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8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8
  • 16관경 설법 ①
  • 16관경 설법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16관경 설법 10


[16관경 설법 10]
부톄 阿難이와 韋提希려 니샤 이 일 보고 버거 주001)
버거:
다음으로.
부텨를 想디니 엇뎨어뇨 란 주002)
엇뎨어뇨 란:
어찌된 것인가 할 것 같으면.
諸佛 如來 이 法界 주003)
법계:
진여(眞如). 우주만유에 보편한 상주(常住) 불변(不變)하는 본체.
옛 모

월인석보 8:21ㄴ

미라 一切 衆生  소배 주004)
 소배:
마음속에.
드니 이럴 너희 매 부텨를 想 쩌긘 주005)
- 쩌긘:
-할, 적에는.
이 미 곧 三十二相 주006)
32상:
부처님 몸에 갖춘 32표상.
八十隨形好 주007)
80수형호:
80종호. 부처님 몸에 갖추어진 미묘한 표지로 32상에 따르는 잘 생긴 모양 80종.
ㅣ라 隨 조씨오 주008)
조씨오:
따르는 것 이고.
形은 니 주009)
니:
모습이니.
八十種好ㅣ 各各  조차 됴실씨라 주010)
됴실씨라:
좋으신 것이다.
이 미 부톄 외며 이 미 주011)
긔:
그것이.
부톄 주012)
부톄라:
부처님이다.
諸佛이 心想으로

월인석보 8:22ㄱ

주013)
-셔:
-에서.
나니 그럴  로 뎌 부텨외 주014)
외:
심히.
보라 주015)
보라:
보라.
부텨 주016)
뎌 부텨:
저 부처.
 주017)
-:
-할.-하는.
사 몬져 주018)
몬져:
먼저.
 想야 누늘 거나 주019)
거나:
감거나.
거나 주020)
거나:
뜨거나.
閻浮檀金色 주021)
-앳/-옛:
-의.
寶像이【寶像 보옛 라 주022)
라:
모습이다.
곳 우희 주023)
곳 우회:
꽃 위에.
안자 겨시거든 보고 주024)
보고:
보고.
과 눈괘 주025)
과 눈괘:
마음과 눈이.
여러 시 주026)
시:
맑게. 환하게.
分明야 極樂

월인석보 8:22ㄴ

國 보 주027)
보:
보되.
七寶로 莊嚴 주028)
장엄:
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고, 훌륭한 공덕을 쌓아 몸을 장식하고, 향·꽃들을 부처님께 올려 장식하는 것.
욘 주029)
-욘:
-한.
보옛 콰 주030)
콰:
땅과.
보옛 못과 보옛 즘게남기 주031)
즘게남기:
큰 나무가.
行列 잇게 셔며 諸天 寶幔이 그 우희 주032)
차:
가득 차. 「+아」.
두펴 주033)
두펴:
덮이어.
이시며 여러 보옛 그므리 虛空애 리니 주034)
리니:
가득할 것이니.
이 일 보  게 주035)
게:
밝게.
고 지 주036)
지:
짓되.
【想을 지씨라 주037)
지씨라:
짓는 것이다.
큰 蓮花 나히 주038)
나히:
하나가.

월인석보 8:23ㄱ

주039)
부텻:
부처님의.
겨틔 주040)
겨틔:
곁에.
이셔 알 蓮花와 다디 주041)
다디:
다르지.
아니며 주042)
:
또.
지 큰 蓮花 나히 부텻 올 주043)
올:
오른.
겨틔 잇거든 호 주044)
-호:
-하되.
觀世音菩薩像 왼녁 華座 주045)
화좌:
부처님·보살이 앉는 연꽃 좌대.
안자 주046)
안자:
앉아.
金色이 다디 아니코 주047)
아니코:
아니하고.
大勢至菩薩像 올녁 華座애 안자 이 想 주048)
:
이룰. 될.

