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진양문(鎭禳門)
  • 진양문 029
메뉴닫기 메뉴열기

진양문 029


분문온역이해방:9ㄴ

又方側栢東向葉採取乾正細末或湯或酒服之

즉 주001)
즉(側栢):
측백(側栢)나무. ‘側’의 한자음이 ‘즉’인 것이 주목된다. ‘즉’이 유기음 ‘측’으로 바뀐 것은 16세기 후반으로 추측된다. 측백나무는 측백나뭇과의 상록 침엽 교목. 높이는 25미터 정도이며, 지름 1m에 달하지만 관목상이며 작은 가지가 수직으로 벌어진다. 비늘 모양의 잎이 뾰족하고 가지를 가운데 두고 서로 어긋나게 달린다. 잎의 앞면과 뒷면의 구별이 거의 없고 흰색 점이 약간 있다. 꽃은 4월에 피고 1가화이며 수꽃은 전년 가지의 끝에 1개씩 달리고 10개의 비늘조각과 2~4개의 꽃밥이 들어 있다. 암꽃은 8개의 실편(實片)과 6개의 밑씨가 있다. 열매는 구과(毬果)로 원형이며 길이 1.5~2cm로 9~10월에 익고, 첫째 1쌍의 실편에는 종자가 들어 있지 않다. 잎은 지혈 이뇨 등에, 씨는 자양 진정 등에 사용한다. 한국(단양·양양·울진), 중국에 분포한다.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반송같이 되는 것을 천지백이라고 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설악산과 오대산 등 높은 산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종을 눈측백이라고 하는데 가지가 서양 측백처럼 수평으로 퍼지고 향기가 있다. 이것을 지빵나무라고도 하지만 지빵이나 찝빵은 측백과 같은 뜻이므로 눈(누운)측백이라고 한다. 미국에서 들어온 서양 측백은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며 향기가 있고 잎이 넓다. 수형(樹形)이 아름답기 때문에 생울타리, 관상용으로 심는다. 측백나무 잎을 쪄서 말리기를 아홉 번 거듭하여 가루를 만들어 오래 먹으면 온갖 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다. 몸에 나쁜 냄새가 없어지고 향내가 나며 머리칼이 희어지지 않고 이빨과 뼈가 튼튼해져서 오래 산다. 부인들의 하혈이나 피오줌 대장이나 직장의 출혈에도 구증구포한 측백 잎이 효과가 크다. 간암이나 간경화 등으로 복수가 찰 때에는 아홉 번 쪄서 말린 측백 잎을 달여서 오소리 쓸개와 함께 복용하면 복수가 빠지고 소변이 잘 나오게 된다. 구증구포한 측백 잎을 늘 복용하면 고혈압과 중풍을 예방할 수 있고 몸이 튼튼해지며 불면증, 신경쇠약 등이 없어진다.
 주002)
(東向):
-+-ㄴ(관형사형 어미). 동향한. 동쪽을 향한.
닙플 주003)
닙플:
닢[葉]+을(대격 조사). 잎을. ‘닢’이 ‘닙’과 같이 된 것은 내파화를 반영한 것이며, ‘닢’의 ‘ㅍ’; 받침이 다시 대격 조사에 ‘플’과 같이 중철되고 있다.
야 주004)
야:
[採]-+-아(연결 어미). 채취하여. 한문 원문의 ‘채취(採取)’를 ‘-’로 언해한 것은 ‘채(採)’라는 한자의 훈에 이끌린 것으로 보인다. ‘나뭇잎’을 캔다는 것은 현대어로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아’가 ‘-야’로 된 것은 ‘ㅣ’ 모음 순행동화에 의한 것이다.
외야 주005)
외야:
외[使乾]-+-아(연결 어미). 말리어. ‘-아’가 ‘-야’로 된 것은 ‘ㅣ’ 모음 순행동화에 의한 것이다.
에 주006)
에:
[細]-+-게(연결 어미). 가늘게.
라 주007)
라:
-+-아(연결 어미). 갈아.
더운 주008)
더운:
덥[溫]-+-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더운.
므리어나 주009)
므리어나:
믈[水]+이(지정 형용사)-+-거나(연결 어미). 물이거나.
수리어나 주010)
수리어나:
술[酒]+이(지정 형용사)-+-거나(연결 어미). 술이거나.
프러 주011)
프러:
플-+-어(연결 어미). 풀어. ‘플-’이 ‘풀-’과 같이 된 것은 순음화에 의한 것이다.
머그라 주012)
머그라:
