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진양문(鎭禳門)
  • 진양문 005
메뉴닫기 메뉴열기

진양문 005


又方龍魚河圖曰歲暮夕四更中豆子二七枚麻子二七䓢[箇]家人頭髮少許合着投井中祝曰

분문온역이해방:4ㄱ

使某家竟年不遭傷寒辟劫五溫鬼

용어하도(龍魚河圖) 주001)
용어하도(龍魚河圖):
지금은 전하여지지 않는 참위서(讖緯書)의 하나. 참위서란 예언이나 징험, 주술 등을 적어 놓은 것으로, 무당이나 방술사(方術士)들이 만든다. ([40], [35] 등 참조)
龍魚河圖애 주002)
용어하도(龍魚河圖)애:
≪용어하도(龍魚河圖)≫+애(처격 조사). ≪용어하도≫란 책에.
닐어쇼 주003)
닐어쇼:
니/니르-+-어#시[有]-+-오. 일렀으되. 일러 두었으되. 말하여 두었으되.
아 주004)
아:
작은.
설날 주005)
아셜날:
작은 설날. 설 하루 전날. 섣달그믐날. 세모(歲暮). 대회일(大晦日). ‘아셜’이 변하여 ‘까치설’이 되었다고 한다.
의 주006)
경의:
사경(四更)+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사경에.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넷째 부분, 즉 새벽 1시에서 3시 사이에.
두닐굽 주007)
두닐굽 (낯):
둘의 일곱 (낱). 2×7=14개.
열  주008)
열:
삼씨[麻種]. 삼의 씨.
두닐굽 낫 주009)
낫:
낯[箇]+(대격 조사). 개(箇)를.
집안 사 주010)
집안사:
집안사+(속격 조사). 집안사람의.
머리터럭 주011)
머리터럭:
머리칼. 머리카락. 머리털.
져기조쳐 주012)
져기조쳐:
젹[少]-+-이(부사 파생 접미사)+조쳐. 조금이라도. 조금이나마.
 주013)
:
한데. 한 군데. 기원적으로는 ‘[一]+(곳, 장소)’로 이루어진 것이다.
뫼화 주014)
뫼화:
뫼호[合, 集]-+-아(연결 어미). 모아.
우믈 주015)
우믈:
우물. ‘우믈’의 ‘믈’이 후대에 ‘물’이 된 것은 순음 ‘ㅁ’에 의한 ‘ㅡ’ 모음의 순음화이다.
가온 주016)
가온:
가운데. 15세기 중세어에서는 ‘가’로 나타난다. 순경음이 /w/로 바뀌면서 ‘가온’가 되고, ‘ㆍ’가 없어지면서 ‘가온데’가 되고 다시 모음조화가 약화되면서 ‘가운데’가 되었다.
두고 빌락 주017)
빌락:
빌[呪]-+-락(연결 어미). 빌기도 하고.
저히락 주018)
저히락:
저히[威]-+-락(연결 어미). 위협하기도 하고. ‘저히다’는 ‘위협하다’의 뜻을 가졌었다. ‘적이 두려워하다’를 뜻하는 현대어의 ‘저어하다’와 의미상 연관성이 이있는 것으로 보이나, 그 관련이 무엇인지는 밝혀지지 않는다.
면 그 집안 사히 주019)
사히:
사+ㅎ[복수 표지]+이(주격 조사). 사람들이.
주020)
다:
모두. 다.
그  주021)
그 :
그#해[歲]. 그 해. 당년.
그모도록 주022)
그모도록:
그모-+-도록(연결 어미). 끝나도록. 다 되도록. ‘그모다, 그믈다’는 ‘끝나다, 어두워지다’와 같은 뜻을 가졌다. ‘그믐’은 ‘그믈다’에서 온 말이다.
곳블도 주023)
곳블도:
고[鼻]+ㅅ(사이시옷)+블[火]. 고뿔. 감기. 감기가 들면 코에 열이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만나디 주024)
만나디:
만나[逢]-+-디(연결 어미). 만나지. 걸리지.
아니며 주025)
아니며:
아니-+-며(연결 어미). 아니하며.
다 주026)
다:
다섯[五].
가짓 주027)
가짓:
가지+ㅅ(사이시옷). 가지의. ‘ㅅ’을 속격 조사, 혹은 속격 표지로 보기도 한다.
셕 주028)
셕:
‘셕’은 ‘장역(瘴疫)’의 전와로 생각된다. ‘장(瘴)’은 풍토병, 습하고 더운 땅에서 생기는 독기를 가리킨다.
귓것 주029)
셕 귓것:
한문 원문에 해당하는 글귀는 ‘온귀(溫鬼)’이다. ‘온귀’는 염병을 일으키는 귀신을 가리킨다.
피리라 주030)
피리라:
