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사리영응기

  • 역주 사리영응기
  •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
  • 사리영응기 093
메뉴닫기 메뉴열기

사리영응기 093


奉事郞 주001)
봉사랑(奉事郞):
조선시대 동반(東班) 종9품 잡직의 관계.
前掖庭署內班從事 臣金有生 奉事郞 前掖庭署內班從事 臣李長守 奉事郞 前掖庭署內班從事 臣千象 奉事郞 前掖庭署內班從事 臣趙山 奉事郞 前掖庭署內班從事 臣丁智 奉事郞 前掖庭署內班從事 臣姜仲富 調節郞 주002)
조절랑(調節郞):
조선 초기 아악서(雅樂署) 전악서(典樂署) 장악서(掌樂署)의 종9품 잡직의 관계.
前典樂署直律 臣車長守 調節郞 前典樂署直律 臣金長守 調節郞 前典樂署直律 주003)
직률(直律):
조선 초기 아악서(雅樂署) 전악서(典樂署) 장악서(掌樂署)의 종9품 잡직.
臣白春生 調節郞 前

사리영응기:23ㄴ

典樂署直律 臣吳貴童 調節郞 前典樂署直律 臣金間 調節郞 前典樂署直律 臣李暉 調節郞 前典樂署直律 臣曺文侏 調節郞 前典樂署直律 臣金得守 龍賁侍衛司 前後領攝隊副 臣崔올·미 龍武侍衛司 주004)
용무시위사(龍武侍衛司):
조선 초기 중앙 군사 조직의 하나.
前左領攝隊副 臣堅貴童 調節郞 典樂署直律 臣宋勝全 調節郞 典樂署直律 臣張春 虎翼侍衛司 주005)
호익시위사(虎翼侍衛司):
조선 태종 9년(1409)에 중앙군의 조직 10사(司) 중의 하나인 호익순위사(虎翼巡衛司)를 고친 이름.
左領攝隊副 臣車存者 雄武侍衛司 右領隊副 臣黃沚

봉사랑 전 액정서내반종사 신 김유생(金有生), 봉사랑 전 액정서내반종사 신 이장수(李長守), 봉사랑 전 액정서내반종사 신 천상(千象), 봉사랑 전 액정서내반종사 신 조산(趙山), 봉사랑 전 액정서내반종사 신 정지(丁智), 봉사랑 전 액정서내반종사 신 강중부(姜仲富), 조절랑 전 전악서직률 신 차장수(車長守), 조절랑 전 전악서직률 신 김장수(金長守), 조절랑 전 전악서직률 신 백춘생(白春生), 조절랑 전 전악서직률 신 오귀동(吳貴童), 조절랑 전 전악서직률 신 김간(金間), 조절랑 전 전악서직률 신 이휘(李暉), 조절랑 전 전악서직률 신 조문주(曺文侏), 조절랑 전 전악서직률 신 김득수(金得守), 용분시위사 전후령섭대부 신 최올미동(崔올미), 용무시위사 전좌령섭대부 신 견귀동(堅貴童), 조절랑 전악서직률 신 송승전(宋勝全), 조절랑 전악서직률 신 장춘(張春), 호익시위사좌령섭대부 신 차존자(車存者) 웅무시위사 우령대부 신 황지(黃沚),
Ⓒ 역자 | 이종찬 / 2013년 10월 20일

前上林園副給事 臣林더·믈 前上林園副給事 臣金眞珠 前上林園副給事 臣尹圓滿 上林園副給事 臣金玉生 前上林園副給事 臣金 :재 주006)
김상재(金재):
원문에서는 ‘金재’로 표기된 것을 현대문에서는 현대 맞춤법에 맞게 ‘김상재’로 표기하였다.
前上林園副給事 臣金松老 臣張義 臣郭仁中 臣洪重 臣黃良存 臣裵仲善 臣宋自殷 臣李孝生 臣金:검·불 臣劉은· 주007)
유은쇠(劉은):
원문에서는 ‘劉은’로 표기된 것을 현대문에서는 현대 맞춤법에 따라 ‘유은쇠’로 표기하였다.
臣梁오 ·지

