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불상전염문(不相傳染門)
  • 불상전염문 004
메뉴닫기 메뉴열기

불상전염문 004


又方斷溫病令不相染密以艾灸病人床四角各一壯不得令病人知之佳

 덥단 서 디 주001)
디:
[染]-+-디(연결 어미). 타지. 옮지. 전염하지. 전염되어 앓지.
아니케 호 그로 주002)
그로:
[艾]+으로(조격 조사). 쑥으로. 쑥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60~120cm 되게 자라며,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다. 7~10월에 분홍빛이 도는 흰색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줄기와 잎자루는 약용한다. 한방에서는 말한 쑥잎을 피를 멎게 하거나 통증을 없애는 데 쓰며, 부인병에도 쓴다. 민간에서는 날잎으로 상처나 백선 등을 치료하기도 하였으며, 여름철에는 쑥잎으로 연기를 피워 모기를 쫓기도 하였다. 말린 쑥은 쑥뜸을 뜨는 데 쓰기도 한다.
마니 주003)
마니:
만-+-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만히. 남 몰래. 다른 사람 몰래.
니 누은 평상 주004)
평상(平床):
여기서는 침상을 가리킨다.
네 모 주005)
네 모:
네[四]#모ㅎ[角]+. 네 모퉁이를. ‘모’가 ‘ㅎ’ 종성 체언이다.
각  붓식 주006)
각  붓식:
각#[一]#(의존 명사)+식(보조사). 각 한 번씩. ‘’은 뜸의 회수를 나타내는 분류사이다. ‘붓’은 받침 ‘ㄱ’이 자음 앞에서 탈락한 것이다. ‘을’ 앞에서는 ‘붓글’과 같이 나타난다. ¶우희 세 닐굽 붓글 라〈구급방 하:80ㄴ〉.
되 주007)
되:
[灸]-+-되. 뜸을 뜨되. ‘’와 같이 쓰이지 않은 것이 특이하다. ‘되’는 ‘-오/우’가 완전히 현대와 같이 변한 모습을 보인다.
 사 아디 몯게 호미 됴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또 더운 열 나는 병
(전염성 열병, 염병)
서로 전염치 아니케 하되, 다른 사람 몰래 쑥으로 병앓는 사람 누운 평상 네 모퉁이를 각 한 번씩 뜨되, 병 앓는 사람 알지 못하게 함이 좋으니라.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디:[染]-+-디(연결 어미). 타지. 옮지. 전염하지. 전염되어 앓지.
주002)
그로:[艾]+으로(조격 조사). 쑥으로. 쑥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60~120cm 되게 자라며,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다. 7~10월에 분홍빛이 도는 흰색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줄기와 잎자루는 약용한다. 한방에서는 말한 쑥잎을 피를 멎게 하거나 통증을 없애는 데 쓰며, 부인병에도 쓴다. 민간에서는 날잎으로 상처나 백선 등을 치료하기도 하였으며, 여름철에는 쑥잎으로 연기를 피워 모기를 쫓기도 하였다. 말린 쑥은 쑥뜸을 뜨는 데 쓰기도 한다.
주003)
마니:만-+-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만히. 남 몰래. 다른 사람 몰래.
주004)
평상(平床):여기서는 침상을 가리킨다.
주005)
네 모:네[四]#모ㅎ[角]+. 네 모퉁이를. ‘모’가 ‘ㅎ’ 종성 체언이다.
주006)
각  붓식:각#[一]#(의존 명사)+식(보조사). 각 한 번씩. ‘’은 뜸의 회수를 나타내는 분류사이다. ‘붓’은 받침 ‘ㄱ’이 자음 앞에서 탈락한 것이다. ‘을’ 앞에서는 ‘붓글’과 같이 나타난다. ¶우희 세 닐굽 붓글 라〈구급방 하:80ㄴ〉.
주007)
되:[灸]-+-되. 뜸을 뜨되. ‘’와 같이 쓰이지 않은 것이 특이하다. ‘되’는 ‘-오/우’가 완전히 현대와 같이 변한 모습을 보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