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역주 분문온역이해방
  • 분문온역이해방
  • 진양문(鎭禳門)
  • 진양문 014
메뉴닫기 메뉴열기

진양문 014


簡易辟溫方正月初上寅日取厠前草燒中庭辟溫氣

簡易辟溫方 주001)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조선조 중종 때 의관 김순몽, 유영정, 박세거 등이 왕명에 의해 온역(瘟疫)의 치료에 필요한 처방문(處方文)을 모아 1권 1책으로 엮은 의서. 1524년(중종 19)에 평안도 전역에 전염병이 크게 번져 많은 백성들이 죽자 김순몽 등에게 명하여 온역(瘟疫)에 필요한 모든 방문(方文)들을 뽑아 한글로 번역하여, 이를 1525년(중종 20) 5월에 널리 보급하도록 한 것이다. 현재 원간본(原刊本)은 전하지 않고 1578년(선조 11)의 을해자(乙亥字), 1631년(광해군 5)의 훈련도감자로 된 중간본이 전한다. 1578년의 내사본(內賜本)은 고려대학교 도서관 마송문고에 소장되어 있다. 앞의 것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만든 영인본(影印本)이 ≪민족문화(民族文化)≫ 7호(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73)에 수록되어 발간되었다. 일본의 궁내청(宮內廳)에 있는 ≪간이벽온방≫은 내사본(內賜本)이 아니고, ≪우마양저염역치료방≫과 합철(合綴)되어 있다.
주002)
간이벽온방(簡易辟溫方)의:
≪간이벽온방(簡易辟溫方)≫+의(처격 조사). ≪간이벽온방≫이란 책에.
월 주003)
월:
정월(正月). 음력 1월.
저우름

분문온역이해방:6ㄱ

주004)
저우롬날:
‘저우롬날’은 원문의 ‘인일(寅日)’에 해당한다. ‘인(寅)’은 ‘호랑이’를 뜻하므로, ‘저우롬’은 ‘범’을 뜻하는 고대어였을 것이라는 추측을 해 볼 수 있다. ≪십구사략언해(十九史略諺解)≫에는 ‘인월(寅月)’을 ‘저우롬’로,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에서는 여기서와 같이 ‘인일(寅日)’을 ‘저우룸날’로 적고 있다. 이를 기초로 ≪조선관역어≫의 ‘즉복론(則卜論)’을 ‘*저룸’과 같이 읽기도 한다.
뒷간 주005)
뒷간:
뒷간. 대변 보는 곳. 뒤에 있는 구조물이라는 의미가 작용한다.
앏 주006)
앏:
앒[前]+(처격 조사)+ㅅ(사이시옷). 앞의. 앞에 있는. ‘ㅅ’을 속격 조사로 보기로 한다.
검주를 주007)
검주를:
검줄+을(대격 조사). 검불을.
주008)
:
+ㅅ(사이시옷). 뜰의. ‘ㅅ’을 속격 조사로 보기로 한다.
가온 주009)
가온:
가운데.
면 주010)
면:
[燒]-+-면(연결 어미). 사르면. 태우면.
덥단 긔를 주011)
덥단 긔를:
덥[溫]-+달[熱]-+-ㄴ(관형사형 어미)#병긔(病氣)+를(대격 조사). 더운 열병 기운을. 염병 기운을.
업게 주012)
업게:
없-+-게(연결 어미). 없게.
니라 주013)
니라:
[爲]-+-(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 하느니라. 하는 것이다. ‘-니라’를 평서 종결 어미로 분석하기도 한다.
Ⓒ 언해 | 간경도감 / 1541년(중종 36) 월 일

≪간이벽온방(簡易辟溫方)≫에 정월 첫 범날에 뒷간 앞에 있는 검불을 뜰 가운데에서 불사르면 전염성 열병을 없게 할 것이라고 하였다.
Ⓒ 역자 | 임홍빈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조선조 중종 때 의관 김순몽, 유영정, 박세거 등이 왕명에 의해 온역(瘟疫)의 치료에 필요한 처방문(處方文)을 모아 1권 1책으로 엮은 의서. 1524년(중종 19)에 평안도 전역에 전염병이 크게 번져 많은 백성들이 죽자 김순몽 등에게 명하여 온역(瘟疫)에 필요한 모든 방문(方文)들을 뽑아 한글로 번역하여, 이를 1525년(중종 20) 5월에 널리 보급하도록 한 것이다. 현재 원간본(原刊本)은 전하지 않고 1578년(선조 11)의 을해자(乙亥字), 1631년(광해군 5)의 훈련도감자로 된 중간본이 전한다. 1578년의 내사본(內賜本)은 고려대학교 도서관 마송문고에 소장되어 있다. 앞의 것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만든 영인본(影印本)이 ≪민족문화(民族文化)≫ 7호(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73)에 수록되어 발간되었다. 일본의 궁내청(宮內廳)에 있는 ≪간이벽온방≫은 내사본(內賜本)이 아니고, ≪우마양저염역치료방≫과 합철(合綴)되어 있다.
주002)
간이벽온방(簡易辟溫方)의:≪간이벽온방(簡易辟溫方)≫+의(처격 조사). ≪간이벽온방≫이란 책에.
주003)
월:정월(正月). 음력 1월.
주004)
저우롬날:‘저우롬날’은 원문의 ‘인일(寅日)’에 해당한다. ‘인(寅)’은 ‘호랑이’를 뜻하므로, ‘저우롬’은 ‘범’을 뜻하는 고대어였을 것이라는 추측을 해 볼 수 있다. ≪십구사략언해(十九史略諺解)≫에는 ‘인월(寅月)’을 ‘저우롬’로,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에서는 여기서와 같이 ‘인일(寅日)’을 ‘저우룸날’로 적고 있다. 이를 기초로 ≪조선관역어≫의 ‘즉복론(則卜論)’을 ‘*저룸’과 같이 읽기도 한다.
주005)
뒷간:뒷간. 대변 보는 곳. 뒤에 있는 구조물이라는 의미가 작용한다.
주006)
앏:앒[前]+(처격 조사)+ㅅ(사이시옷). 앞의. 앞에 있는. ‘ㅅ’을 속격 조사로 보기로 한다.
주007)
검주를:검줄+을(대격 조사). 검불을.
주008)
:+ㅅ(사이시옷). 뜰의. ‘ㅅ’을 속격 조사로 보기로 한다.
주009)
가온:가운데.
주010)
면:[燒]-+-면(연결 어미). 사르면. 태우면.
주011)
덥단 긔를:덥[溫]-+달[熱]-+-ㄴ(관형사형 어미)#병긔(病氣)+를(대격 조사). 더운 열병 기운을. 염병 기운을.
주012)
업게:없-+-게(연결 어미). 없게.
주013)
니라:[爲]-+-(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 하느니라. 하는 것이다. ‘-니라’를 평서 종결 어미로 분석하기도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