월인석보 8:23ㄴ

부텨와 菩薩왓 像이 다 金色光 펴샤 주049)
펴샤:
펴시고.
寶樹를 비취시니 주050)
비취시니:
비추시니.
즘게 믿마다 주051)
믿마다:
밑마다.
 세 蓮華ㅣ 잇고 蓮華 우희 各各  부텨 두 菩薩像이 겨샤 주052)
겨샤:
계시고.
나라해 주053)
나라해:
나라에.
니 이 想 저긔 흐르는 믈와 주054)
믈와:
물과.
光明과 寶樹와 鳧鴈 주055)
부안:
오리와 기리기.
鴛鴦

월인석보 8:24ㄱ

【鳧는 올히라 주056)
올히라:
오리다.
妙法 주057)
묘법:
부처님 일대의 설교 전체를 가리킴.
니를 주058)
니를:
이를. 이르는.
쏘리 주059)
쏘리:
소리를.
行者 주060)
행자:
불도를 닦는 이.
다 주061)
다:
당당이. 마땅히.
드르리니 行者 녀아 주062)
녀아:
가서.
뎌 나라해 갈 싸미라 주063)
갈 싸미라:
갈(가는) 사람이다.
出定 入定 주064)
입정:
마음을 한 경계에 정하고, 고요히 생각함.
녜 주065)
녜:
늘.
妙法을 드러 出定은 入定얫다가 주066)
얫다가:
하였다가.
도로 날씨라 주067)
날씨라:
나는 것다.
出定 저긔 디녀 주068)
디녀:
지녀. 「디니-」.
리디 주069)
리디:
버리지.
아니야 脩多羅마면 주070)
마면:
맞으면.
脩多羅契經 주071)
계경:
불교의 경전.
이라 주072)
-혼:
-한.
마리니 契 마씨니 주073)
마씨니:
맞는 것이니.
주074)
-예:
-에.
맛고 주075)
기:
종교의 대상인 교법에 대한 중생을 통틀어 이름.
예 마

월인석보 8:24ㄴ

씨라 주076)
이(理):
경험적 인식을 초월한 상항불역(常恒不易)·보편평등(普遍平等)의 진여를 말함.
예 마조 眞諦 주077)
진체:
진지(眞智)에 의하여 처음으로 알게 되는 진리의 멸(減)을 가리킴.
俗諦 주078)
속체:
세간 일반에서 인정하는 도리.
예 맛고 機예 마조 주079)
마조:
맞음은.
上中下 三根에 마씨라  常이라 며 法이라 니 天魔 주080)
천마:
천자마. 마왕. 욕계의 꼭대기에 있는 제6천의 주인.
外道ㅣ 고티디 주081)
고티디:
고치지.
몯호미 주082)
몯호미:
못함이.
쵸 주083)
쵸:
가르침의.
이오 주084)
-이오:
-이고.
眞實며 正야 섯근 주085)
섯근:
섞은.
것 업서 예서 주086)
예서:
여기서.
너믄 것 업소미 주087)
업소미:
없음이.
뎌긔 常이오 가 뮈디 주088)
뮈디:
움직이지.
아니야 一定히 다  주089)
다 :
다른 뜻.
업소미 理의 常이라 法은 法이 본바담 주090)
본바담:
본받음.
직며 行이 본바담직며 理 본바담직씨라 주091)
직씨라:
-(ㅁ)직하는 것이다.
 經은 며 주092)
며:
꿰며.
잡논 주093)
잡논:
잡는.
디니 주094)
디니:
뜻이니.
아람직 들 며 敎化논 주095)
-논:
-하는.
衆生을 자바 디닐씨라 주096)
디닐씨라:
지니는 것이다.
 常이며 法이며 攝

