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사리영응기

  • 역주 사리영응기
  •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
  • [註疏]
메뉴닫기 메뉴열기

[註疏]


南無 주001)
나무(南無):
범어 namas의 음역이니, 의역하면 경례(敬禮), 귀경(歸敬), 귀의(歸依), 귀명(歸命), 신종(信從)의 뜻이다.
十方佛 南無十方法 南無十方僧 南無淸淨法身毗盧遮那佛 주002)
청정법신비노차나불(淸淨法身毗盧遮那佛):
청정법신(淸淨法身)은 선종에서 자성(自性)으로 삼신을 해석하여, 청정법신불, 원만보신불(圓滿報身佛), 자성화신불(自性化身佛)로 나눈다. 비노차나는 범어 Vaiocana의 음역으로 ‘광명이 두루 비치다[光明遍照]’란 의미이다. 선종의 제6조 혜능(慧能)이 자성(自性)으로 삼신불을 해석했으니, ‘(1) 청정법신불은 우리들의 몸이 곧 여래의 법신이기 때문에 우리들의 자성도 본래 청정하여 아울러 일체의 모든 법을 출생시킬 수가 있다. (2) 원만보신불은 자성에서 나는 반야 지혜의 광명이 일체 정감 욕망을 제거할 수 있음이 마치 밝은 해가 만 리 공중에 달려 광채가 일만 길로서 원만하여 결점이 없는 것 같다. (3) 자성화신불은 우리들이 자성의 힘을 굳게 믿어 일체의 화신볼보다 나아지면, 이 마음이 악을 행하여 지옥에 들어 만약 해독의 마음을 일으키면 곧 용과 뱀이 되고, 만약 이 마음이 선을 항하여 지혜를 내어 자비의 마음을 내면 곧 변하여 보살이 된다.’라고 하였다.
南無圓滿報身盧遮那佛 南無千百億化身釋迦牟尼佛 南無十二上願藥師瑠璃光佛 주003)
십이상원약사유리광불(十二上願藥師瑠璃光佛):
약사불이 과거세에 보살행을 수행할 때에 중생을 이롭게 하려고 발원한 12가지의 큰 소원이 약사십이대원(藥師十二大願)이고, 약사불이 유리광조여래(瑠璃光照如來)라는 칭호가 있다.
南無極樂導師阿彌陀佛 주004)
극락도사아미타불(極樂導師阿彌陀佛):
범명 Amita-buddha. 서방 극락세계의 교주. 범어 Amita는 의역하면 무량(無量). 아미타불의 이름의 유래는,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한 아미타경(阿彌陀經)에 의하면, 이 부처는 광명이 무량하고 수명이 무량하기 때문에 아미타불이라 칭했다 한다. 그러나 범본(梵本) 아미타경이나 칭찬정토불섭수경(稱讚淨土佛攝受經)에는, 이 부처가 수명이 무수하고 묘광(妙光)이 무량하기 때문에 무량수불(無量壽佛)이라 한다고 하였다. 아미타불이 성도한 인연에 대하여서는 무량수경에 의하면, 과거 오랜 세상 자재왕불(自在王佛)이 계실 때, 어느 한 국왕이 무상의 도심(道心)을 발하여 왕위를 버리고 출가하여 이름이 법장비구(法藏比丘)로서 자재왕불의 처소에서 수행하여 제불의 정토를 익히 알고 5겁이 지나도록 사색하여 수승(殊勝)한 48원(願)을 발원했다고 한다.
南無文殊師利菩薩摩訶薩 주005)
문수사리보살마하살(文殊師利菩薩摩訶薩):
문수의 범명 Manjusri를 음역하여 문수사리(文殊師利), 또는 만수실리(曼殊室利), 만조실리(滿祖室哩)라 하고, 의역하면 묘덕(妙德), 묘길상(妙吉祥), 묘락(妙樂), 법왕자(法王子)라 한다. 또는 유동문수보살(儒童文殊菩薩), 문수사리동진(文殊師利童眞)이라고도 한다. 불교 4대보살의 하나이고, 반야경전과 깊은 관계가 있다. 〈수능엄삼매경(首楞嚴三昧經)〉에, 과거 구원한 세상에 용종상여래(龍種上如來)가 있어 남방의 평등세계에서 무상정등각을 이루어, 수가 4백 4십만 세로써 열반에 들었는데 저 부처가 지금의 문수사리법왕자라 한다고 하였다. 마하살은 마하살타(摩訶薩埵)로 범어 mahasattva의 음역인데, 보살 또는 대사(大士)의 통칭이고 약칭하여 마하살이라 한다.
