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37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37


【경】

원각경언해 상1의1:55ㄴ

二對破相者ㅣ 略有五別니 一은 無性과

둘찻 破相 對호미 略히 다 달오미 주001)
달오미:
다-(다르다) + -옴 + -이.
잇니 나 性 업숨과

둘째의 파상 대함이 대략 다섯 다름이 있으니, 하나는 성 없음과

【종밀주석】 〈以諸法無性으로 爲眞如ㅣ라〉

〈諸法의 性 업수로 주002)
업수로:
없- + -움 + -로.
眞如를 사니라 【破相宗 諸法이 空호로 곧 일후미 眞理라 니 幻華ㅣ 體 업수미 곧 이 太虛ㅣ며 第二月性 업수미 곧 이 本來ㅅ  니라】

〈여러 법의 성 없음으로 진여를 삼으니라. 【파상종은 여러 법이 공하므로 곧 이름이 진리라 하니, 환화가 체 없음이 곧 이 태허이며, 제이 월성 없음이 곧 이 본래의 달 같으니라.】

【경】 本性괘오

本性괘오

본성이요,

【종밀주석】 〈以常

원각경언해 상1의1:56ㄱ

住眞心으로 爲眞如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常住 眞實ㅅ 로 眞如를 사니라 【性宗 自性이 淸淨야 常住 眞實ㅅ 로 所證理 사니 眞實ㅅ  色 뫼화 주003)
뫼화:
뫼호-(모으다) + -아.
空애 가 주004)
가:
가- + -옴 + -.
기드리디 아니며 惑 그처 조홈 주005)
조홈:
좋-(깨끗하다) + -옴.
일우믈 因티 아니야 自心이 本來

원각경언해 상1의1:56ㄴ

조 닐오 自性이라 無始時예 오로 未來際 다오매 주006)
다오매:
다-(다하다) + -옴 + -애.
니르리 주007)
니르리:
니를-(이르다, 도달하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부텨 겨샴과 부텨 업스샤매 주008)
업스샤매:
없- + -으시- + -옴 + 애.
녜 滅壞 아니 닐오 常住 미라 그럴 寶性論애 닐오 淸淨이 두 가지 잇니 나 自性淸淨이니 닐오 性이 조 解脫이니 自性이 淸淨 미 煩惱 머리 여흰 젼라 둘흔  여흰 淸淨이니 닐오 障이 다 解脫이라 니라 眞如는 알 주009)
알:
앒(앞) + - + -ㄴ[대조의 보조사].
오직 諸法性 업숨 아로 주010)
아로:
알- + -옴 + -.
곧 일후미 實 理오 이 諸法이 다 空야 性 업서 비르서 自心의 本性을 나토아 내니 비르서 實理니 天上애 구룸 흐터  나 며 鏡中에  다 아 고미 주011)
고미:
밝-(밝다) + -옴 + -이.
現야 갓 구룸 업수믈 곧 일후미 리라 아니 니 그★(뭄ㅅ) 바 구룸 업수믈 

원각경언해 상1의1:57ㄱ

리라 일훔 아닌 주012)
아닌:
아니- + -. * ‘아니’에서 ‘’의 모음 ‘’가 줄어 든 ‘* 아닣’이 뒤의 ‘-’의 ‘ㄴ’ 음의 영향으로 ‘아닌’이 된 것임.
젼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상주한 진실의 마음으로 진여를 삼으니라. 【성종은 자성이 청정하여 상주한 진실의 마음으로 소증리를 삼으니 진실의 마음은 색을 모아 공에 감을 기다리지 아니하며 혹을 끊어 깨끗함 이룸을 말미암지 아니하여 자심이 본래 깨끗하므로, 이르기를 자성이라. 무시시에 옴으로써 미래제 다함에 이르도록 부처 계심과 부처 안 계심에 늘 멸괴 아니하므로 이르기를, 상주한 마음이라. 그러므로 보성론에 이르기를 청정이 두 가지 있으니, 하나는 자성 청정이니 이르되 성이 깨끗한 해탈이니, 자성이 청정한 마음이 번뇌를 멀리 여읜 까닭이라. 둘은 때 없는 청정이니 이르되 장이 다한 해탈이라 하니라. 진여는 앞에는 오직 여러 법성 없음 아는 것이 곧 이름이 실한 이치요, 이는 여러 법이 다 공하여 성이 없어야 비로소 자심의 본성을 나타내니, 비로소 실리니 천상에 구름 흩어져야 달 나오듯 하며 거울 속에 때를 없애 밝음이 나타나듯 하여, 한갓 구름 없음을 곧 이름을 달이라 아니 하니 그믐밤에 구름 없음을 일컫지 않는 까닭이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달오미:다-(다르다) + -옴 + -이.
주002)
업수로:없- + -움 + -로.
주003)
뫼화:뫼호-(모으다) + -아.
주004)
가:가- + -옴 + -.
주005)
조홈:좋-(깨끗하다) + -옴.
주006)
다오매:다-(다하다) + -옴 + -애.
주007)
니르리:니를-(이르다, 도달하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008)
업스샤매:없- + -으시- + -옴 + 애.
주009)
알:앒(앞) + - + -ㄴ[대조의 보조사].
주010)
아로:알- + -옴 + -.
주011)
고미:밝-(밝다) + -옴 + -이.
주012)
아닌:아니- + -. * ‘아니’에서 ‘’의 모음 ‘’가 줄어 든 ‘* 아닣’이 뒤의 ‘-’의 ‘ㄴ’ 음의 영향으로 ‘아닌’이 된 것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