사리영응기:24ㄱ

臣金구·디 臣陳根 臣梁季元 臣姜他守 臣崔수·새 臣咸: ·디 臣李孝根 臣朴石山 臣崔石丁 臣邊召南 臣金막 臣李哲同 臣鄭大難 臣金막 臣朴長守 臣龍오마·디 臣姜관 주008)
강낭관(姜관):
원문에서는 ‘姜관’으로 표기된 것을 현대문에서는 현대 맞춤법에 따라 ‘강 낭관’으로 두음법칙을 적용하였다.
臣權모리· 臣玄더·대 臣姜存者 臣鄭仲富 臣朴和尙 臣石· 臣梁末生 臣姜 · 臣姜막 臣金石老 臣金明 臣金· 주009)
김흰동(金):
원문에서는 ‘金’으로 표기된 것을 현대문에서는 현대 맞춤법에 따라 ‘’을 ‘흰’으로 보아 ‘김흰동’으로 표기하였다.
臣許우루·미 臣田오마 ·디 臣孔士永 臣韓仲富 臣韓世 臣柳得 臣朴북·쇠 臣金어리· 臣方羅睺羅 주010)
방나후라(方羅睺羅):
원문에서는 ‘方羅睺羅’로 표기된 것을 현대문에서는 현대 맞춤법에 따라 ‘방 나후라’로 두음법칙을 적용하였다. 본디 이 이름은 석가의 맏아들 이름이다. 범어 Rahula의 음역(音譯)인데, 의역하면 애물(碍物)이란 뜻으로 복장(覆障), 집월(執月)이라고도 한다. 태(胎) 안에 6년 동안이나 있었으며, 석가가 도(道)를 깨달은 날 밤에 태어났다고 함. 15세 때에 출가하여 석존(釋尊) 십대 제자(十大弟子) 가운데 한 사람으로, 밀행제일(密行第一)이라 존경받음.
臣閔막 臣金:돌·히 주011)
김돌이(金돌히):
원문에서는 ‘김돌히’로 표기된 것을 ‘돌ㅎ[石] (ㅎ종성체언)+이(접미사)〉돌이’로 보아 ‘김돌이’로 표기하였다.
臣石눅·대 臣李아가·지 臣李童 臣張貴山 臣車珊瑚 臣朴:곰· 臣金龍 臣李住持 臣張長守 臣姜타·내 臣尹方 臣趙田金 臣朴오마·대 臣李長

사리영응기:24ㄴ

臣姜막 臣李生 臣元大 臣金龍山 臣金거매 주012)
김거매(金거매):
‘거매’를 ‘검애(검은 아이), 거미’의 뜻으로 볼 수도 있으나 확실하지 않으므로 원문대로 표기하였다.
臣金升通 臣李쟈근·대 주013)
이자근대(李쟈근대):
‘쟈근대’를 ‘작은 대’의 뜻으로 볼 수도 있으나 확실치 않으므로 단모음화만 표기하였다.
金守司空龍萬

전 상림원부급사 신 임더믈(林더믈), 전 상림원부급사 신 김진주(金眞珠), 전 상림원부급사 신 윤원만(尹圓滿), 상림원부급사 신 김옥생(金玉生), 전 상림원부급사 신 김상재(金재), 전 상림원부급사 신 김송로(金松老), 신 장의(張義), 신 곽인중(郭仁中), 신 홍중(洪重), 신 황양존(黃良存), 신 배중선(裵仲善), 신 송자은(宋自殷), 신 이효생(李孝生), 신 김검불(金검불), 신 유은쇠(劉은), 신 양망오지(梁오지), 신 김똥구디(金구디), 신 진근(陳根), 신 양계원(梁季元), 신 강타수(姜他守), 신 최수새(崔수새), 신 함쇳디(咸디), 신 이효근(李孝根), 신 박석산(朴石山), 신 최석정(崔石丁), 신 변소남(邊召南), 신 김막동(金막), 신 이철동(李哲同), 신 정대난(鄭大難), 신 김막동(金막), 신 박장수(朴長守), 신 용오마디(龍오마디), 신 강낭관(姜관), 신 권모리쇠(權모리), 신 현더대(玄더대), 신 강존자(姜存者), 신 정중부(鄭仲富), 신 박화상(朴和尙), 신 석강쇠(石), 신 양말생(梁末生), 신 강망쇠(姜), 신 강막동(姜막), 신 김석로(金石老), 신 김명(金明), 신 김흰동(金), 신 허우루미(許우루미), 신 전오마디(田오마디), 신 공사영(孔士永), 신 한중부(韓仲富), 신 한세(韓世), 신 유득(柳得), 신 박북쇠(朴북쇠), 신 김어리딩(金어리), 신 방나후라(方羅睺羅), 신 민막동(閔막), 신 김돌이(金돌히), 신 석눅대(石눅대), 신 이아가지(李아가지), 신 이동(李童), 신 장귀산(張貴山), 신 차산호(車珊瑚), 신 박곰쇠(朴곰), 신 김용(金龍), 신 이주지(李住持), 신 장장수(張長守), 신 강타내(姜타내), 신 윤방(尹方), 신 조전금(趙田金), 신 박오마대(朴오마대), 신 이장(李長), 신 강막동(姜막), 신 이생(李生), 신 원대(元大), 신 김용산(金龍山), 신 김거매(金거매), 신 김승통(金升通), 신 이자근대(李쟈근대), 신 김수(金守), 신 사공용만(司空龍萬).
Ⓒ 역자 | 이종찬 / 2013년 10월 20일

