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사리영응기

  • 역주 사리영응기
  •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
  • [註疏] 6. 지성으로 예배함-문수사리보살마하살
메뉴닫기 메뉴열기

[註疏] 6. 지성으로 예배함-문수사리보살마하살


一心頂禮 大悲大願 大聖 주001)
대성(大聖):
범어 maha-muni. 부처 보살들에 대한 존칭이니, 대성보현보살(大聖普賢菩薩), 대성문수사리보살(大聖文殊師利菩薩) 등과 같이 모두 존경의 의미에서 온 것이다.
大慈 주002)
대자(大慈):
보살은 중생의 괴로움을 뽑아내고 즐거움을 주는 분인데, 괴로움을 뽑아내는 것이 ‘대비(大悲)’이고 즐거움을 주는 것이 ‘대자(大慈)’이다[拔苦與樂].
文殊師利菩薩摩訶薩 주003)
문수사리보살마하살(文殊師利菩薩摩訶薩):
문수의 범명 Manjusri를 음역하여 문수사리(文殊師利), 또는 만수실리(曼殊室利), 만조실리(滿祖室哩)라고 하고, 의역하면 묘덕(妙德), 묘길상(妙吉祥), 묘락(妙樂), 법왕자(法王子)라 한다. 또는 유동문수보살(儒童文殊菩薩), 문수사리동진(文殊師利童眞)이라고도 한다. 불교 4대보살의 하나이고, 반야경전과 깊은 관계가 있다. 〈수능엄삼매경(首楞嚴三昧經)〉에 과거 구원한 세상에 용종상여래(龍種上如來)가 있어 남방의 평등세계에서 무상정등각을 이루어 수가 4백 4십만세로써 열반에 들었는데 저 부처가 지금의 문수사리법왕자라 한다.
주004)
마하살(摩訶薩):
마하살타(摩訶薩埵)로, 범어 mahasattva의 음역인데, 보살 또는 대사(大士)의 통칭이고, 약칭하여 마하살이라 한다.
唯願不捨慈悲 受我頂禮 拔我罪根 주005)
죄근(罪根):
죄는 도리를 위반하여 금하는 조항을 범하여 괴로움의 과보를 부르는 악한 행위이니, 혹은 구(咎)라 하기도 한다. 번뇌를 죄라 하는 자도 있지만, 언어 의지 행위 등의 3방면의 악행을 죄업(罪業)이라 한다. 죄는 악을 위한 행위이고 또 더러움에 속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죄구(罪咎)라고도 한다. 또는 죄짓는 행위로 해서 고통의 업보를 불러오기 때문에 죄보(罪報)라 하고, 또 그 행위가 죄보의 근본을 부르기 때문에 죄근(罪根)이라 한다.
滿我願心 주006)
원심(願心):
구하거나 소원하는 마음. 깨달음을 구원하거나 정토에 왕생하기를 구원하는 마음.

한 마음으로 머리 조아려 예배하옵니다. 큰 슬픔, 큰 소원, 큰 성인, 큰 사랑이신 문수사리보살마하살. 오직 원하옵건대 자비를 버리지 마시고 나의 조아리는 예배 받으시어 나의 죄의 뿌리 뽑아 주시고 나의 소원 마음 가득하게 하소서.
Ⓒ 역자 | 이종찬 / 2013년 10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대성(大聖):범어 maha-muni. 부처 보살들에 대한 존칭이니, 대성보현보살(大聖普賢菩薩), 대성문수사리보살(大聖文殊師利菩薩) 등과 같이 모두 존경의 의미에서 온 것이다.
주002)
대자(大慈):보살은 중생의 괴로움을 뽑아내고 즐거움을 주는 분인데, 괴로움을 뽑아내는 것이 ‘대비(大悲)’이고 즐거움을 주는 것이 ‘대자(大慈)’이다[拔苦與樂].
주003)
문수사리보살마하살(文殊師利菩薩摩訶薩):문수의 범명 Manjusri를 음역하여 문수사리(文殊師利), 또는 만수실리(曼殊室利), 만조실리(滿祖室哩)라고 하고, 의역하면 묘덕(妙德), 묘길상(妙吉祥), 묘락(妙樂), 법왕자(法王子)라 한다. 또는 유동문수보살(儒童文殊菩薩), 문수사리동진(文殊師利童眞)이라고도 한다. 불교 4대보살의 하나이고, 반야경전과 깊은 관계가 있다. 〈수능엄삼매경(首楞嚴三昧經)〉에 과거 구원한 세상에 용종상여래(龍種上如來)가 있어 남방의 평등세계에서 무상정등각을 이루어 수가 4백 4십만세로써 열반에 들었는데 저 부처가 지금의 문수사리법왕자라 한다.
주004)
마하살(摩訶薩):마하살타(摩訶薩埵)로, 범어 mahasattva의 음역인데, 보살 또는 대사(大士)의 통칭이고, 약칭하여 마하살이라 한다.
주005)
죄근(罪根):죄는 도리를 위반하여 금하는 조항을 범하여 괴로움의 과보를 부르는 악한 행위이니, 혹은 구(咎)라 하기도 한다. 번뇌를 죄라 하는 자도 있지만, 언어 의지 행위 등의 3방면의 악행을 죄업(罪業)이라 한다. 죄는 악을 위한 행위이고 또 더러움에 속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죄구(罪咎)라고도 한다. 또는 죄짓는 행위로 해서 고통의 업보를 불러오기 때문에 죄보(罪報)라 하고, 또 그 행위가 죄보의 근본을 부르기 때문에 죄근(罪根)이라 한다.
주006)
원심(願心):구하거나 소원하는 마음. 깨달음을 구원하거나 정토에 왕생하기를 구원하는 마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