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사리영응기

  • 역주 사리영응기
  •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
  • [註疏] 6. 지성으로 예배함-아미타불
메뉴닫기 메뉴열기

[註疏] 6. 지성으로 예배함-아미타불


一心頂禮 極樂世界 我等導師 주001)
도사(導師):
중생을 교화 인도하여 불도에 들게 하는 성인. 특히 석존을 지칭하기도 함.
金色 주002)
금색(金色):
금에는 4가지의 뜻이 있으니, 곧 (1)색이 변하지 않는 것이고[色不變], (2) 본체가 물들지 않음이고[體不染], (3) 다른 것으로 만들어도 걸림이 없고[轉作無礙], (4)사람들을 부자롭게 할 수 있음[能使人富裕]이다. 이 4가지 의의를 아울러서 불법신(佛法身)의 상(常)·락(樂)·아(我)·정(淨)의 사덕(四德)에 비유한다.
如來 無見頂上相 주003)
무견정상(無見頂相):
부처님의 80종 호상(好相)의 하나. 육계상(肉髻相). “볼 수 없는 정수상은 무엇 때문인가. 보살이실 때에 한량없는 세상에 일체의 성현, 스승, 부모, 어른에게 조아려 예배하여 공경으로 공양하였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정수리 상을 얻게 되었다.”〈우파색계경(優婆塞戒經) 권1〉
大慈大悲 주004)
자비(慈悲):
자(慈)는 중생을 사랑하고 함께 즐거움을 주는 것[與樂]이고, 비(悲)는 중생과 괴로움을 함께 느끼고 연민하는 것[拔苦]이다.
阿彌陁佛 주005)
아미타불(阿彌陀佛):
범명 Amita-buddha. 서방극락세계의 교주. 범어 Amita는 의역하면 무량(無量). 아미타불 이름의 유래는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한 아미타경(阿彌陀經)에 의하면, 이 부처는 광명이 무량하고 수명이 무량하기 때문에 아미타불이라 칭했다 한다. 그러나 범본(梵本) 아미타경이나 칭찬정토불섭수경(稱讚淨土佛攝受經)에는 이 부처는 수명이 무수하고 묘광(妙光)이 무량하기 때문에 무량수불(無量壽佛)이라 한다고 하였다. 아미타불이 성도한 인연에 대하여서는 무량수경에 의하면, 과거 오랜 세상 자재왕불(自在王佛)이 계실 때, 어느 한 국왕이 무상의 도심(道心)을 발하여 왕위를 버리고 출가하여 이름이 법장비구(法藏比丘)로서 자재왕불의 처소에서 수행하여 제불의 정토를 익히 알고 5겁이 지나도록 사색하여 수승(殊勝)한 48원(願)을 발원했다고 한다.

한 마음으로 머리 조아려 예배하옵니다. 극락세계에서 우리들을 인도하시는 스승님 황금색의 여래 보이지 않는 정수리 모습 대자대비하신 아미타불께 예배하옵니다.
Ⓒ 역자 | 이종찬 / 2013년 10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도사(導師):중생을 교화 인도하여 불도에 들게 하는 성인. 특히 석존을 지칭하기도 함.
주002)
금색(金色):금에는 4가지의 뜻이 있으니, 곧 (1)색이 변하지 않는 것이고[色不變], (2) 본체가 물들지 않음이고[體不染], (3) 다른 것으로 만들어도 걸림이 없고[轉作無礙], (4)사람들을 부자롭게 할 수 있음[能使人富裕]이다. 이 4가지 의의를 아울러서 불법신(佛法身)의 상(常)·락(樂)·아(我)·정(淨)의 사덕(四德)에 비유한다.
주003)
무견정상(無見頂相):부처님의 80종 호상(好相)의 하나. 육계상(肉髻相). “볼 수 없는 정수상은 무엇 때문인가. 보살이실 때에 한량없는 세상에 일체의 성현, 스승, 부모, 어른에게 조아려 예배하여 공경으로 공양하였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정수리 상을 얻게 되었다.”〈우파색계경(優婆塞戒經) 권1〉
주004)
자비(慈悲):자(慈)는 중생을 사랑하고 함께 즐거움을 주는 것[與樂]이고, 비(悲)는 중생과 괴로움을 함께 느끼고 연민하는 것[拔苦]이다.
주005)
아미타불(阿彌陀佛):범명 Amita-buddha. 서방극락세계의 교주. 범어 Amita는 의역하면 무량(無量). 아미타불 이름의 유래는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한 아미타경(阿彌陀經)에 의하면, 이 부처는 광명이 무량하고 수명이 무량하기 때문에 아미타불이라 칭했다 한다. 그러나 범본(梵本) 아미타경이나 칭찬정토불섭수경(稱讚淨土佛攝受經)에는 이 부처는 수명이 무수하고 묘광(妙光)이 무량하기 때문에 무량수불(無量壽佛)이라 한다고 하였다. 아미타불이 성도한 인연에 대하여서는 무량수경에 의하면, 과거 오랜 세상 자재왕불(自在王佛)이 계실 때, 어느 한 국왕이 무상의 도심(道心)을 발하여 왕위를 버리고 출가하여 이름이 법장비구(法藏比丘)로서 자재왕불의 처소에서 수행하여 제불의 정토를 익히 알고 5겁이 지나도록 사색하여 수승(殊勝)한 48원(願)을 발원했다고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