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진양문(鎭禳門)
  • 진양문 004
메뉴닫기 메뉴열기

진양문 004


又方常以雞鳴時心念四海神名三七遍可辟百邪惡鬼令人不病溫疫如入病人室心念三遍尤好呪曰東海神阿明南海神祝融西海神巨乘北海神禹强

주001)
:
또. 원문의 ‘우방(又方)’에서 ‘방(方)’은 언해 또는 번역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牛馬羊猪染疫病治療方)≫에서는 ‘우방(又方)’이 ‘  문네’와 같이 언해되고 있다. ‘방’은 ‘방문’을 가리킨다.
해 주002)
해:
항상(恒常). 늘. 언제나. ‘샹’와 같이도 적히었다.
주003)
:
닭[鷄].
울 예 주004)
울 예:
울[鳴]-+-ㄹ(미래 관형사형 어미)#[時]+예(처격 조사). 울 때에. ‘울’의 받침 ‘ㄹ’은 동사의 받침이 아니라 관형사형 어미의 ‘ㄹ’이다. ‘울 때’의 ‘울’을 동사의 어간이라고 보면, 그 구성은 이해할 수 없는 것이 된다.
매 주005)
매:
[心]+애(처격 조사). 마음에. 마음으로.
四海神 주006)
사해신(四海神):
동해신, 남해신, 서해신, 북해신의 네 바다의 신을 일컫는다.

