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13


【경】 十二分中엔

十二分中엔

십이분(十二分) 중에는

【종밀주석】 〈一은 契經이오 二 應頌이오 三은 授記오 四 諷頌이오 五 因緣이오 六은 自說이오 七은 本事ㅣ오 八은 本生이오 九 方廣이오 十은 未曾有ㅣ오 十一은 譬喩ㅣ오 十二 論議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1의1:19ㄴ

〈나 契經이오 둘흔 應頌이오 【長行과 마 주001)
마:
-(맞다, 맞추다) + -.
頌이라】
세흔 授記오 【부톄 弟子 生死 因果 記시며 菩薩 부텨 외욜 일 記샤미니 記 일 記錄시라】 네 諷頌이오 오 주002)
오:
홀로, 혼자.
주003)
닌:
닐-(일다, 일어나다)[‘ㄹ’ 불규칙 동사] + -ㄴ[관형사형 어미].
偈니

원각경언해 상1의1:20ㄱ

長行 頌샴 아니라】
다 因緣이오 【시혹 請을 因시며 시혹 이 因야 니르샨 젼라】 여스슨 걔 주004)
걔:
갸(자기, 스스로) + -ㅣ[주격 조사].
니르샤미오 주005)
니르샤미오:
니르- + -시- + -옴 + -이오.
【請을 因티 아니샨 젼라】 닐구븐 本事ㅣ오 【부텨와 弟子 녯 일 니르샨 젼라】 여들븐 本生이오 【부텨와 다 사 녯 몸 受홈 니르샨 젼라】 아호 方廣이오 【方正며 너버 주006)
너버:
넙-(넓다) + -어.
平等히 性에 마자 利樂이 너븐 젼라】
열흔 아 주007)
아:
전에, 이전에, 일찍이.
잇디 아니시오 【德業이 다시며 法體 드므러 奇異신 젼라】 열나 譬喩ㅣ오 【기피 信리 爲샤 닐 주008)
닐:
-(같다) + -ㄴ + 이(것) + -ㄹ[목적격 조사].
니샤 眞을 보게 시 젼며 시혹 녀튼 識을 爲샤 뎌 나가 類 取샤 달애야 주009)
달애야:
달애-(달래다) + -아.
信케 시 젼라】
열둘흔 論議라 【理 기퍼 바 닐어 아디 몯 모로매

원각경언해 상1의1:20ㄴ

議論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하나는 계경(契經)이요, 둘은 응송(應頌)이요, 【장항(長行)과 맞는 송(頌)이라.】 셋은 수기(授記)요, 【부처께서 제자의 생사 인과를 기록하시며 보살의 부처 될 일 기록하심이니 기(記)는 일을 기록함이라.】 넷은 풍송(諷誦)이요, 【홀로 일어난 게(偈)니 장항을 송하심이 아니라.】 다섯은 인연이요, 【혹은 청으로 인하시며, 혹은 일로 인하여 이르신 까닭이라.】 여섯은 스스로 이르심이요, 【청으로 인하지 아니하신 까닭이라.】 일곱은 본사(本事)이요, 【부텨와 제자의 옛일 이르신 까닭이라.】 여덟은 본생(本生)이요, 【부처와 다른 사람의 옛 몸을 받으심을 이르신 까닭이라.】 아홉은 방광(方廣)이요, 【방정하며 넓어 평등하게 성에 맞아 이락(利樂)이 넓은 까닭이라.】 열은 이전에 있지 아니함이요, 【덕업이 다르시며 법체가 드물어 기이하신 까닭이라.】 열하나는 비유요, 【깊이 믿는 이를 위하여 같은 것을 말하여 참됨을 보게 하시는 까닭이며, 혹은 옅은 식(識)을 위하여 저곳에 나아가 유(類)를 취하여 달래어 믿게 하시는 까닭이라.】 열둘은 논의라. 【이치가 깊어 바로 말해 알지 못하므로 모름지기 의논하시니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마:-(맞다, 맞추다) + -.
주002)
오:홀로, 혼자.
주003)
닌:닐-(일다, 일어나다)[‘ㄹ’ 불규칙 동사] + -ㄴ[관형사형 어미].
주004)
걔:갸(자기, 스스로) + -ㅣ[주격 조사].
주005)
니르샤미오:니르- + -시- + -옴 + -이오.
주006)
너버:넙-(넓다) + -어.
주007)
아:전에, 이전에, 일찍이.
주008)
닐:-(같다) + -ㄴ + 이(것) + -ㄹ[목적격 조사].
주009)
달애야:달애-(달래다) + -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