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0
  • 난타용왕궁 설법 ①
  • 난타용왕궁 설법 18
메뉴닫기 메뉴열기

난타용왕궁 설법 18


[난타용왕궁 설법 18]
그제 龍王이 부텨  어 어늬 주001)
어늬:
어느 것이. 「어느+ㅣ」 「어느」 여기서는 대이름씨.
施一切樂陀

월인석보 10:72ㄴ

羅尼句
ㅣ고 【句는 말 그츤 주002)
그츤:
그친. 끊어진.
히라 주003)
히라:
곳이다.
世尊즉자히 주004)
즉자히:
즉시.
주005)
주:
다라니.
를 니샤 주006)
※:
이하에 나오는 다라니는 원본에 쓰인 홍무정운역훈의 한자음을 그대로 옮김. ᄼ ㅿ ᄽᅠᅎᅠᅔᅠ은 치두음, ᄾᅠᄿᅠᅐᅠᅕᅠ은 정치음으로 각각 국제음성기호[s·sˀ·ʦ·ʦʰ] [ʂ·ʂˀ·tʂ·tʂʰ]에 해당 되는 것으로 봄.
怛緻咃 타 【其呪字口傍作者 轉舌 주007)
전설:
권설음. 혀말이 소리.
讀之 注引字者 引聲讀之】
陀 떠
[引]
囉尼陀 러니떠
[引]
囉尼 러니
[一]
優多 더
[引]
囉尼 러니
[二引]
三 삼
[引]
波囉帝 붜러디 【諸呪帝皆丁利 주008)
반:
반절의 줄임. 한자 두 글자로 한자음을 나타내는 방법이니, 첫자의 초성과 둘째 자의 중성·종성을 합친 것. 즉 東 德紅 切/덕의 ㄷ과 홍의 옹을 합하면 동이다.
師郗  【攄利反三】 毗闍耶跋囒那 삐여류나
[引]
薩底

월인석보 10:73ㄱ

夜波羅帝若 ᄼᅡᇹ디여붜러디 【女賀反四】 波囉若那跋帝 붜러허나디
[五]
優多波 더붜
[引]
達尼 ᄄᆣᆼ니
[六]
毗那 삐나
[引]
喝膩 니
[七]
阿 
[引]
毗屣 삐
[引]
遮膩 니
[八]
阿陛毗 삐삐
[引]
耶 여
[引]
呵邏 허러
[九]
輸婆 뿨
[引]
跋帝 디
[十]
頞耆 ᅙᅥᇹ 【市尸反】 摩哆 뭐더
[十一]
𪐭咥 히 【顯利

월인석보 10:73ㄴ

反十二】
宮婆羅 뿨러
[引十三]
鞞咥 삐히 【香利反】
婆呵 뿨허
[十四]
摩羅吉梨舍 뭐러리
[引]
達那 ᆼ나
[引]
波唅 붜
[十五]
輸 ᄾᅲᇹ 【輸律反】 陀 떠
[引]
耶摩 여뭐
[引]
伽尼梨呵迦達摩多 꺄니리허갸뭐더
[十六]
輸 ᄾᅲᇹ 【輸律反】 陀 떠
[引]
盧迦 루갸
[十七]
毗帝寐囉何囉闍婆獨佉賖摩那 삐디믜러러뿨

월인석보 10:74ㄱ

큐뭐나 【去聲十八】 薩婆佛陀婆盧歌那 ᄼᅡᇹ뿨떠뿨루거나
[去聲十九]
波羅闍若 붜러
[引]
闍那 나
[引]
鞞醯莎 삐히
[引]
呵 허 大龍王아 이 呪 주009)
ㅣ:
-이/가.
일후미 施一切樂陀羅尼 주010)
다라니:
진언 (眞言). 싼스크리트말을 번역하지 않고 음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것. 흔히 짧은 것을 진언, 긴 것을 다라니라 함.
句ㅣ니 諸佛이 디니시논 주011)
디니시논:
지니시는. 「디니-+시++오/우+ㄴ」.
거시니 너희히 녜 주012)
녜:
늘. 항상.
모로매 주013)
모로매:
모름지기.
受持

