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61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61


【경】 覺性이 圓滿야

覺性이 圓滿야 【正히 이 圓成 眞實ㅅ 性이라】

각성이 원만하여 【정히 이 원성한 진실의 성이라.】

【종밀주석】 〈由空寂故로 圓滿成實니라〉

〈空寂 젼로 圓滿히 이러 眞實니라 【心과 境괘 마 다 空寂야 들에여 주001)
들에여:
들에-(떠들다) + -어.
變홈 업슬 온 體 곧 이 圓成 覺性이라】

〈공적한 까닭으로 원만히 일어나 진실하니라. 【마음과 경이 이미 다 공적하여 떠들어 변함 없으므로 온 체가 곧 이 원성한 각성이라.】

【경】 凡聖平等으로 爲宗고

凡과 聖괘 平等호로 宗

원각경언해 상1의1:101ㄱ

삼고 【이 心과 境괘 空 젼로 寂고 寂 覺이 두렵고 주002)
두렵고:
두렵-(둥글다, 온전하다) + -고.
두려울 平等니라】

범과 성이 평등함으로 종을 삼고 【이는 마음과 경이 공한 까닭으로 적하고, 적하므로 각이 온전하고, 온전하므로 평등하니라.】

【종밀주석】 〈下云圓覺明故로 乃至根塵이 徧法界等이라〉

〈아래 니샨 覺이 두려이 주003)
두려이:
두렵-(둥글다, 온전하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두려이’는 초기 훈민 정음 문헌에서는 ‘두려’로 표기하였음.
 젼로 根과 塵괘 法界예 호매 주004)
호매:
-(가득하다) + -옴 + -애.
니르롬 주005)
니르롬:
니를-(이르다 至) + -옴.
히라〉

〈아래 이르신 각이 두렵게 밝은 까닭으로 근과 진이 법계에 가득함에 이르른 것 들이라.〉

【경】 令修 行者로 忘情

修行리로 들 니저

수행할 이로 뜻을 잊어

【종밀주석】 〈由悟宗故ㅣ니 卽下縳脫八不이라〉

원각경언해 상1의1:101ㄴ

〈宗 안 젼니 곧 아랫 욤 주006)
욤:
-(매다, 맺다) + -옴.
버숨괏 주007)
버숨괏:
벗-(벗다) + -움 + -과[접속 조사] + -ㅅ.
여듧 아니라 【여듧 아니 초 니샤 菩薩이 法에 요 주008)
요:
-(매다, 맺다) + -옴 + -.
許티 아니며 法에 버수믈 求티 아니며 生死 아쳗디 주009)
아쳗디:
아쳗-(싫어하다) + -디.
아니며 涅槃 디 아니며 持戒를 恭敬 아니 며 禁 허닐 주010)
허닐:
헐-(헐다, 무너뜨리다) + -ㄴ + 이(사람, 것) + -ㄹ.
믜디 아니며 오래 호닐 주011)
호닐:
호-(배우다) + -ㄴ + 이(사람, 것) + -ㄹ.
重히 너기디 아니며 처 호릴 주012)
호릴:
호-(배우다) + -ㄹ + 이(사람, 것) + -ㄹ.
가야이 주013)
가야이:
가얍-(가볍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너기디 아닌니라 시니라】

〈종을 안 까닭이니 곧 이전의 매임과 벗음이 여덟이 아니라. 【여덟이 아님은 갖추어 이르시되 보살이 법에 매임을 허락하지 아니하며 법에 벗음을 구하지 아니하며 생사를 싫어하지 아니하며 열반을 사랑하지 아니하며 지계를 공경하지 아니하며 금함을 허는 것을 미워하지 아니하며 오래 배운 이를 중하게 여기지 아니하며 처음 배우는 이를 가볍게 여기지 아니하는 것이라 하시니라.】

【경】 等佛야

부텨와 와

부처와 같아

【종밀주석】 〈由情忘故ㅣ라〉

〈情을 니즌 젼라〉

〈정을 잊은 까닭이라.〉

【경】 觀行速成

원각경언해 상1의1:102ㄱ

으로 爲趣며

觀行 리 일우게 주014)
일우게:
일우-(이루다) + -게.
호로 趣 사며

관행을 빨리 이루게 함으로 취 삼으며

【경】 又以前趣로 爲宗고 令惑業이 消滅야 永絶輪廻며 起大神用야 安樂自在로 爲趣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 알 趣로 宗

원각경언해 상1의1:102ㄴ

삼고 惑 業이 스러 업서 永히 輪廻 그츠며 큰 神奇 用 니와다 便安며 즐거우며 自在케 호로 趣 사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또 앞의 취로 종 삼고 혹업이 스러 없어 영원히 윤회를 끊으며 큰 신기한 용을 일으켜 편안하며 즐거우며 자재하게 함으로 취 삼으니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들에여:들에-(떠들다) + -어.
주002)
두렵고:두렵-(둥글다, 온전하다) + -고.
주003)
두려이:두렵-(둥글다, 온전하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두려이’는 초기 훈민 정음 문헌에서는 ‘두려’로 표기하였음.
주004)
호매:-(가득하다) + -옴 + -애.
주005)
니르롬:니를-(이르다 至) + -옴.
주006)
욤:-(매다, 맺다) + -옴.
주007)
버숨괏:벗-(벗다) + -움 + -과[접속 조사] + -ㅅ.
주008)
요:-(매다, 맺다) + -옴 + -.
주009)
아쳗디:아쳗-(싫어하다) + -디.
주010)
허닐:헐-(헐다, 무너뜨리다) + -ㄴ + 이(사람, 것) + -ㄹ.
주011)
호닐:호-(배우다) + -ㄴ + 이(사람, 것) + -ㄹ.
주012)
호릴:호-(배우다) + -ㄹ + 이(사람, 것) + -ㄹ.
주013)
가야이:가얍-(가볍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014)
일우게:일우-(이루다) + -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