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3


【경】別者 有十所爲실 故說此經시니 一은 顯示因行의 有本故ㅣ오

원각경언해 상1의1:4ㄴ

別은 열 爲샨 고디 주001)
고디:
곧(곳, 바) + -ㅣ[주격 조사].
겨실 주002)
겨실:
겨시-(계시다, 있으시다) + -ㄹ
이 經을 니시니 나 因行의 根本 이쇼 주003)
이쇼:
이시-(있다) + -오-[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목적격 조사].
나토아 뵈시 젼오

별(別)은 열 가지로 만든 바가 있으시므로 이 불경을 말씀하시니, 하나는 인행(因行)의 근본 있음을 나타내어 보이시는 까닭이고,

【종밀주석】 〈圓照淨覺야 了無明空 發淸淨心야 方修萬行리라〉

〈淨覺 두려이 주004)
두려이:
두렵-(둥글다, 원만하다, 완전하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 초기 훈민 정음 문헌에서는 ‘두려’로 표기된 낱말임.
비취여 無明의 空 주005)
:
(것, 줄)[의존 명사] + -ㄹ[목적격 조사].
아라 淸淨  發야 주006)
야:
-(하다) + -야 + -[특수의 보조사].
비르서 萬行 닷리라 주007)
닷리라:
-(닦다) + -리[미래의 선어말 어미] + -라[평서형 종결 어미].

〈정각(淨覺)을 원만하게 비추어 무명(無明)이 공(空)한 줄을 알아 청정(淸淨)한 마음을 발하여야 비로소 만행(萬行)을 닦으리라.〉

【경】二 泯絶果相야 成圓故ㅣ오

둘흔 果相 주008)
과상:
집착되는 대상을 인상(因相)·과상(果相)·자상(自相)으로 나눈 것 중의 하나.
업서 그처 주009)
업서 그처:
없어서 그쳐야, 없어져서 그쳐져야. ‘완전히 없어져야’의 뜻임.

원각경언해 상1의1:5ㄱ

이 주010)
이:
일-(이루다, 이루어지다)[‘ㄹ’ 불규칙 활용] + -[관형형 어미].
젼오 주011)
젼오:
젼(까닭) + -ㅣ오[서술격 조사].

둘은 과상(果相)이 완전히 없어져야 원(圓)이 이루어지는 까닭이고,

【종밀주석】 〈本無菩提涅槃고 唯是淸淨覺性일 故로 無始終增減야 方爲究竟之果ㅣ리라〉

원각경언해 상1의1:5ㄴ

〈本來 菩提涅槃 업고 오직 이 淸淨 覺性일 처과 내과 더움 주012)
더움:
더으-(더하다) + -우-[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더함, 덧보탬.
더룸 주013)
더룸:
덜-(덜다) + -우- + -ㅁ. * 덜음, 덜어냄.
업서 주014)
업서:
없- + -어.
비르서 究竟 果ㅣ 외리라 주015)
외리라:
외-(되다) + -리-[미래 시상 선어말 어미] + -라[평서형 종결 어미].