먹-+-으(조음소)-+-라(명령형 어미). 먹으라.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또 측백나무 동쪽을 향한 잎을 캐어 말리어 가늘게 갈아 더운 물이거나 술이거나에 풀어 먹으라.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즉(側栢):측백(側栢)나무. ‘側’의 한자음이 ‘즉’인 것이 주목된다. ‘즉’이 유기음 ‘측’으로 바뀐 것은 16세기 후반으로 추측된다. 측백나무는 측백나뭇과의 상록 침엽 교목. 높이는 25미터 정도이며, 지름 1m에 달하지만 관목상이며 작은 가지가 수직으로 벌어진다. 비늘 모양의 잎이 뾰족하고 가지를 가운데 두고 서로 어긋나게 달린다. 잎의 앞면과 뒷면의 구별이 거의 없고 흰색 점이 약간 있다. 꽃은 4월에 피고 1가화이며 수꽃은 전년 가지의 끝에 1개씩 달리고 10개의 비늘조각과 2~4개의 꽃밥이 들어 있다. 암꽃은 8개의 실편(實片)과 6개의 밑씨가 있다. 열매는 구과(毬果)로 원형이며 길이 1.5~2cm로 9~10월에 익고, 첫째 1쌍의 실편에는 종자가 들어 있지 않다. 잎은 지혈 이뇨 등에, 씨는 자양 진정 등에 사용한다. 한국(단양·양양·울진), 중국에 분포한다.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반송같이 되는 것을 천지백이라고 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설악산과 오대산 등 높은 산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종을 눈측백이라고 하는데 가지가 서양 측백처럼 수평으로 퍼지고 향기가 있다. 이것을 지빵나무라고도 하지만 지빵이나 찝빵은 측백과 같은 뜻이므로 눈(누운)측백이라고 한다. 미국에서 들어온 서양 측백은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며 향기가 있고 잎이 넓다. 수형(樹形)이 아름답기 때문에 생울타리, 관상용으로 심는다. 측백나무 잎을 쪄서 말리기를 아홉 번 거듭하여 가루를 만들어 오래 먹으면 온갖 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다. 몸에 나쁜 냄새가 없어지고 향내가 나며 머리칼이 희어지지 않고 이빨과 뼈가 튼튼해져서 오래 산다. 부인들의 하혈이나 피오줌 대장이나 직장의 출혈에도 구증구포한 측백 잎이 효과가 크다. 간암이나 간경화 등으로 복수가 찰 때에는 아홉 번 쪄서 말린 측백 잎을 달여서 오소리 쓸개와 함께 복용하면 복수가 빠지고 소변이 잘 나오게 된다. 구증구포한 측백 잎을 늘 복용하면 고혈압과 중풍을 예방할 수 있고 몸이 튼튼해지며 불면증, 신경쇠약 등이 없어진다.
주002)
(東向):-+-ㄴ(관형사형 어미). 동향한. 동쪽을 향한.
주003)
닙플:닢[葉]+을(대격 조사). 잎을. ‘닢’이 ‘닙’과 같이 된 것은 내파화를 반영한 것이며, ‘닢’의 ‘ㅍ’; 받침이 다시 대격 조사에 ‘플’과 같이 중철되고 있다.
주004)
야:[採]-+-아(연결 어미). 채취하여. 한문 원문의 ‘채취(採取)’를 ‘-’로 언해한 것은 ‘채(採)’라는 한자의 훈에 이끌린 것으로 보인다. ‘나뭇잎’을 캔다는 것은 현대어로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아’가 ‘-야’로 된 것은 ‘ㅣ’ 모음 순행동화에 의한 것이다.
주005)
외야:외[使乾]-+-아(연결 어미). 말리어. ‘-아’가 ‘-야’로 된 것은 ‘ㅣ’ 모음 순행동화에 의한 것이다.
주006)
에:[細]-+-게(연결 어미). 가늘게.
주007)
라:-+-아(연결 어미). 갈아.
주008)
더운:덥[溫]-+-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더운.
주009)
므리어나:믈[水]+이(지정 형용사)-+-거나(연결 어미). 물이거나.
주010)
수리어나:술[酒]+이(지정 형용사)-+-거나(연결 어미). 술이거나.
주011)
프러:플-+-어(연결 어미). 풀어. ‘플-’이 ‘풀-’과 같이 된 것은 순음화에 의한 것이다.
주012)
머그라:먹-+-으(조음소)-+-라(명령형 어미). 먹으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