南無普賢菩薩 주006)
보현보살(普賢菩薩):
범명 Samantabhadra로 음역하여 삼만다발타라보살(三曼多跋陀羅菩薩), 삼만타태타보살(三曼陀颰陀菩薩), 필수태타보살(邲輸颰陀菩薩)이라 하고, 또 편길보살(遍吉菩薩)이라고도 한다. 4대보살의 한 분으로, 문수보살과 함께 석가여래의 협시(挾侍) 보살이다. 문수보살은 사자를 타고 여래의 좌측에서 모시고, 보현은 코끼리를 타고 여래의 우측에서 모신다. 문수, 보현이 다 일체 보살의 우두머리로서 여래의 교화를 돕는다. 보현보살의 신상(身相)과 공덕이 일체처에 두루 하기[純一妙善] 때문에 보현(普賢; 널리 두루 착하다)이라 한다.
摩訶薩 南無彌勒菩薩 주007)
미륵보살(彌勒菩薩):
범명 Maitreya. 음역 매달려야보살(梅呾麗耶菩薩), 말달리야보살(末怛唎耶菩薩), 미저구보살(迷底屨菩薩), 미제례보살(彌帝禮菩薩)이라 하고, 의역하여 자씨(慈氏)라 한다. 〈미륵상생경(彌勒上生經)〉이나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에 의하면 미륵은 바라문의 가정에서 출생하여 뒤에 불제자가 되었으나 부처님보다 먼저 입멸하여, 보살의 몸으로 하늘 사람에게 설법을 하며 도솔천에 거주한다 함. 전기에 의거하면 이 보살은 모든 중생을 성숙시키기 위하여 초발심 때부터 육식을 하지 않아 이 인연으로 해서 자씨(慈氏)가 되었다 한다.
摩訶薩 南無提花竭羅菩薩 주008)
제화갈라보살(提花竭羅菩薩):
연등불(然燈佛)로 범명 Dipamkara로, 음역 제화갈라(提和竭羅, 본문의 花는 和), 제원갈(提洹竭)이라 한다. 또 연등불, 보광불(普光佛), 정광불(錠光佛)이라 한다. 〈수행본기경(修行本起經)〉에 의거하면, 제화위국(提和衛國)에 성스런 왕이 있는데 이름이 등성(燈盛)이다. 임금이 임종할 때에 태자 정광(錠光)에게 나라를 부탁하니, 태자는 세상이 무상한을 알고, 다시 아우에게 나라를 주고 출가하여 사문이 되었다가 뒤에 불과(佛果)를 얻었다. 그때 바라문인 유동(儒童)이 정광불의 교화에 의하여 꽃을 사서 부처께 공양하니, 부처께서 유동을 위하여 내세 성도(成道)하리라는 수기를 주었는데, 이 유동이 곧 뒷날의 석가모니불이다.
摩訶薩 南無日光遍照菩薩 주009)
일광편조보살(日光遍照菩薩):
일광보살(日光菩薩) 범명 Surya-prabha. 또 일요보살(日曜菩薩)이라고도 한다. 약사여래의 두 협시불 중의 하나인데, 온 몸에 붉은 색을 드러내고 왼 손바닥에 태양을 안치하고 오른손으로 만주적화(蔓朱赤花)를 가졌다.