월인석보 8:25ㄱ

이며 貫이니 攝은 자씨오 주097)
자씨오:
잡는 것이고.
貫은 씨라 주098)
씨라:
꿰는 것이다.
道理 百王의 본바도미 주099)
본바도미:
본받음이.
常이오 德이 萬乘 주100)
만승:
만승지국.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의 法 외요미 주101)
외요미:
됨이.
法이오 微妙  모도미 주102)
모도미:
모음이.
攝이오 사오나 주103)
사오나:
사나운.
衆生을 다료미 주104)
다료미:
다스림이.
貫이니 受苦ㅅ  주105)
:
?날[日]에.
가지로 주106)
가지로:
함께.
매 주107)
매:
마침에. 결국에는.
 주108)
:
가에[際].
가긔 주109)
가긔:
가게.
니라 萬乘은 皇帝 니르니라 주110)
니르니라:
이르는 것이다.
 다 가짓 디 이실 주111)
이실:
있으므로.
飜譯이 업다 니르니  마시 다오미 주112)
다오미:
다함이.
업슬 주113)
업슬:
없으므로.
솟 매 주114)
매:
샘[泉]에.
가비며 주115)
가비며:
비유하며.
微妙 善을 잘 낼 주116)
낼:
내므로.
出生이라 며 邪와 正과 주117)
-와~-과:
-와~-를.
一定 주118)
:
하므로.
노머글 주119)
노머글:
먹줄을.
가비며 正 理 잘

월인석보 8:25ㄴ

주120)
뵐:
보이므로.
顯示라 며 ≪顯示 나토와 주121)
나토와:
나타내어.
뵐씨라 주122)
뵐씨라:
보이는 것이다.
諸法을 여 주123)
여:
꿰어.
이실 주124)
이실:
있으므로.
結鬘이라 니 ≪結鬘 花鬘 주125)
화만:
실로 많은 꽃을 꿰거나, 묶어서 목이나 몸에 장식하는 꽃다발의 한가지.
씨라 주126)
씨라:
매는 것이다.
다 디 주127)
다 디:
다섯 뜻이.
이실 飜譯 몯니라 주128)
몯니라:
못하는 것이다.
極樂世界 어둘 주129)
어둘:
대체.
보논디니 주130)
보논디니:
보는 것이니.
이 像想이니 일후미 第八觀이라 이 觀을 지면 주131)
지면:
지으면.
無量億劫 生死ㅅ 罪 더러 現 모매 念佛三昧

