘찧-’이 된 것은 구개음화에 의한 것이다.
주004)
처:
츠[篩]-+-어(연결 어미). (체로) 쳐.
 버 주005)
 버:
[一]#번(番)+(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한 번에.
두 돈식 주006)
두 돈식:
두[二]#돈[錢]+식(보조사). 두 돈씩. ‘돈’은 무게의 단위이다.
좁 주007)
좁:
조[栗]+[米]. 좁쌀. 조는 볏과의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1~1.5미터 정도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좁고 길다. 9월에 줄기 끝에 원통 모양의 가는 꽃이 피고, 노란색의 작은 구형(球形)의 열매가 익는다. 오곡의 하나로 밥을 짓기도 하고 떡, 과자, 엿, 술 따위의 원료로 쓴다. 동아시아가 원산지로 유럽, 아시아 각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Setaria italica이다.([1], [11], [24] 참조)
힌 므레 주008)
힌 므레:
[沸]-+-히(사동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믈[水]+에(처격 조사). 끓인 물에.
프러 머그라 주009)
프러 머그라:
플[解]-+-어(연결 어미)#먹[食]-+-으(조음소)-+-라(명령형 어미). 풀어 먹으라.
 굵게 싸라 주010)
싸라:
싸[剉]-+-아(연결 어미). 썰어.
므레 주011)
므레:
믈[水]+에(처격 조사). 물에. ‘믈’이 ‘물’이 된 것은 순음화에 의한 것이다.
달혀 주012)
달혀:
달[熱]-+-히(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달여.
머거도 됴니라 주013)
됴니라:
둏[佳]+(조음소)+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 좋으니라. 좋은 것이다. ‘-니라’ 전체를 하나의 어미로 분석하기도 한다. 이는 재구조화에 의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또 도꼬마리를 찧어 〈체에〉 쳐 한 번에 두 돈씩 좁쌀 끓인 물에 풀어 먹으라. 또 굵게 썰어 물에 달여 먹어도 좋으니라.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도꼬마리:국화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5미터 정도이고 온몸에 거친 털이 많으며, 잎은 삼각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여름에 노란 두상화(頭狀花)가 피는데 수꽃은 꼭지에 붙고 암꽃은 그 밑에 붙으며, 열매는 수과(瘦果)로 갈고리 모양의 가시와 짧은 털이 있다. 들이나 길가에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갈기래, 권이(卷耳), 되꼬리, 시이(葈耳), 양부래(羊負來), 창이(蒼耳) 등으로도 불린다. 학명은 Xanthium strumarium이다.([1], [11], [24] 참조)
주002)
돗고마리:돗고마리[蒼耳]+(대격 조사). 도꼬마리를.
주003)
허:[搗]-+-어(연결 어미). 찧어. ‘-’은 ‘딯-’이 경음화된 것을 보인다. ‘-’이 ‘찧-’이 된 것은 구개음화에 의한 것이다.
주004)
처:츠[篩]-+-어(연결 어미). (체로) 쳐.
주005)
 버:[一]#번(番)+(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한 번에.
주006)
두 돈식:두[二]#돈[錢]+식(보조사). 두 돈씩. ‘돈’은 무게의 단위이다.
주007)
좁:조[栗]+[米]. 좁쌀. 조는 볏과의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1~1.5미터 정도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좁고 길다. 9월에 줄기 끝에 원통 모양의 가는 꽃이 피고, 노란색의 작은 구형(球形)의 열매가 익는다. 오곡의 하나로 밥을 짓기도 하고 떡, 과자, 엿, 술 따위의 원료로 쓴다. 동아시아가 원산지로 유럽, 아시아 각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Setaria italica이다.([1], [11], [24] 참조)
주008)
힌 므레:[沸]-+-히(사동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믈[水]+에(처격 조사). 끓인 물에.
주009)
프러 머그라:플[解]-+-어(연결 어미)#먹[食]-+-으(조음소)-+-라(명령형 어미). 풀어 먹으라.
주010)
싸라:싸[剉]-+-아(연결 어미). 썰어.
주011)
므레:믈[水]+에(처격 조사). 물에. ‘믈’이 ‘물’이 된 것은 순음화에 의한 것이다.
주012)
달혀:달[熱]-+-히(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달여.
주013)
됴니라:둏[佳]+(조음소)+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 좋으니라. 좋은 것이다. ‘-니라’ 전체를 하나의 어미로 분석하기도 한다. 이는 재구조화에 의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