분문온역이해방:3ㄴ

일후믈 주007)
일후믈:
일훔+을(대격 조사). 이름을.
세 닐굽번 주008)
세 닐굽 번:
세 일곱 번. 스물한 번.
念면 주009)
염(念)면:
염-+-면(연결 어미). 염하면. ‘염하다’는 ‘마음속으로 외다. 마음속으로 읊조리다’의 뜻이다.
온 가짓 주010)
온 가짓:
온[百]#가지+ㅅ(사이시옷). 백 가지의. 여러 가지의. 모든. ‘온 가지’에서 ‘온갖’이 만들어졌다.
邪氣며 주011)
사기(邪氣)며:
사기(邪氣)+이며(접속 조사). 사악한 기운이며.
모딘 주012)
모딘:
모딜-+-ㄴ(관형사형 어미). 모진. 나쁜.
귓거슬 주013)
귓거슬:
귀(鬼)+ㅅ(사이시옷)+것+을(대격 조사). 귀신과 같은 것을. ‘귓것’은 귀신과 같은 것을 뜻한다.
업게 며 주014)
업게 며:
없게 하며. 없게 만들며.
사도 주015)
사도:
사람+도(보조사). 사람도.
덥단 주016)
덥단:
덥[溫]-+달[熱]-+-ㄴ(관형사형 어미)#병. 덥게 다는 병. 전염성 열병. 염병.
아니케 니라 주017)
아니케 니라:
아니-+-게(연결 어미)#[爲]-+--+-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 (앓지) 아니하게 하느니라. 아니하게 하는 것이다. ‘-니라’를 평서 종결 어미로 분석하기도 한다. 지정 형용사 ‘이다’는 학교 문법에서는 서술격 조사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조사로 보면 조사 중에서는 가장 특이한 것이 된다. 이를 조사에 포함시키면, 조사의 성격이 매우 이질적인 것이 된다.
 지븨 주018)
 지븨:
병(病)-+-ㄴ(관형사형 어미)#집+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병든 집에. 앓는 사람이 있는 집에. 병이 있는 집에. 환자가 있는 집에. 병든 사람의 집에.
들 제 주019)
들 제:
들[入]-+-ㄹ(관형사형 어미)#제. 들어갈 때.
매 세 번 念호미 더욱 됴니라 주020)
됴니라:
둏-+-(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평서법 어미). 좋은 것이다. 좋은 것이니라. ‘-니라’를 평서 종결 어미로 분석하기도 한다.
四海神名을 주021)
사해신명(四海神名)을:
사해신명(四海神名)+을(대격 조사). 사해신의 이름을.
呪야 주022)
주(呪)야:
주(呪)-+-j(조음소)-+-아(연결 어미). (바라는 바를) 빌어.
닐오 주023)
닐오:
니/니르[謂]-+-오(연결 어미). 이르되. 말하기를. ‘-오’를 하나의 형태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오/우-’와 ‘-’로 분리하는 입장도 있다.
東海神 阿明 주024)
동해신(東海神) 아명(阿明):
동해신의 이름이 ‘아명’이다.
南海神 祝融 주025)
남해신(南海神) 축융(祝融):
남해신의 이름이 ‘축융’이다.
西海神 巨乘 주026)
서해신(西海神) 거승(巨乘):
서해신의 이름이 ‘거승’이다.
北海神 禹强 주027)
북해신(北海神) 우강(禹强):
북해신의 이름이 ‘우강’이다.
이라 라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또 언제나 닭이 울 때에 마음에 사해신의 이름을 일곱의 세 번
(즉 스물한 번)
외면, 온갖 사악한 기운이며 나쁜 귀신들을 없게 하며 사람도 열병에 걸리지 않게 하느니라. 또 병든 사람이 있는 집에 드러갈 때, 마음에 세 번 외면 더욱 좋으니라. 사해신의 이름을 빌어 이르되 동해신 아명과 남해신 축융과 서해신 거승과 북해신 우강이라고 하라.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또. 원문의 ‘우방(又方)’에서 ‘방(方)’은 언해 또는 번역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牛馬羊猪染疫病治療方)≫에서는 ‘우방(又方)’이 ‘  문네’와 같이 언해되고 있다. ‘방’은 ‘방문’을 가리킨다.
주002)
해:항상(恒常). 늘. 언제나. ‘샹’와 같이도 적히었다.
주003)
:닭[鷄].
주004)
울 예:울[鳴]-+-ㄹ(미래 관형사형 어미)#[時]+예(처격 조사). 울 때에. ‘울’의 받침 ‘ㄹ’은 동사의 받침이 아니라 관형사형 어미의 ‘ㄹ’이다. ‘울 때’의 ‘울’을 동사의 어간이라고 보면, 그 구성은 이해할 수 없는 것이 된다.
주005)
매:[心]+애(처격 조사). 마음에. 마음으로.
주006)
사해신(四海神):동해신, 남해신, 서해신, 북해신의 네 바다의 신을 일컫는다.
주007)
일후믈:일훔+을(대격 조사). 이름을.
주008)
세 닐굽 번:세 일곱 번. 스물한 번.
주009)
염(念)면:염-+-면(연결 어미). 염하면. ‘염하다’는 ‘마음속으로 외다. 마음속으로 읊조리다’의 뜻이다.
주010)
온 가짓:온[百]#가지+ㅅ(사이시옷). 백 가지의. 여러 가지의. 모든. ‘온 가지’에서 ‘온갖’이 만들어졌다.
주011)
사기(邪氣)며:사기(邪氣)+이며(접속 조사). 사악한 기운이며.
주012)
모딘:모딜-+-ㄴ(관형사형 어미). 모진. 나쁜.
주013)
귓거슬:귀(鬼)+ㅅ(사이시옷)+것+을(대격 조사). 귀신과 같은 것을. ‘귓것’은 귀신과 같은 것을 뜻한다.
주014)
업게 며:없게 하며. 없게 만들며.
주015)
사도:사람+도(보조사). 사람도.
주016)
덥단:덥[溫]-+달[熱]-+-ㄴ(관형사형 어미)#병. 덥게 다는 병. 전염성 열병. 염병.
주017)
아니케 니라:아니-+-게(연결 어미)#[爲]-+--+-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 (앓지) 아니하게 하느니라. 아니하게 하는 것이다. ‘-니라’를 평서 종결 어미로 분석하기도 한다. 지정 형용사 ‘이다’는 학교 문법에서는 서술격 조사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조사로 보면 조사 중에서는 가장 특이한 것이 된다. 이를 조사에 포함시키면, 조사의 성격이 매우 이질적인 것이 된다.
주018)
 지븨:병(病)-+-ㄴ(관형사형 어미)#집+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병든 집에. 앓는 사람이 있는 집에. 병이 있는 집에. 환자가 있는 집에. 병든 사람의 집에.
주019)
들 제:들[入]-+-ㄹ(관형사형 어미)#제. 들어갈 때.
주020)
됴니라:둏-+-(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평서법 어미). 좋은 것이다. 좋은 것이니라. ‘-니라’를 평서 종결 어미로 분석하기도 한다.
주021)
사해신명(四海神名)을:사해신명(四海神名)+을(대격 조사). 사해신의 이름을.
주022)
주(呪)야:주(呪)-+-j(조음소)-+-아(연결 어미). (바라는 바를) 빌어.
주023)
닐오:니/니르[謂]-+-오(연결 어미). 이르되. 말하기를. ‘-오’를 하나의 형태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오/우-’와 ‘-’로 분리하는 입장도 있다.
주024)
동해신(東海神) 아명(阿明):동해신의 이름이 ‘아명’이다.
주025)
남해신(南海神) 축융(祝融):남해신의 이름이 ‘축융’이다.
주026)
서해신(西海神) 거승(巨乘):서해신의 이름이 ‘거승’이다.
주027)
북해신(北海神) 우강(禹强):북해신의 이름이 ‘우강’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