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30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30


【경】 五 三性의 空과 有ㅣ 離와

다 三性의 空과 有왜 離와

다섯은 삼성의 공과 유가 이와

【종밀주석】 〈徧計 空이오 依와 圓과 有ㅣ라〉

〈徧計 空이오 依他와 圓成과 有ㅣ라 【空니 제 空야 有ㅣ라 니디 몯며 有니 제 有야 空이라 니디 몯 닐오 離라】

〈편계는 공이요, 의타와 원성과는 유이라. 【공하니 제가 공하여 유라 이르지 못하며, 유하니 제가 유하여 공이라 이르지 못하므로, 이르되 이라.】

【경】 卽괘오

卽괘오

즉이요,

【종밀주석】 〈無性이 卽圓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1의1:47ㄴ

〈性 업수미 주001)
업수미:
없- + -움 + -이.
곧 圓이라 【卽은 徧計는 거우루엣 骨肉ㅅ  고 依他 거우루엣 그리멧 像 고 圓成은 거우룻 두려이 곰 주002)
곰:
-(밝다) + -옴.
니 骨肉ㅅ  오직 이 아 어린 데 자보미오 주003)
자보미오:
잡-(잡다, 잡히다) + -옴 + -이오.
다  터럭마도 제 實 體性 업스니 智者ㅣ 알면 오직 이 그리멧 像이니 徧計의 性 업숨 니 곧 依他ㅣ라  기픈 智者ㅣ 그리멧 像

원각경언해 상1의1:48ㄱ

 자 窮究면 밧브터 주004)
밧브터:
 + -브터[으로부터]. * ‘브터’는 기원적으로 ‘븥-다(붙다, 의지하다, 속하다)’에서 왔지만 여기서는 이미 문법화하여 보조사로 쓰임.
드디 주005)
드디:
들-[‘ㄹ’ 불규칙 동사] + -디[보조적 연결 어미].
아니며 안 브터 나디 아니야 다  터럭마도 제 性 업고 온 體 오직 이 두려이 주006)
두려이:
두렵-(둥글다, 두렷하다, 원만하다)[‘ㅂ’ 불규칙 형용사] + -이[부사 형성 접미사].
 거우뤼니 주007)
거우뤼니:
거우루(거울) + -이니.
依他 性 업숨 니 곧 이 圓成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성 없음이 곧 원이라. 【즉은, 편계는 거울의 골육의 얼굴 같고, 의타는 거울의 영상 같고, 원성은 거울의 두렷이 밝음 같으니, 골육의 얼굴은 오직 이 아이의 어리석은 뜻에 잡힘이요, 모두 하나의 털만큼도 저의 실한 체성이 없으니 지혜로운 자가 알면 오직 이 영상이니, 편계의 성 없음과 같으니, 곧 의타라. 또 깊은 지혜 있는 자가 영상을 찾아 궁구하면 밖으로부터 들지 아니하며 안으로부터 나지 아니하여 다 한 털만큼도 제 성이 없고 온전한 체가 오직 두렷이 밝은 거울이니 의타의 성 없음과 같으니 곧 이 원성이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업수미:없- + -움 + -이.
주002)
곰:-(밝다) + -옴.
주003)
자보미오:잡-(잡다, 잡히다) + -옴 + -이오.
주004)
밧브터: + -브터[으로부터]. * ‘브터’는 기원적으로 ‘븥-다(붙다, 의지하다, 속하다)’에서 왔지만 여기서는 이미 문법화하여 보조사로 쓰임.
주005)
드디:들-[‘ㄹ’ 불규칙 동사] + -디[보조적 연결 어미].
주006)
두려이:두렵-(둥글다, 두렷하다, 원만하다)[‘ㅂ’ 불규칙 형용사] + -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007)
거우뤼니:거우루(거울) + -이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