월인석보 10:74ㄴ

讀誦라 吉 이리 이러 주014)
이러:
이루어져. 되어.
法門 주015)
법문:
부처님의 교법은 중생으로 하여금 생사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인 열반에 들게 하는 문이라는 뜻.
시러 주016)
시러:
얻어. 능히. 「싣-」.
드러 便安코 즐거믈 주017)
즐거믈:
즐거움을. 「즐거ㅸ-」.
어드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난타용왕궁 설법 18]
그때 용왕이 부처님께 사뢰되, “어느 것이 시일체낙다라니구입니까? 【「구」는 말이 끊어진 곳이다.】
세존이 즉시 를 이르시되,
“타【그 글자 〈왼〉편 입구자를 붙인 것은 전설음으로 읽고 「인」자를 주한 것은 끄는 소리로 읽음】
러니떠
러니
더
러니
인 二
붜러디【여러 주에서 「뎨」자는 모두 「뎡리」의 절 「디」임】 【攄利의 반절】
삐쎠여나
디여붜러디【女賀의 반절】
붜러허나디
더붜
니
삐나
니
삐
져니
삐삐
허러
뿨
디
ᅙᅥᇹ【市尸의 반절】 뭐더
十一
히【顯利의 반절 十二】 뿨러
인 十三
삐히【香利의 반절인】 뿨허
十四
뭐러리
나
붜
十五
ᄾᅲᇹ【輸律의 반절】
여뭐
꺄니리허갸뭐더
十六
ᄾᅲᇹ【輸律의 반절】
루갸
十七
삐디믜러러뿨큐뭐나【《거성》十八】 ᄼᅡᇹ뿨떠뿨루거나【《거성》十九】 붜러
나
삐히서
너 대용왕아, 이 주〈문〉의 이름이 시일체락다라니 구이니, 제불이 지니시는 것이니, 너희들이 항상 모름지기 수지 독송하여라. 길한 일이 이루어져 법문에 능히 들어 편안하고 즐거움을 얻을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4년 8월 27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어늬:어느 것이. 「어느+ㅣ」 「어느」 여기서는 대이름씨.
주002)
그츤:그친. 끊어진.
주003)
히라:곳이다.
주004)
즉자히:즉시.
주005)
주:다라니.
주006)
※:이하에 나오는 다라니는 원본에 쓰인 홍무정운역훈의 한자음을 그대로 옮김. ᄼ ㅿ ᄽᅠᅎᅠᅔᅠ은 치두음, ᄾᅠᄿᅠᅐᅠᅕᅠ은 정치음으로 각각 국제음성기호[s·sˀ·ʦ·ʦʰ] [ʂ·ʂˀ·tʂ·tʂʰ]에 해당 되는 것으로 봄.
주007)
전설:권설음. 혀말이 소리.
주008)
반:반절의 줄임. 한자 두 글자로 한자음을 나타내는 방법이니, 첫자의 초성과 둘째 자의 중성·종성을 합친 것. 즉 東 德紅 切/덕의 ㄷ과 홍의 옹을 합하면 동이다.
주009)
ㅣ:-이/가.
주010)
다라니:진언 (眞言). 싼스크리트말을 번역하지 않고 음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것. 흔히 짧은 것을 진언, 긴 것을 다라니라 함.
주011)
디니시논:지니시는. 「디니-+시++오/우+ㄴ」.
주012)
녜:늘. 항상.
주013)
모로매:모름지기.
주014)
이러:이루어져. 되어.
주015)
법문:부처님의 교법은 중생으로 하여금 생사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인 열반에 들게 하는 문이라는 뜻.
주016)
시러:얻어. 능히. 「싣-」.
주017)
즐거믈:즐거움을. 「즐거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