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사리영응기

  • 역주 사리영응기
  •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
  • [註疏] 11. 세 번 스스로 귀의함
메뉴닫기 메뉴열기

[註疏] 11. 세 번 스스로 귀의함


【〖三自歸依〗 自歸依 주001)
귀의(歸依):
범어 sarana. 귀경의투(歸敬依投). 부처(佛), 법(法), 스님(僧)에게 몸돌려 공경하고 의지하여 몸을 던지는 것. 귀의의 범어에는 구제 구호의 뜻도 포함되어 있으니, 곧 삼보의 공덕과 위력에 귀의하여 그것을 보존하고, 귀의한 이를 포섭 인도하여 한없는 생사의 고륜(苦輪)을 멈추어 일체의 고통에서 해탈하게 하는 것이다.
當願 주002)
당원(當願):
당연히 소원하다. 바로 지금 소원하다.
衆生體解 주003)
체해(體解):
체득하고 이해함.
大道 發無上道 주004)
무상도(無上道):
더이상 위 없고 견줄 데 없이 큰 도인 불도(佛道)이니, 여래가 얻은 도로서 그 위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이기에 무상도라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보리(菩提)가 되고, 정각(正覺),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 등과 같은 뜻이다.
自歸依法 當願衆生深入 주005)
심입(深入):
깊이 들다.
經藏 주006)
경장(經藏):
경(經)은 범어 sutra. 음역하여 수다라(修多羅), 소달람(素怛纜), 소달라(蘇怛羅). 일반적으로 번역하여 계경(戒經), 정경(正經), 관경(貫經)이라 한다. 불교의 성전(聖典)을 경(經) 율(律) 논(論) 삼장(三藏)으로 총괄되는데 그 중의 경이 경장(經藏)이다.
智慧 주007)
지혜(智慧):
지(智)는 범어 jnana. 곧 일체 사물의 도리에 대해서 시비 사정을 단정하여 취사(取捨)하는 것을 말한다. 뒤로 번뇌의 주요 원인을 단절하는 정신 작용을 포함하여 지혜의 혜(慧)까지 포섭하게 되었다.
如海 自歸依僧 當願衆生統理大衆 一切無碍 주008)
무애(無碍):
무애(無礙)와 같음. 무장애(無障礙). 막힘이 없음.
歸依三寶 畢竟所作諸功德 施一切有情 주009)
유정(有情):
범어 sattva. 음역하여 살타파(薩多婆), 살타부(薩埵嚩), 살타(薩埵). 중생이라 번역하기도 했으니 곧 생존한 자라는 의미이다. 중생과 유정의 관계는 그 설이 한결같지 않다. 유정은 인류, 제천(諸天), 아귀, 축생, 아수라 등의 정식(情識)이 있는 생물을 말한다 하니, 이에 의거하면 초목, 금석, 산하 대지 등은 비정이나 무정이 되지만, 중생은 유정 무정을 다 포괄하는 것이다.
皆共成佛道】

【〖세 번 스스로 귀의함〗 ‘스스로 부처님께 귀의하오니 마땅히 중생들이 큰 길을 몸소 이해해 무상의 도 펴기를 기원합니다. 스스로 법에 귀의하오니 마땅히 중생이 깊이 장경에 들어 지혜를 바다처럼 되기를 기원합니다. 스스로 스님께 귀의하오니 마땅히 중생이 대중을 이끌어 일체가 막힘없기를 기원합니다.’ 삼보에 귀의하오니 마침내 지은 제공덕으로 일체의 유정들에게 베풀어 모두 함께 불도를 이루리이다.】
Ⓒ 역자 | 이종찬 / 2013년 10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귀의(歸依):범어 sarana. 귀경의투(歸敬依投). 부처(佛), 법(法), 스님(僧)에게 몸돌려 공경하고 의지하여 몸을 던지는 것. 귀의의 범어에는 구제 구호의 뜻도 포함되어 있으니, 곧 삼보의 공덕과 위력에 귀의하여 그것을 보존하고, 귀의한 이를 포섭 인도하여 한없는 생사의 고륜(苦輪)을 멈추어 일체의 고통에서 해탈하게 하는 것이다.
주002)
당원(當願):당연히 소원하다. 바로 지금 소원하다.
주003)
체해(體解):체득하고 이해함.
주004)
무상도(無上道):더이상 위 없고 견줄 데 없이 큰 도인 불도(佛道)이니, 여래가 얻은 도로서 그 위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이기에 무상도라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보리(菩提)가 되고, 정각(正覺),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 등과 같은 뜻이다.
주005)
심입(深入):깊이 들다.
주006)
경장(經藏):경(經)은 범어 sutra. 음역하여 수다라(修多羅), 소달람(素怛纜), 소달라(蘇怛羅). 일반적으로 번역하여 계경(戒經), 정경(正經), 관경(貫經)이라 한다. 불교의 성전(聖典)을 경(經) 율(律) 논(論) 삼장(三藏)으로 총괄되는데 그 중의 경이 경장(經藏)이다.
주007)
지혜(智慧):지(智)는 범어 jnana. 곧 일체 사물의 도리에 대해서 시비 사정을 단정하여 취사(取捨)하는 것을 말한다. 뒤로 번뇌의 주요 원인을 단절하는 정신 작용을 포함하여 지혜의 혜(慧)까지 포섭하게 되었다.
주008)
무애(無碍):무애(無礙)와 같음. 무장애(無障礙). 막힘이 없음.
주009)
유정(有情):범어 sattva. 음역하여 살타파(薩多婆), 살타부(薩埵嚩), 살타(薩埵). 중생이라 번역하기도 했으니 곧 생존한 자라는 의미이다. 중생과 유정의 관계는 그 설이 한결같지 않다. 유정은 인류, 제천(諸天), 아귀, 축생, 아수라 등의 정식(情識)이 있는 생물을 말한다 하니, 이에 의거하면 초목, 금석, 산하 대지 등은 비정이나 무정이 되지만, 중생은 유정 무정을 다 포괄하는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