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불상전염문(不相傳染門)
  • 불상전염문 005
메뉴닫기 메뉴열기

불상전염문 005


肘後方云斷髮仍使長七寸盜着病人臥席下

肘後方 주001)
주후방(肘後方):
중국 동진(東晋) 때 사람 갈홍(葛洪)이 썼다는 의방서. 수나라 양제의 후궁들이 콩을 애용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검은 콩을 식초에 넣어 이틀 밤을 불린 후 열을 가해 끓인 후 가라 앉혀 농축액으로 만든 후 머리에 바르면 머리카락이 칠흑처럼 까맣게 변한다고 했다. 후궁들이 수양제에게 간택을 받기 위해 애용했던 궁중 비방이다. 이 장의 내용도 ≪주후방≫에 있었던 것으로 보아야 한다.
주002)
주후방(肘後方)의:
≪주후방(肘後方)≫+의(처격 조사). ≪주후방≫이란 책에.
머리터럭 주003)
머리터럭:
머리카락. 머리털.
버힌 주004)
버힌:
버히[斷]-+-ㄴ(관형사형 어미). 벤.
기를 주005)
기를:
길[長]-+-(명사 파생 접미사)+를(대격 조사). 길이를.
닐굽 치만 주006)
닐굽 치만:
닐굽#치[寸]+만(보조사). 일곱 치만(정도롤 나타냄). 일곱 치만큼.
 사 주007)
돗:
[席]. 자리. ‘돗’은 ‘’으로 ‘ㄱ’ 탈락을 보인 것이다. 바닥에 까는 ‘돗자리’는 ‘돗’의 의미가 약화되어 다시 ‘자리’가 합해진 것이다.
아래 마니 주008)
마니:
만-+-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만히. 남 몰래. 다른 사람 몰래.
녀흐라 주009)
녀흐라:
녛[入]-+-으(조음소)-+-라(명령형 어미). 넣으라.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주후방(肘後方)≫에 또 머리카락을 벤 길이를 일곱 치만큼 〈하여〉 병 앓는 사람의 〈누운〉 자리 아래에 남물래 넣으라 하였다.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주후방(肘後方):중국 동진(東晋) 때 사람 갈홍(葛洪)이 썼다는 의방서. 수나라 양제의 후궁들이 콩을 애용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검은 콩을 식초에 넣어 이틀 밤을 불린 후 열을 가해 끓인 후 가라 앉혀 농축액으로 만든 후 머리에 바르면 머리카락이 칠흑처럼 까맣게 변한다고 했다. 후궁들이 수양제에게 간택을 받기 위해 애용했던 궁중 비방이다. 이 장의 내용도 ≪주후방≫에 있었던 것으로 보아야 한다.
주002)
주후방(肘後方)의:≪주후방(肘後方)≫+의(처격 조사). ≪주후방≫이란 책에.
주003)
머리터럭:머리카락. 머리털.
주004)
버힌:버히[斷]-+-ㄴ(관형사형 어미). 벤.
주005)
기를:길[長]-+-(명사 파생 접미사)+를(대격 조사). 길이를.
주006)
닐굽 치만:닐굽#치[寸]+만(보조사). 일곱 치만(정도롤 나타냄). 일곱 치만큼.
주007)
돗:[席]. 자리. ‘돗’은 ‘’으로 ‘ㄱ’ 탈락을 보인 것이다. 바닥에 까는 ‘돗자리’는 ‘돗’의 의미가 약화되어 다시 ‘자리’가 합해진 것이다.
주008)
마니:만-+-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만히. 남 몰래. 다른 사람 몰래.
주009)
녀흐라:녛[入]-+-으(조음소)-+-라(명령형 어미). 넣으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