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70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70


【경】 爲證悟ㅣ오 脩

證悟ㅣ오 【아로미 後에 이실 證에 當니 그러나 證과 解왜  두 相 업스니라】 脩와

증오(證悟)이고 【아는 것이 후에 있으므로 증에 해당하니 그러나 증과 해가 또 두 상이 없으니라.】 닦음과

【종밀주석】 〈無心忘照ㅣ라〉

〈無心야 照 니주미라 주001)
니주미라:
닞-(잊다) + -움 + 이라.

〈무심하여 조를 잊음이라.〉

【경】 悟

悟와

오를

【종밀주석】 〈任運寂知라〉

〈運을 맛뎌 주002)
맛뎌:
맛디-(맡기다) + -어.
괴외히 주003)
괴외히:
괴외(고요) + -히[부사 형성 접미사].
아로미라〉

〈운에 맡겨 고요히 아는 것이라.〉

【경】 一時

 호
【相 업수로 修 삼고 分明호로 悟 사니 悟 곧 慧니 用이오 修는 곧 定이니 體라】

함께 함은
【상 없음으로 수를 삼고 분명함으로 오를 삼으니 오는 곧 혜이니 용이고, 수는 곧 정이니 체라.】

원각경언해 상1의1:115ㄴ

卽通解證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곧 解와 證과애 通니라
〈이 두 디 잇니 나 證과 解왜  두 相 업슨 젼로 둘히 다

원각경언해 상1의1:116ㄱ

通니 닐오 곧 證이며 곧 解며 곧 解며 곧 證이라 둘흔 시혹 이 證이며 시혹 이 解니 닐오 다 아라 다 그츄미 곧 解悟ㅣ오 다 업서 다 아로미 곧 證悟ㅣ니 큰  욤 주004)
욤:
-(깨다) + -옴.
야 면 일후미 다 요미라 주005)
요미라:
-(깨다) + -옴 + -이라.
미 반기 다 업슨 젼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곧 혜와 증에 통하니라.
〈이 두 뜻이 있으니 하나는 증과 해가 또 두 상이 없는 까닭으로 둘 다 통하니 이르되 곧 증이며 곧 해며, 곧 해며 곧 증이라. 둘은 혹 이 증이며 혹 이 해니 이르되 다 알아 다 그침이 곧 해오이고 다 없어 다 앎이 곧 증오이니 큰 꿈 깨우는 것 같아 깨면 이름이 다 깨움이라. 꿈이 반드시 다 없는 까닭이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니주미라:닞-(잊다) + -움 + 이라.
주002)
맛뎌:맛디-(맡기다) + -어.
주003)
괴외히:괴외(고요) + -히[부사 형성 접미사].
주004)
욤:-(깨다) + -옴.
주005)
요미라:-(깨다) + -옴 + -이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