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사리영응기

  • 역주 사리영응기
  •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
  • [註疏] 6. 지성으로 예배함-비노차나부처님
메뉴닫기 메뉴열기

[註疏] 6. 지성으로 예배함-비노차나부처님


一心頂禮 眞如 주001)
진여(眞如):
범어 bhuta-tathata. 또는 tathata. 곧 우주에 퍼져 있는 진실의 본체로서 일체 만유(萬有)의 근원임을 지칭하는 말. 또 여여(如如), 여실(如實), 범성(法性), 법계(法界), 실제(實際), 실상(實相), 여래장(如來藏), 법신(法身), 불성(佛性), 자정청정신(自淨淸淨身), 일심(一心), 불가사의계(不可思議界)라고도 함. 진(眞)은 진실하여 허망하지 않은[眞實不虛妄]의 뜻이고, 여(如)는 그 본성을 변하지 않는[不變其性]의 뜻이다.
實性 주002)
실성(實性):
진실의 본성. 불성(佛性)의 딴 이름.
주003)
각(覺):
범어 bodhi. 음역으로 ‘보디(菩提)’이니, 곧 의역으로는 ‘열반하는 묘리(妙理)를 깨닫는 지혜’를 일컫는다. 범어의 bodhi는 각(覺)으로 번역하고 buddha는 음역으로 불(佛), 불타(佛陀)라 하거나 각자(覺者 개달은 이)라 한다.
道本源 種習 주004)
종습(種習):
종자(種子)와 습기(習氣).
兩亡 體依 주005)
체의(體依):
본체와 의지(依止).
雙備 因該動植 果獨如來 非有非空 주006)
비유비공(非有非空):
유식론(唯識論)에서 말하는 중도(中道). 일체의 법이 편계소집(徧計所執)의 허망분별상(虛妄分別相)과 의타기(依他起)의 인연상(因緣相)과 원성실(圓成實)의 진실상(眞實相)인 삼성(三性)이 있는데, 편계소집은 공(空)이요 비유(非有)이고, 의타와 원성은 유(有)이요 공이 아니니[非空] 비유비공은 곧 중도이다.
不生不滅 주007)
불생불멸(不生不滅):
생멸(生滅)의 상대적 언사. 항상 존재[常住]의 의미. 〈반야심경〉에 의거해 보면, “이 세상의 일체의 존재에는 실체가 없는[無實體] 특성이 존재하여 나지도 않고 역시 없어지지도 않는다[不生亦不滅]. 이 하나의 사상이 불교 이전의 인도사회에 싹이 터 그 뒤로 불교 근본 교의의 하나가 되었다.”
可歸可趣 是 주008)
적(寂):
멸(滅)이라고도 함. 열반(涅槃)의 또 다른 말. 곧 생사를 초월하여 적멸(寂滅)하여 하염이 없음을 지칭. 승전(僧傳)에서는 승려의 죽음을 ‘적(寂)’이라 하니 적멸의 약칭이고 열반에 든다는 의미이기도 함.
주009)
상(相):
범어 laksana. 형상(形相)이나 상태(狀態)의 의미. 곧 성질(性質)과 본체(本體) 등을 상대로 말하는 것이니 곧 모든 법의 형상과 상태를 가리킨다.
淸淨法身毗盧遮那佛 淸淨法界離諸相 平等 주010)
평등(平等):
범어 sama. 곧 고르고[均平] 가지런[齊等]하여 높고 낮음, 옅고 깊음의 차별이 없음. 일체의 현상이 공성(共性)이거나 공성(空性)이어서 유식성(唯識性), 진여서(眞如性) 등의 위에서도 차별이 없음. 차별과의 상대적 칭호이다.
實性量無邊 大功德法之所依 주011)
소의(所依):
범어 saraya. ‘의지함을 받다[被依]’의 의미를 담다. 마음이 일어날 때에 의지하거나 의탁하는 것을 일컬음.
是故我今恭敬 주012)
공경(恭敬):
범어 satkara. 스스로 낮추어 상대방을 존경하는 것. 공경은 신(身), 구(口), 의(意) 삼업(三業)에 통하니, ‘공덕을 염송하여 그 사람을 존경하는 것’은 의업이고, ‘존중하여 예배하거나 송별 영접에 합장하여 친히 대접함’은 신업이고, ‘소승법으로 교화하는 것은 공양이고 벽지불법(辟支佛法)으로 교화하는 것을 봉공(奉供)이라 하고 대승법으로 교화하는 것을 공경이라.’ 하니, 이는 모두 구업이다.
禮 願我普共 주013)
보공(普共):
두루 다.
諸衆生 同獲如來 주014)
여래(如來):
범어 tathagata. 음역하여 다타아가타(多陀阿伽陀). 또 의역으로는 여거(如去)라고도 하니 불십호(佛十號) 중의 하나. 범어 tathagata를 여거, 여래로 나누어 해석할 수 있으니, 여거는 진여의 도(道)를 타고 불과(佛果)인 열반으로 갔다는 의미이고, 여래는 진리로 말미암아 와서[如實而來] 정각(正覺)을 이루었다는 의미이다. 불타(佛陀)는 진리를 타고 와서 진여로 말미암아 몸을 낮추었기 때문에 불타를 높여서 여래라 일컫는다.
淨法身