월인석보 8:26ㄱ

 得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16관경 설법 10]
부처님아난이와 위제희더러 이르시되, “이런 일을 보고 다음으로 부처를 상할 것이니, 어찌된 것인가 하면, 제불 여래는 이 법계의 몸이라서 일체 중생의 마음 속에 들어 있으니, 이러므로 너희 마음에 부처를 상할 적엔 마음이 곧, 32상 80수형호이다. 수는 따르는 것이고, 형은 모습이니, 80종호는 각각 모습을 따라 좋은 것이다.】 이런 마음이 부처가 되며, 이런 마음이 〈바로〉 그것이 부처이다. 제불이 심상에서 나니, 그러므로 한 마음으로 저 부처를 심히 보아라. 부처를 상하는 사람은 먼저 모습을 상해서 눈을 감거나, 뜨거나 염부단금빛의 보상이【보상은 보배로운 모습이다.】 꽃 위에 앉아 계시거든 보고서 마음과 눈이 열려 맑게 분명히 극락국을 보되, 7보로 장엄한 보배로운 땅과 보배로운 못과 보배로운 큰나무의 행렬이 늘어서 있으며, 제천의 보만이 그 위에 가득차게 덮여 있고, 여러 보배로운 그물이 허공에 가득하리니, 이런 일을 보되, 매우 밝게 하고, 또 짓되 【상을 짓는 것이다.】, 큰 연꽃 하나가 부처님의 왼편에 있어 앞의 연꽃과 다르지 아니하며, 또 짓기를 큰 연꽃 하나가 부처님의 오른편에 있거든 상상하되, 관세음보살상은 왼편 화좌에 앉아 금빛이 다르지 아니하고, 대세지보살상은 오른편 화좌에 앉아 이 상을 이룰 적에 부처와 보살의 상이 다 금빛을 펴시어 보수를 비추시니, 큰나무 밑마다 또 세 줄기 연꽃이 있고, 〈그〉 연꽃 위에 각각 한 부처님과 두 보살 상이 계셔 저 나라에 가득하니, 이 상을 이룰 적에 흐르는 물과 광명과 보수와 오리·기러기·원앙새【부는 오리다.】 다 묘법 이르는 소리를 행자가 마땅히 들으리니 행자는 〈길을〉 가서 〈도를 닦아〉 저 나라(극락세계)에 가는 사람이다.】 출정과 입정에 늘 묘법이 들어서 출정은 입정했다가 도로 〈평상 상태로〉 나오는 것이다.】 출정한 뒤에도 〈입정시의 경지를〉 지녀 버리지 아니하여 수다라와 맞으면 수다라는 계경이라는 말이니, 계는 맞는 것이니, 이에 맞고 기에 맞는 것이다. 이(理)에 맞음은 진체 속체에 맞고, 기에 맞음은 상중하 3근에 맞는 것이다. 또 상이라〈고도〉 하며 법이라〈고도〉 하니, 천마 외도가 고치지 못함이 가르침의 상이고, 진실하며 발라서 섞은 것이 없어 여기서 지나친 것 없음이 행적의 상이고, 맑아서 움직이지 아니하여 일정히 다른 뜻 없음이 이(理)의 상(常)이다. 법은 법이 본받음직하며 행이 본받음직하며 이가 본받음직한 것이다. 또 경은 꿰며 잡는다는 뜻이니, 앎직한 뜻을 꿰며 교화하는 중생을 잡아 지니는 것이다. 또 상과 법과 섭과 관이니, 섭은 잡는 것이고, 관은 꿰는 것이다. 도리를 백왕이 본받는 것이 상이고, 덕이 만승의 법이 되는 것이 법이고, 미묘한 뜻 모으는 것이 섭이고, 사나운 중생을 다스리는 것이 관이니, 수고의 날에 〈사바세계에〉 함께 나서 마침에 각의 가에 가게 하는 것이다. 만승은 황제를 이른다. 또 다섯 가지 뜻이 있으므로 번역이 없다고 이르니, 〈이는 곧〉 뜻 맛이 다함이 없으므로 솟는 샘에 비유하며, 미묘한 선을 잘 내므로 출생이라고 하며, 사와 정이 일정하므로 먹줄을 비유하며, 바른 이(理)를 잘 보이므로 현시라 하며, 현시는 나타내어 보이는 것이다. 제법을 꿰어 있으므로 결만이라 하니, 결만은 화만을 매는 것이다. 이렇게 다섯 〈가지〉 뜻이 있으므로 번역하지 못하는 것이다.】 극락세계를 대체로 보는 것이니, 이것이 상상이고, 〈그〉 이름이 제8관이다. 이 관을 지으면, 무량 억겁의 생사의 죄를 〈모두〉 덜어 〈버리고〉 나타난 〈지금의〉 몸에 염불삼매를 얻으리라.”
Ⓒ 역자 | 김영배 / 1993년 10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버거:다음으로.
주002)
엇뎨어뇨 란:어찌된 것인가 할 것 같으면.
주003)
법계:진여(眞如). 우주만유에 보편한 상주(常住) 불변(不變)하는 본체.
주004)
 소배:마음속에.
주005)
- 쩌긘:-할, 적에는.
주006)
32상:부처님 몸에 갖춘 32표상.
주007)
80수형호:80종호. 부처님 몸에 갖추어진 미묘한 표지로 32상에 따르는 잘 생긴 모양 80종.
주008)
조씨오:따르는 것 이고.
주009)
니:모습이니.
주010)
됴실씨라:좋으신 것이다.
주011)
긔:그것이.
주012)
부톄라:부처님이다.
주013)