摩訶薩 南

사리영응기:9ㄱ

月光遍照菩薩 주010)
월광편조보살(月光遍照菩薩):
월광보살(月光菩薩). 범명 Candra-prabha. 월정보살(月淨菩薩)이라고도 함. 일광보살과 함께 약사여래 협시불이다. 〈약사여래본원경(藥師如來本願經)〉에 따르면, 이 보살은 일광보살과 함께 무량하고 무수한 보살들의 우두머리가 되어 차례로 부처 처소를 돕는다고 한다. 월광보살은 몸은 백색으로 들어내고 오리 자리[鵝座]에 앉아 손에는 달을 가지고 있다.
摩訶薩 南無觀世音菩薩 주011)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범명 Avalokitesvara. 음역하여 아박로지저습벌라(阿縛盧枳低濕伐羅). 자비로 중생을 구재하는 것으로 본원을 삼는 보살. 또 관세음보살(光世音菩薩),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관세자재보살(觀世自在菩薩), 관세음자재보살(觀世音自在菩薩), 규음보살(闚音菩薩),이라 하고 약칭하여 관음보살(觀音菩薩)이라 한다. 또다른 칭호로는 구세보살(救世普薩), 연화수보살(蓮華垂菩薩), 원통대사(圓通大士)이라 한다.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과 함께 서방 극락세계 아미타불의 협시보살로 뒤에 서방삼성(西方三聖)이라 한다. 모든 중생들이 어려움을 만나 그 명호를 부르면 보살이 곧 그 음성이 있는 앞으로 가서 구제한다 하여 관세음보살이라 한다. 또 사리(事理)가 막힘이 없는 경지로 달관자재(達觀自在)하여 관자재보살이라고도 한다.
摩訶薩 南無大勢至菩薩 주012)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대세지 범명 Maha-sthama-prapta. 음역하여 마하사태마발라발다(摩訶娑太摩鉢羅鉢跢)이고, 의역하면 득대세(得大勢), 대정진(大精進)이고 약칭하여 세지보살(勢志菩薩) 또는 세지보살(勢至菩薩)이다. 이 보살은 지혜의 광명으로 일체를 두루 비추어 중생이 삼도(三途)에서 벗어나 무상의 힘을 얻는다. 또 다닐 때에는 시방세계 일체의 땅이 진동하기 때문에 대세지(大勢至)라 한다. 관세음보살과 함께 서방 극락세계 아미타불의 협시보살이어서 세칭 서방삼성(西方三聖)이라 한다.
摩訶薩】

【‘나무시방불, 나무시방법, 나무시방승, 나무청정법신비노차나불, 나무원만보신비노차나불, 나무천백억화신석가모니불, 나무십이상원약사유리광불, 나무극락도사아미타불, 나무문수사리보살마하살, 나무보현보살마하살, 나무미륵보살마하살, 나무제화갈라보살마하살, 나무일광편조보살마하살, 나무월광편조보살마하살, 나무관세음보살마하살, 나무대세지보살마하살.’】
Ⓒ 역자 | 이종찬 / 2013년 10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무(南無):범어 namas의 음역이니, 의역하면 경례(敬禮), 귀경(歸敬), 귀의(歸依), 귀명(歸命), 신종(信從)의 뜻이다.
주002)
청정법신비노차나불(淸淨法身毗盧遮那佛):청정법신(淸淨法身)은 선종에서 자성(自性)으로 삼신을 해석하여, 청정법신불, 원만보신불(圓滿報身佛), 자성화신불(自性化身佛)로 나눈다. 비노차나는 범어 Vaiocana의 음역으로 ‘광명이 두루 비치다[光明遍照]’란 의미이다. 선종의 제6조 혜능(慧能)이 자성(自性)으로 삼신불을 해석했으니, ‘(1) 청정법신불은 우리들의 몸이 곧 여래의 법신이기 때문에 우리들의 자성도 본래 청정하여 아울러 일체의 모든 법을 출생시킬 수가 있다. (2) 원만보신불은 자성에서 나는 반야 지혜의 광명이 일체 정감 욕망을 제거할 수 있음이 마치 밝은 해가 만 리 공중에 달려 광채가 일만 길로서 원만하여 결점이 없는 것 같다. (3) 자성화신불은 우리들이 자성의 힘을 굳게 믿어 일체의 화신볼보다 나아지면, 이 마음이 악을 행하여 지옥에 들어 만약 해독의 마음을 일으키면 곧 용과 뱀이 되고, 만약 이 마음이 선을 항하여 지혜를 내어 자비의 마음을 내면 곧 변하여 보살이 된다.’라고 하였다.
