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진양문(鎭禳門)
  • 진양문 010
메뉴닫기 메뉴열기

진양문 010


又方麻子小豆二七枚正月朔朝及七月呑之

열 주001)
열:
열[麻]+[種]. 삼씨. 대마의 씨.
블근 주002)
블근:
븕[赤]-+-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붉은.
과 주003)
과:
[小豆]+과(접속 조사). 팥과.
각각 두닐굽 주004)
두닐굽:
두+닐굽. 열넷. 14. ‘두’를 ‘둘’로 상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두닐굽’이 ‘낫’을 수식하는 구성이므로, 관형사형을 취한 것이다.
낫곰 주005)
낫곰:
낯+곰(보조사). 낱씩. 개씩. ‘낯’이 ‘낫’이 된 것은 내파화를 반영한 것으로 이해된다.
정월 초날 주006)
초날:
초하룻날. 중세어에서 ‘’는 ‘이(주격), (대격)’ 등과 같이, 뒤의 음절의 ‘ㆍ’가 떨어지고, ‘ㄹ’이 다음 음절의 두음이 되지 않는 특수한 교체를 보이었다.
아과 주007)
아과:
아[朝]+과(접속 조사). 아침과.
칠워 주008)
칠워:
칠월[七月]+(처격 조사). 칠 월에.
라 주009)
라:
[呑]-+-라(명령형 어미). 삼키라. 절대 명령을 나타낸다.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또 삼씨와 붉은 팥을 각각 열네 개씩 정월 초하룻날 아침과 칠월에 삼키라.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열:열[麻]+[種]. 삼씨. 대마의 씨.
주002)
블근:븕[赤]-+-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붉은.
주003)
과:[小豆]+과(접속 조사). 팥과.
주004)
두닐굽:두+닐굽. 열넷. 14. ‘두’를 ‘둘’로 상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두닐굽’이 ‘낫’을 수식하는 구성이므로, 관형사형을 취한 것이다.
주005)
낫곰:낯+곰(보조사). 낱씩. 개씩. ‘낯’이 ‘낫’이 된 것은 내파화를 반영한 것으로 이해된다.
주006)
초날:초하룻날. 중세어에서 ‘’는 ‘이(주격), (대격)’ 등과 같이, 뒤의 음절의 ‘ㆍ’가 떨어지고, ‘ㄹ’이 다음 음절의 두음이 되지 않는 특수한 교체를 보이었다.
주007)
아과:아[朝]+과(접속 조사). 아침과.
주008)
칠워:칠월[七月]+(처격 조사). 칠 월에.
주009)
라:[呑]-+-라(명령형 어미). 삼키라. 절대 명령을 나타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