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사리영응기

  • 역주 사리영응기
  •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
  • [註疏] 10-1. 제자들 지극한 마음으로 참회함
메뉴닫기 메뉴열기

[註疏] 10-1. 제자들 지극한 마음으로 참회함


【〖我弟子等至心懺悔〗 我昔 주001)
아석(我昔):
우리가 지난날. 내가 지난날. 본문은 7언절구의 시 형식을 띠고 있다.
所造 주002)
소조(所造):
지은 것. 소(所)는 ‘이미 ~한 것’의 의미인 형식명사. 그 뒤에 오는 실질명사가 ‘제악업(諸惡業)’이다.
諸惡業 皆由無始貪瞋癡 주003)
탐진치(貪瞋痴):
‘탐내는 욕심[貪], 성내고 미워함[瞋], 어리석음[癡]’을 일컬음. 이 세 가지를 삼독(三毒)이라 하며, 삼화(三火), 삼구(三垢)라고도 한다. 일체 번뇌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독(毒)이라 한다. ‘치(痴)’는 ‘치(癡)’의 속자임.
身口意 주004)
신구의(身口意):
몸과 마음과 생각의 세 가지로 짓는 일이 선과 악으로 나뉘니, 이 세 가지의 작업을 3업(三業)이라 한다. (1) 신업(身業)은 몸이 짓는 업으로, 선과 악이 있어 살생이나 사행(邪行)은 신악업(身惡業)이고, 불살(不殺), 불음(不淫), 불도(不盜)는 신선업(身善業)이다. (2) 구업(口業)은 망어(妄語), 이간어(離間語), 악어(惡語), 기어(綺語)는 구악업(口惡業)이고, 불망어, 붕양어(不兩語), 불악어, 불기어는 구선업(口善業)이다. (3) 의업(意業)은 탐욕, 진에(瞋恚), 사견(邪見) 등은 의악업(意惡業)이고, 불탐, 불진(不瞋), 불사견은 의선업(意善業)이다.
之所生 一切我今皆懺悔 懺悔已 歸命禮三寶】

【〖우리 제자들 지극한 마음으로 참회〗 ‘우리가 지난날 지은 모든 악업은 다 처음부터 탐내고 꾸짖고 어리석음으로부터이니, 몸과 임 생각에서 나온 것이니, 일체를 우리 지금 다 참회합니다.’ 참회를 마치고 삼보에게 공경하옵는 예 올립니다.】
Ⓒ 역자 | 이종찬 / 2013년 10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석(我昔):우리가 지난날. 내가 지난날. 본문은 7언절구의 시 형식을 띠고 있다.
주002)
소조(所造):지은 것. 소(所)는 ‘이미 ~한 것’의 의미인 형식명사. 그 뒤에 오는 실질명사가 ‘제악업(諸惡業)’이다.
주003)
탐진치(貪瞋痴):‘탐내는 욕심[貪], 성내고 미워함[瞋], 어리석음[癡]’을 일컬음. 이 세 가지를 삼독(三毒)이라 하며, 삼화(三火), 삼구(三垢)라고도 한다. 일체 번뇌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독(毒)이라 한다. ‘치(痴)’는 ‘치(癡)’의 속자임.
주004)
신구의(身口意):몸과 마음과 생각의 세 가지로 짓는 일이 선과 악으로 나뉘니, 이 세 가지의 작업을 3업(三業)이라 한다. (1) 신업(身業)은 몸이 짓는 업으로, 선과 악이 있어 살생이나 사행(邪行)은 신악업(身惡業)이고, 불살(不殺), 불음(不淫), 불도(不盜)는 신선업(身善業)이다. (2) 구업(口業)은 망어(妄語), 이간어(離間語), 악어(惡語), 기어(綺語)는 구악업(口惡業)이고, 불망어, 붕양어(不兩語), 불악어, 불기어는 구선업(口善業)이다. (3) 의업(意業)은 탐욕, 진에(瞋恚), 사견(邪見) 등은 의악업(意惡業)이고, 불탐, 불진(不瞋), 불사견은 의선업(意善業)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