주003)
십이상원약사유리광불(十二上願藥師瑠璃光佛):약사불이 과거세에 보살행을 수행할 때에 중생을 이롭게 하려고 발원한 12가지의 큰 소원이 약사십이대원(藥師十二大願)이고, 약사불이 유리광조여래(瑠璃光照如來)라는 칭호가 있다.
주004)
극락도사아미타불(極樂導師阿彌陀佛):범명 Amita-buddha. 서방 극락세계의 교주. 범어 Amita는 의역하면 무량(無量). 아미타불의 이름의 유래는,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한 아미타경(阿彌陀經)에 의하면, 이 부처는 광명이 무량하고 수명이 무량하기 때문에 아미타불이라 칭했다 한다. 그러나 범본(梵本) 아미타경이나 칭찬정토불섭수경(稱讚淨土佛攝受經)에는, 이 부처가 수명이 무수하고 묘광(妙光)이 무량하기 때문에 무량수불(無量壽佛)이라 한다고 하였다. 아미타불이 성도한 인연에 대하여서는 무량수경에 의하면, 과거 오랜 세상 자재왕불(自在王佛)이 계실 때, 어느 한 국왕이 무상의 도심(道心)을 발하여 왕위를 버리고 출가하여 이름이 법장비구(法藏比丘)로서 자재왕불의 처소에서 수행하여 제불의 정토를 익히 알고 5겁이 지나도록 사색하여 수승(殊勝)한 48원(願)을 발원했다고 한다.
주005)
문수사리보살마하살(文殊師利菩薩摩訶薩):문수의 범명 Manjusri를 음역하여 문수사리(文殊師利), 또는 만수실리(曼殊室利), 만조실리(滿祖室哩)라 하고, 의역하면 묘덕(妙德), 묘길상(妙吉祥), 묘락(妙樂), 법왕자(法王子)라 한다. 또는 유동문수보살(儒童文殊菩薩), 문수사리동진(文殊師利童眞)이라고도 한다. 불교 4대보살의 하나이고, 반야경전과 깊은 관계가 있다. 〈수능엄삼매경(首楞嚴三昧經)〉에, 과거 구원한 세상에 용종상여래(龍種上如來)가 있어 남방의 평등세계에서 무상정등각을 이루어, 수가 4백 4십만 세로써 열반에 들었는데 저 부처가 지금의 문수사리법왕자라 한다고 하였다. 마하살은 마하살타(摩訶薩埵)로 범어 mahasattva의 음역인데, 보살 또는 대사(大士)의 통칭이고 약칭하여 마하살이라 한다.
주006)
보현보살(普賢菩薩):범명 Samantabhadra로 음역하여 삼만다발타라보살(三曼多跋陀羅菩薩), 삼만타태타보살(三曼陀颰陀菩薩), 필수태타보살(邲輸颰陀菩薩)이라 하고, 또 편길보살(遍吉菩薩)이라고도 한다. 4대보살의 한 분으로, 문수보살과 함께 석가여래의 협시(挾侍) 보살이다. 문수보살은 사자를 타고 여래의 좌측에서 모시고, 보현은 코끼리를 타고 여래의 우측에서 모신다. 문수, 보현이 다 일체 보살의 우두머리로서 여래의 교화를 돕는다. 보현보살의 신상(身相)과 공덕이 일체처에 두루 하기[純一妙善] 때문에 보현(普賢; 널리 두루 착하다)이라 한다.
주007)
미륵보살(彌勒菩薩):범명 Maitreya. 음역 매달려야보살(梅呾麗耶菩薩), 말달리야보살(末怛唎耶菩薩), 미저구보살(迷底屨菩薩), 미제례보살(彌帝禮菩薩)이라 하고, 의역하여 자씨(慈氏)라 한다. 〈미륵상생경(彌勒上生經)〉이나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에 의하면 미륵은 바라문의 가정에서 출생하여 뒤에 불제자가 되었으나 부처님보다 먼저 입멸하여, 보살의 몸으로 하늘 사람에게 설법을 하며 도솔천에 거주한다 함. 전기에 의거하면 이 보살은 모든 중생을 성숙시키기 위하여 초발심 때부터 육식을 하지 않아 이 인연으로 해서 자씨(慈氏)가 되었다 한다.