舍利靈應記

사리영응기 〈마침〉.
Ⓒ 역자 | 이종찬 / 2013년 10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봉사랑(奉事郞):조선시대 동반(東班) 종9품 잡직의 관계.
주002)
조절랑(調節郞):조선 초기 아악서(雅樂署) 전악서(典樂署) 장악서(掌樂署)의 종9품 잡직의 관계.
주003)
직률(直律):조선 초기 아악서(雅樂署) 전악서(典樂署) 장악서(掌樂署)의 종9품 잡직.
주004)
용무시위사(龍武侍衛司):조선 초기 중앙 군사 조직의 하나.
주005)
호익시위사(虎翼侍衛司):조선 태종 9년(1409)에 중앙군의 조직 10사(司) 중의 하나인 호익순위사(虎翼巡衛司)를 고친 이름.
주006)
김상재(金재):원문에서는 ‘金재’로 표기된 것을 현대문에서는 현대 맞춤법에 맞게 ‘김상재’로 표기하였다.
주007)
유은쇠(劉은):원문에서는 ‘劉은’로 표기된 것을 현대문에서는 현대 맞춤법에 따라 ‘유은쇠’로 표기하였다.
주008)
강낭관(姜관):원문에서는 ‘姜관’으로 표기된 것을 현대문에서는 현대 맞춤법에 따라 ‘강 낭관’으로 두음법칙을 적용하였다.
주009)
김흰동(金):원문에서는 ‘金’으로 표기된 것을 현대문에서는 현대 맞춤법에 따라 ‘’을 ‘흰’으로 보아 ‘김흰동’으로 표기하였다.
주010)
방나후라(方羅睺羅):원문에서는 ‘方羅睺羅’로 표기된 것을 현대문에서는 현대 맞춤법에 따라 ‘방 나후라’로 두음법칙을 적용하였다. 본디 이 이름은 석가의 맏아들 이름이다. 범어 Rahula의 음역(音譯)인데, 의역하면 애물(碍物)이란 뜻으로 복장(覆障), 집월(執月)이라고도 한다. 태(胎) 안에 6년 동안이나 있었으며, 석가가 도(道)를 깨달은 날 밤에 태어났다고 함. 15세 때에 출가하여 석존(釋尊) 십대 제자(十大弟子) 가운데 한 사람으로, 밀행제일(密行第一)이라 존경받음.
주011)
김돌이(金돌히):원문에서는 ‘김돌히’로 표기된 것을 ‘돌ㅎ[石] (ㅎ종성체언)+이(접미사)〉돌이’로 보아 ‘김돌이’로 표기하였다.
주012)
김거매(金거매):‘거매’를 ‘검애(검은 아이), 거미’의 뜻으로 볼 수도 있으나 확실하지 않으므로 원문대로 표기하였다.
주013)
이자근대(李쟈근대):‘쟈근대’를 ‘작은 대’의 뜻으로 볼 수도 있으나 확실치 않으므로 단모음화만 표기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