-셔:-에서.
주014)
외:심히.
주015)
보라:보라.
주016)
뎌 부텨:저 부처.
주017)
-:-할.-하는.
주018)
몬져:먼저.
주019)
거나:감거나.
주020)
거나:뜨거나.
주021)
-앳/-옛:-의.
주022)
라:모습이다.
주023)
곳 우회:꽃 위에.
주024)
보고:보고.
주025)
과 눈괘:마음과 눈이.
주026)
시:맑게. 환하게.
주027)
보:보되.
주028)
장엄: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고, 훌륭한 공덕을 쌓아 몸을 장식하고, 향·꽃들을 부처님께 올려 장식하는 것.
주029)
-욘:-한.
주030)
콰:땅과.
주031)
즘게남기:큰 나무가.
주032)
차:가득 차. 「+아」.
주033)
두펴:덮이어.
주034)
리니:가득할 것이니.
주035)
게:밝게.
주036)
지:짓되.
주037)
지씨라:짓는 것이다.
주038)
나히:하나가.
주039)
부텻:부처님의.
주040)
겨틔:곁에.
주041)
다디:다르지.
주042)
:또.
주043)
올:오른.
주044)
-호:-하되.
주045)
화좌:부처님·보살이 앉는 연꽃 좌대.
주046)
안자:앉아.
주047)
아니코:아니하고.
주048)
:이룰. 될.
주049)
펴샤:펴시고.
주050)
비취시니:비추시니.
주051)
믿마다:밑마다.
주052)
겨샤:계시고.
주053)
나라해:나라에.
주054)
믈와:물과.
주055)
부안:오리와 기리기.
주056)
올히라:오리다.
주057)
묘법:부처님 일대의 설교 전체를 가리킴.
주058)
니를:이를. 이르는.
주059)
쏘리:소리를.
주060)
행자:불도를 닦는 이.
주061)
다:당당이. 마땅히.
주062)
녀아:가서.
주063)
갈 싸미라:갈(가는) 사람이다.
주064)
입정:마음을 한 경계에 정하고, 고요히 생각함.
주065)
녜:늘.
주066)
얫다가:하였다가.
주067)
날씨라:나는 것다.
주068)
디녀:지녀. 「디니-」.
주069)
리디:버리지.
주070)
마면:맞으면.
주071)
계경:불교의 경전.
주072)
-혼:-한.
주073)
마씨니:맞는 것이니.
주074)
-예:-에.
주075)
기:종교의 대상인 교법에 대한 중생을 통틀어 이름.
주076)
이(理):경험적 인식을 초월한 상항불역(常恒不易)·보편평등(普遍平等)의 진여를 말함.
주077)
진체:진지(眞智)에 의하여 처음으로 알게 되는 진리의 멸(減)을 가리킴.
주078)
속체:세간 일반에서 인정하는 도리.
주079)
마조:맞음은.
주080)
천마:천자마. 마왕. 욕계의 꼭대기에 있는 제6천의 주인.
주081)
고티디:고치지.
주082)
몯호미:못함이.
주083)
쵸:가르침의.
주084)
-이오:-이고.
주085)
섯근:섞은.
주086)
예서:여기서.
주087)
업소미:없음이.
주088)
뮈디:움직이지.
주089)
다 :다른 뜻.
주090)
본바담:본받음.
주091)
직씨라:-(ㅁ)직하는 것이다.
주092)
며:꿰며.
주093)
잡논:잡는.
주094)
디니:뜻이니.
주095)
-논:-하는.
주096)
디닐씨라:지니는 것이다.
주097)
자씨오:잡는 것이고.
주098)
씨라:꿰는 것이다.
주099)
본바도미:본받음이.
주100)
만승:만승지국.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주101)
외요미:됨이.
주102)
모도미:모음이.
주103)
사오나:사나운.
주104)
다료미:다스림이.
주105)
:?날[日]에.
주106)
가지로:함께.
주107)
매:마침에. 결국에는.
주108)
:가에[際].
주109)
가긔:가게.
주110)
니르니라:이르는 것이다.
주111)
이실:있으므로.
주112)
다오미:다함이.
주113)
업슬:없으므로.
주114)
매:샘[泉]에.
주115)
가비며:비유하며.
주116)
낼:내므로.
주117)
-와~-과:-와~-를.
주118)
:하므로.
주119)
노머글:먹줄을.
주120)
뵐:보이므로.
주121)
나토와:나타내어.
주122)
뵐씨라:보이는 것이다.
주123)
여:꿰어.
주124)
이실:있으므로.
주125)
화만:실로 많은 꽃을 꿰거나, 묶어서 목이나 몸에 장식하는 꽃다발의 한가지.
주126)
씨라:매는 것이다.
주127)
다 디:다섯 뜻이.
주128)
몯니라:못하는 것이다.
주129)
어둘:대체.
주130)
보논디니:보는 것이니.
주131)
지면:지으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