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65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65


【경】 其頓漸悟脩者 頓悟

그 頓과 漸괏 悟와

원각경언해 상1의1:111ㄱ

脩와 頓悟야

그 돈과 점의 오와 수는 돈오하여

【종밀주석】 〈日出와 孩生괘라〉

〈 도돔과 아 남괘라〉

〈해 돋음과 아이 태어남이라.〉

【경】 漸脩

漸漸 닷고

점점 닦음은

【종밀주석】 〈霜消와 孩長괘라〉

〈서리 노곰과 주001)
노곰과:
녹-(녹다) + -옴 + -과.
아 람괘라 주002)
람괘라:
라-(자라다, 생장하다) + -ㅁ + -과 + -라.

〈서리 녹음과 아이 자람이라.〉

【경】 爲解悟ㅣ오

解悟ㅣ오
〈慧日이 다 도면 주003)
도면:
돋-(돋다) + -면.
서리와 이슬왓 惑이 漸漸 노곰 며  아 처 나 六根과 四肢와 百節왜 다 자 【性上앳 恒沙 功德을 가비니라】 졋 머기며 飮食 머겨 길어 漸漸 라 出身며 그우실홈 주004)
그우실홈:
그우실-(벼슬하다, 관리되다) + -옴.
니 【萬行이 莊

원각경언해 상1의1:111ㄴ

嚴야 報와 化왜 圓滿호 가비니 이 두 가뵴 드로 惑 그춤과 理ㅣ 證홈괏 두 相이 다라 後도  이 例니라】
이 아로미 처 이실 解悟애 屬니 안 後에 닷고 곧 相 조촘과 주005)
조촘과:
좇-(좇다) + -옴 + -과.
相 여희욤과 理와 事와  닷고미 니 그럴 功行이 圓滿면 반기 證悟ㅣ 잇니 곧 後ㅅ 對예 屬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해오(解悟)이고,
〈혜일이 다 돋으면 서리와 이슬의 미혹이 점점 녹음 같으며, 또 아이 처음 태어나 육근과 사지와 백절이 다 갖추어져 【성상의 항사 공덕을 비유함이라.】 젖 먹이며 음식 먹여 길러 점점 자라 출신하며 관리되는 것 같으니 【만행이 장엄하여 보와 화가 원만함을 비유하니 이 두 비유를 들음은 혹 끊음과 이 증명함의 두 상이 다르기 때문이라. 후도 또 이를 예로 드니라.】 이는 앎이 처음 있으므로 해오에 속하니 안 후에 닦음은 곧 상 따름과 상 여읨과 이와 사를 함께 닦음이 갖추어지니, 그러므로 공행이 원만하면 반드시 증오가 있으니 곧 후의 대에 속하니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노곰과:녹-(녹다) + -옴 + -과.
주002)
람괘라:라-(자라다, 생장하다) + -ㅁ + -과 + -라.
주003)
도면:돋-(돋다) + -면.
주004)
그우실홈:그우실-(벼슬하다, 관리되다) + -옴.
주005)
조촘과:좇-(좇다) + -옴 + -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