주008)
제화갈라보살(提花竭羅菩薩):연등불(然燈佛)로 범명 Dipamkara로, 음역 제화갈라(提和竭羅, 본문의 花는 和), 제원갈(提洹竭)이라 한다. 또 연등불, 보광불(普光佛), 정광불(錠光佛)이라 한다. 〈수행본기경(修行本起經)〉에 의거하면, 제화위국(提和衛國)에 성스런 왕이 있는데 이름이 등성(燈盛)이다. 임금이 임종할 때에 태자 정광(錠光)에게 나라를 부탁하니, 태자는 세상이 무상한을 알고, 다시 아우에게 나라를 주고 출가하여 사문이 되었다가 뒤에 불과(佛果)를 얻었다. 그때 바라문인 유동(儒童)이 정광불의 교화에 의하여 꽃을 사서 부처께 공양하니, 부처께서 유동을 위하여 내세 성도(成道)하리라는 수기를 주었는데, 이 유동이 곧 뒷날의 석가모니불이다.
주009)
일광편조보살(日光遍照菩薩):일광보살(日光菩薩) 범명 Surya-prabha. 또 일요보살(日曜菩薩)이라고도 한다. 약사여래의 두 협시불 중의 하나인데, 온 몸에 붉은 색을 드러내고 왼 손바닥에 태양을 안치하고 오른손으로 만주적화(蔓朱赤花)를 가졌다.
주010)
월광편조보살(月光遍照菩薩):월광보살(月光菩薩). 범명 Candra-prabha. 월정보살(月淨菩薩)이라고도 함. 일광보살과 함께 약사여래 협시불이다. 〈약사여래본원경(藥師如來本願經)〉에 따르면, 이 보살은 일광보살과 함께 무량하고 무수한 보살들의 우두머리가 되어 차례로 부처 처소를 돕는다고 한다. 월광보살은 몸은 백색으로 들어내고 오리 자리[鵝座]에 앉아 손에는 달을 가지고 있다.
주011)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범명 Avalokitesvara. 음역하여 아박로지저습벌라(阿縛盧枳低濕伐羅). 자비로 중생을 구재하는 것으로 본원을 삼는 보살. 또 관세음보살(光世音菩薩),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관세자재보살(觀世自在菩薩), 관세음자재보살(觀世音自在菩薩), 규음보살(闚音菩薩),이라 하고 약칭하여 관음보살(觀音菩薩)이라 한다. 또다른 칭호로는 구세보살(救世普薩), 연화수보살(蓮華垂菩薩), 원통대사(圓通大士)이라 한다.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과 함께 서방 극락세계 아미타불의 협시보살로 뒤에 서방삼성(西方三聖)이라 한다. 모든 중생들이 어려움을 만나 그 명호를 부르면 보살이 곧 그 음성이 있는 앞으로 가서 구제한다 하여 관세음보살이라 한다. 또 사리(事理)가 막힘이 없는 경지로 달관자재(達觀自在)하여 관자재보살이라고도 한다.
주012)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대세지 범명 Maha-sthama-prapta. 음역하여 마하사태마발라발다(摩訶娑太摩鉢羅鉢跢)이고, 의역하면 득대세(得大勢), 대정진(大精進)이고 약칭하여 세지보살(勢志菩薩) 또는 세지보살(勢至菩薩)이다. 이 보살은 지혜의 광명으로 일체를 두루 비추어 중생이 삼도(三途)에서 벗어나 무상의 힘을 얻는다. 또 다닐 때에는 시방세계 일체의 땅이 진동하기 때문에 대세지(大勢至)라 한다. 관세음보살과 함께 서방 극락세계 아미타불의 협시보살이어서 세칭 서방삼성(西方三聖)이라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