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1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1
  • [운허]Ⅱ. 정종분(正宗分)○첫째 사마타를 말하여 진심을 알게 하다 ①
  • 제2절 마음이 지금 어디에 있는가?
  • 2. 마음이 몸 밖에 있는 것 같다 3 (4) 마음이 명암을 분별한다는 집착을 깨뜨리다 3
메뉴닫기 메뉴열기

2. 마음이 몸 밖에 있는 것 같다 3 (4) 마음이 명암을 분별한다는 집착을 깨뜨리다 3


능엄경언해 권1:60ㄴ

二. 約內對
〔경문〕 若離外見고 內對所成이라 合眼見暗로 名爲身中인댄 開眼見明호매 何不見面고 若不見面면 內對ㅣ 不成리라

〔경문〕 다가 주001)
밧:
밖.
보 주002)
보:
보는 것을.
여희오 주003)
여희오:
여의고.
안해 주004)
안해:
안에.
對答호미 이러 주005)
이러:
되어.
눈 마 어드움 보로 일후믈  안히라 뎬 주006)
뎬:
할진대. 「-+오/우ㅭ뎬」 가정·조건의 이음법씨끝.
눈    보매 엇뎨  보디 몯뇨 주007)
뇨:
하느냐?
다가  몯 보면 안햇 對 이디 주008)
이디:
되지. 「일-」.
몯리라

〔경문〕 만일, 바깥 보는 것을 여의고, 안에 상대함이 되어 눈을 감고 어두운 것 보는 것으로 이름을 몸 아니라 한다면, 눈을 떠서 밝은 곳을 봄에는 어찌 낯을 보지 못하느냐? 만일, 낯을 보지 못하면 안의 〈상〉대가 되지 못할 것이다.

〔주해〕 眼前之境이 名外見이오 身內之境이 名內對니 前에 以對眼로 爲外야 不得成內니

능엄경언해 권1:61ㄱ

今에 縱離外見코 而成內對나 卽是 眼이 能反觀이로다 且合애 能反觀身中면 則開예 應反觀已面이니 若不爾者댄 義不成矣리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능엄경언해 권1:61ㄱ

앞 주009)
앞:
앞에 있는. 앞의.
境이 일후미 밧 보미오 주010)
보미오:
보는 것이고.
몸 안햇 境이 일후미  對니 알 누네 對호로 주011)
-호로:
-함으로.
밧기 주012)
밧기:
밖이.
외야 안히 외디 몯니 이제 비록 밧 보 여희오 안 對호미 외나 주013)
외나:
되나.
곧 이 누니 能히 두르 주014)
두르:
돌이켜. 뒤치어. 「두르-」.
보놋다  모매 주015)
모매:
감음에.
能히 몸 안 주016)
안:
안을.
두르 보면 메 주017)
메:
뜸에. 「-+오/우ㅁ+에」.
반기 내  두르 보리니 다가 그러티 몯면 디 이디 몯리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눈 앞에 있는 경계가 이름이 바깥을 보는 것이고, 몸 안에 있는 경계가 이름이 안의 상대니, 앞의 눈에 상대함으로 밖이 되어 안이 되지 못하니, 이제 비록 바깥 보는 것을 여의고 안 상대함이 되나, 곧 이는 눈이 능히 돌이켜 보는도다. 또 〈눈을〉 감음에 능히 몸 안을 돌이켜 보면, 〈눈〉 뜸에 반드시 내 낯을 돌이켜 보리니, 만일 그렇지 못하면 뜻이(=이치가) 되지(=성립하지) 못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6년 9월 22일

주석
주001)
밧:밖.
주002)
보:보는 것을.
주003)
여희오:여의고.
주004)
안해:안에.
주005)
이러:되어.
주006)
뎬:할진대. 「-+오/우ㅭ뎬」 가정·조건의 이음법씨끝.
주007)
뇨:하느냐?
주008)
이디:되지. 「일-」.
주009)
앞:앞에 있는. 앞의.
주010)
보미오:보는 것이고.
주011)
-호로:-함으로.
주012)
밧기:밖이.
주013)
외나:되나.
주014)
두르:돌이켜. 뒤치어. 「두르-」.
주015)
모매:감음에.
주016)
안:안을.
주017)
메:뜸에. 「-+오/우ㅁ+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