피[避]-+-리(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피할 것이다. 피하게 될 것이다. 걸리지 않게 될 것이다. ‘-리-’는 ‘-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가 재구조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용어하도(龍魚河圖)≫에 일러 있으되, 섣달 그믐날 사경, 즉 밤 1시에서 3시 사이에 콩 14개와 삼씨 14개를 집안 사람들의 머리칼을 조금이나마 한데 모아 우물 가운데 두고 빌기도 하고 위협하기도 하면, 그 집안 사람들이 다 그 해가 끝나도록 감기도 걸리지 않고, 다섯 가지의 더운 열병
(염병)
귀신도 피할 것이다.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용어하도(龍魚河圖):지금은 전하여지지 않는 참위서(讖緯書)의 하나. 참위서란 예언이나 징험, 주술 등을 적어 놓은 것으로, 무당이나 방술사(方術士)들이 만든다. ([40], [35] 등 참조)
주002)
용어하도(龍魚河圖)애:≪용어하도(龍魚河圖)≫+애(처격 조사). ≪용어하도≫란 책에.
주003)
닐어쇼:니/니르-+-어#시[有]-+-오. 일렀으되. 일러 두었으되. 말하여 두었으되.
주004)
아:작은.
주005)
아셜날:작은 설날. 설 하루 전날. 섣달그믐날. 세모(歲暮). 대회일(大晦日). ‘아셜’이 변하여 ‘까치설’이 되었다고 한다.
주006)
경의:사경(四更)+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사경에.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넷째 부분, 즉 새벽 1시에서 3시 사이에.
주007)
두닐굽 (낯):둘의 일곱 (낱). 2×7=14개.
주008)
열:삼씨[麻種]. 삼의 씨.
주009)
낫:낯[箇]+(대격 조사). 개(箇)를.
주010)
집안사:집안사+(속격 조사). 집안사람의.
주011)
머리터럭:머리칼. 머리카락. 머리털.
주012)
져기조쳐:젹[少]-+-이(부사 파생 접미사)+조쳐. 조금이라도. 조금이나마.
주013)
:한데. 한 군데. 기원적으로는 ‘[一]+(곳, 장소)’로 이루어진 것이다.
주014)
뫼화:뫼호[合, 集]-+-아(연결 어미). 모아.
주015)
우믈:우물. ‘우믈’의 ‘믈’이 후대에 ‘물’이 된 것은 순음 ‘ㅁ’에 의한 ‘ㅡ’ 모음의 순음화이다.
주016)
가온:가운데. 15세기 중세어에서는 ‘가’로 나타난다. 순경음이 /w/로 바뀌면서 ‘가온’가 되고, ‘ㆍ’가 없어지면서 ‘가온데’가 되고 다시 모음조화가 약화되면서 ‘가운데’가 되었다.
주017)
빌락:빌[呪]-+-락(연결 어미). 빌기도 하고.
주018)
저히락:저히[威]-+-락(연결 어미). 위협하기도 하고. ‘저히다’는 ‘위협하다’의 뜻을 가졌었다. ‘적이 두려워하다’를 뜻하는 현대어의 ‘저어하다’와 의미상 연관성이 이있는 것으로 보이나, 그 관련이 무엇인지는 밝혀지지 않는다.
주019)
사히:사+ㅎ[복수 표지]+이(주격 조사). 사람들이.
주020)
다:모두. 다.
주021)
그 :그#해[歲]. 그 해. 당년.
주022)
그모도록:그모-+-도록(연결 어미). 끝나도록. 다 되도록. ‘그모다, 그믈다’는 ‘끝나다, 어두워지다’와 같은 뜻을 가졌다. ‘그믐’은 ‘그믈다’에서 온 말이다.
주023)
곳블도:고[鼻]+ㅅ(사이시옷)+블[火]. 고뿔. 감기. 감기가 들면 코에 열이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주024)
만나디:만나[逢]-+-디(연결 어미). 만나지. 걸리지.
주025)
아니며:아니-+-며(연결 어미). 아니하며.
주026)
다:다섯[五].
주027)
가짓:가지+ㅅ(사이시옷). 가지의. ‘ㅅ’을 속격 조사, 혹은 속격 표지로 보기도 한다.
주028)
셕:‘셕’은 ‘장역(瘴疫)’의 전와로 생각된다. ‘장(瘴)’은 풍토병, 습하고 더운 땅에서 생기는 독기를 가리킨다.
주029)
셕 귓것:한문 원문에 해당하는 글귀는 ‘온귀(溫鬼)’이다. ‘온귀’는 염병을 일으키는 귀신을 가리킨다.
주030)
피리라:피[避]-+-리(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피할 것이다. 피하게 될 것이다. 걸리지 않게 될 것이다. ‘-리-’는 ‘-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가 재구조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