한 마음으로 머리 조아려 예배합니다. 진여의 실다운 모습이 깨닫는 길의 본원이니, 종자와 습기 둘 다 잊고 본체와 의지체가 쌍으로 갖추었습니다. 인(因)으로 동물, 식물을 이해하여 결과는 유독 여래이시니, 있음도 아니요 없음도 아니며, 남도 아니며 멸함도 아니십니다. 갈 수도 있으며 머물 수도 있으니, 이것이 공적(空寂)이요, 이것이 모습으로 청정 법신의 비노차나부처님께 예배합니다. 청정 법계에서 모든 모습을 여의고 평등의 참다운 본성으로 양 끝이 없으니, 큰 공의 덕과 법이 의지할 곳이라. 이러므로 우리는 지금 공경으로 예배하오며, 우리 두루 모든 중생과 함께 여래의 청정하신 법신을 얻기를 소원합니다.
Ⓒ 역자 | 이종찬 / 2013년 10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진여(眞如):범어 bhuta-tathata. 또는 tathata. 곧 우주에 퍼져 있는 진실의 본체로서 일체 만유(萬有)의 근원임을 지칭하는 말. 또 여여(如如), 여실(如實), 범성(法性), 법계(法界), 실제(實際), 실상(實相), 여래장(如來藏), 법신(法身), 불성(佛性), 자정청정신(自淨淸淨身), 일심(一心), 불가사의계(不可思議界)라고도 함. 진(眞)은 진실하여 허망하지 않은[眞實不虛妄]의 뜻이고, 여(如)는 그 본성을 변하지 않는[不變其性]의 뜻이다.
주002)
실성(實性):진실의 본성. 불성(佛性)의 딴 이름.
주003)
각(覺):범어 bodhi. 음역으로 ‘보디(菩提)’이니, 곧 의역으로는 ‘열반하는 묘리(妙理)를 깨닫는 지혜’를 일컫는다. 범어의 bodhi는 각(覺)으로 번역하고 buddha는 음역으로 불(佛), 불타(佛陀)라 하거나 각자(覺者 개달은 이)라 한다.
주004)
종습(種習):종자(種子)와 습기(習氣).
주005)
체의(體依):본체와 의지(依止).
주006)
비유비공(非有非空):유식론(唯識論)에서 말하는 중도(中道). 일체의 법이 편계소집(徧計所執)의 허망분별상(虛妄分別相)과 의타기(依他起)의 인연상(因緣相)과 원성실(圓成實)의 진실상(眞實相)인 삼성(三性)이 있는데, 편계소집은 공(空)이요 비유(非有)이고, 의타와 원성은 유(有)이요 공이 아니니[非空] 비유비공은 곧 중도이다.
주007)
불생불멸(不生不滅):생멸(生滅)의 상대적 언사. 항상 존재[常住]의 의미. 〈반야심경〉에 의거해 보면, “이 세상의 일체의 존재에는 실체가 없는[無實體] 특성이 존재하여 나지도 않고 역시 없어지지도 않는다[不生亦不滅]. 이 하나의 사상이 불교 이전의 인도사회에 싹이 터 그 뒤로 불교 근본 교의의 하나가 되었다.”
주008)
적(寂):멸(滅)이라고도 함. 열반(涅槃)의 또 다른 말. 곧 생사를 초월하여 적멸(寂滅)하여 하염이 없음을 지칭. 승전(僧傳)에서는 승려의 죽음을 ‘적(寂)’이라 하니 적멸의 약칭이고 열반에 든다는 의미이기도 함.
주009)
상(相):범어 laksana. 형상(形相)이나 상태(狀態)의 의미. 곧 성질(性質)과 본체(本體) 등을 상대로 말하는 것이니 곧 모든 법의 형상과 상태를 가리킨다.
주010)
평등(平等):범어 sama. 곧 고르고[均平] 가지런[齊等]하여 높고 낮음, 옅고 깊음의 차별이 없음. 일체의 현상이 공성(共性)이거나 공성(空性)이어서 유식성(唯識性), 진여서(眞如性) 등의 위에서도 차별이 없음. 차별과의 상대적 칭호이다.
주011)
소의(所依):범어 saraya. ‘의지함을 받다[被依]’의 의미를 담다. 마음이 일어날 때에 의지하거나 의탁하는 것을 일컬음.
주012)
공경(恭敬):범어 satkara. 스스로 낮추어 상대방을 존경하는 것. 공경은 신(身), 구(口), 의(意) 삼업(三業)에 통하니, ‘공덕을 염송하여 그 사람을 존경하는 것’은 의업이고, ‘존중하여 예배하거나 송별 영접에 합장하여 친히 대접함’은 신업이고, ‘소승법으로 교화하는 것은 공양이고 벽지불법(辟支佛法)으로 교화하는 것을 봉공(奉供)이라 하고 대승법으로 교화하는 것을 공경이라.’ 하니, 이는 모두 구업이다.
주013)
보공(普共):두루 다.
주014)
여래(如來):범어 tathagata. 음역하여 다타아가타(多陀阿伽陀). 또 의역으로는 여거(如去)라고도 하니 불십호(佛十號) 중의 하나. 범어 tathagata를 여거, 여래로 나누어 해석할 수 있으니, 여거는 진여의 도(道)를 타고 불과(佛果)인 열반으로 갔다는 의미이고, 여래는 진리로 말미암아 와서[如實而來] 정각(正覺)을 이루었다는 의미이다. 불타(佛陀)는 진리를 타고 와서 진여로 말미암아 몸을 낮추었기 때문에 불타를 높여서 여래라 일컫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