〈본래 보리 열반이 없고 오직 이 청정한 각성뿐이므로 처음과 나중과 더함과 덜어냄이 없어 비로소 구경(究竟)의 과(果)가 되리라.〉

【경】三은 決擇悟理야 應修故ㅣ오

세흔 決斷야 야 理 아라 반기 닷골 젼오

셋은 결단하여 가려내어 이치를 알아 반드시 닦는 까닭이고,

【종밀주석】 〈普賢問은 意云샤 覺性이 本圓며 一切如幻니 幻空면 無體어니 誰曰脩行이니고 如其不脩댄 何因證覺리고

원각경언해 상1의1:6ㄱ

佛說샤 因起幻智야 以除諸幻이니 幻이 盡코 智ㅣ 泯면 覺心이 圓明리라 시니

원각경언해 상1의1:6ㄴ

然이나 今에 唯說空幻者 溺在無脩고

원각경언해 상1의1:7ㄱ

脩習之徒 縳於有得니 良由悟脩之意ㅣ 似反而符

원각경언해 상1의1:7ㄴ

故로 最難明이니 理須決擇이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普賢ㅅ 묻오샤 주016)
묻오샤:
묻-(묻다) + -오-[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 + -시- + -오- + -ㅁ + -. * 초기 훈민 정음 문헌에는 ‘묻샤’으로 표기되던 것이 ‘’을 안 쓰기로 하면서 이렇게 표기법이 바뀌었음.
데 니샤 주017)
니샤:
니-(말하다) + -시- + -오- + -.
覺性이 本來 두려우며 一切 幻 니 幻이 空면 體 업거니 뉘 修行니고 주018)
니고:
- + --[현재 시상 선어말 어미] + -니-[원칙의 선어말 어미] + --[상대 높임 선어말 어미] + -ㅅ고[‘쇼셔’체의 설명 의문형 어미].
다가 닷디 주019)
닷디:
-(닦다) + -디[보조적 연결 어미]. * ‘-디’처럼 자음이 3개 연결되면 한 자음이 탈락됨.
아니홀딘댄 주020)
아니홀딘댄:
아니- + -오- + -ㄹ딘댄[조건의 연결 어미]. 아니하면, 아니할 것이면.
므스글 주021)
므스글:
므슥(무엇) + -을[목적격 조사].
因야 覺 證리고 주022)
리고:
- + -리-[미래 시상 선어말 어미] + --[상대 높임 선어말 어미] + -ㅅ고[의문형 어미].
부톄 니샤 幻智 니와도 주023)
니와도:
니왇- + -오- + -ㅁ + -.
因야 주024)
한:
하-(많다, 크다) + -ㄴ[관형사형 어미].
幻 더롤디니 주025)
더롤디니:
덜-(덜다) + -오- + -ㄹ + -(것) + -이니.
幻이 다고 주026)
다고:
다-(다하다) + -고.
智 업스면 覺心이 두려이 리라 주027)
리라:
-(밝다) + -리- + -라.
시니 그러나 이제

원각경언해 상1의1:8ㄱ

오직 空幻 니닌 주028)
니닌:
니-(말하다) + --[현재 시상 선어말 어미] + -ㄴ[관형형 어미] + 이(사람) + -ㄴ[대조의 보조사].
닷곰 주029)
닷곰:
- + -오- + -ㅁ.
업수매 주030)
업수매:
없- + -우- + -ㅁ + -애.
디고 주031)
디고:
디-(빠지다) + -고.
닷가 니길 주032)
니길:
니기-(익히다) + -ㄹ[관형사형 어미].
무른 주033)
무른:
물(무리) + -은[대조 보조사].
이슈메 주034)
이슈메:
이시-(이다) + -우- + -ㅁ + -에.
이니 주035)
이니:
이-(매이다, 얽매이다) + -- + -니.
實로 아롬 주036)
아롬:
알-(알다) + -오- + -ㅁ. * 앞으로 명사형 어미 ‘-옴, -움’은 더 이상 분석하지 아니함.
닷논 주037)
닷논:
- + -- + -오- + -ㄴ.
디 드위현 주038)
드위현:
드위혀-(뒤집다, 뒤집히다) + -ㄴ.
호 주039)
호:
(듯) + - + -오- + -.
마 주040)
마:
맞-(맞다, 부합하다) + -.
주041)
:
가장, 매우.
교미 주042)
교미:
기-(밝히다) + -오- + -ㅁ + -이.
어려우니 理 모로매 주043)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決斷야 욜디니라 주044)
욜디니라:
-(가리다, 가려내다) + -오-[삽입 모음] + -ㄹ + (것) + -이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보현의 물으심은 〈그〉 뜻에 이르기를, “각성이 본래 원만하며 모두가 환상 같으니 환상이 공하면 실체가 없는 것이니, 누가 수행하는 것입니까? 만약에 수행하지 않으면 무엇에 따라 깨달음을 증명하겠습니까?” 부처께서 말씀하시기를, “환상과 지혜를 일으킴을 따라 많은 환상을 덜어낼 것이니 환상이 다하고 지혜가 없으면 깨닫는 마음이 원만하게 밝으리라.” 하시니, 그러나 이제 오직 공환(空幻)을 말하는 이는 수행 없음에 빠지고, 수행하여 익히는 무리들은 득 있음에 얽매이나니, 진실로 깨달음과 수행하는 뜻이 뒤집힌 듯하면서 맞아 밝히기가 가장 어려우니, 이치를 모름지기 결단하여 가려낼 것이니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고디:곧(곳, 바) + -ㅣ[주격 조사].
주002)
겨실:겨시-(계시다, 있으시다) + -ㄹ
주003)
이쇼:이시-(있다) + -오-[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목적격 조사].
주004)
두려이:두렵-(둥글다, 원만하다, 완전하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 초기 훈민 정음 문헌에서는 ‘두려’로 표기된 낱말임.
주005)
:(것, 줄)[의존 명사] + -ㄹ[목적격 조사].
주006)
야:-(하다) + -야 + -[특수의 보조사].
주007)
닷리라:-(닦다) + -리[미래의 선어말 어미] + -라[평서형 종결 어미].
주008)
과상:집착되는 대상을 인상(因相)·과상(果相)·자상(自相)으로 나눈 것 중의 하나.
주009)
업서 그처:없어서 그쳐야, 없어져서 그쳐져야. ‘완전히 없어져야’의 뜻임.
주010)
이:일-(이루다, 이루어지다)[‘ㄹ’ 불규칙 활용] + -[관형형 어미].
주011)
젼오:젼(까닭) + -ㅣ오[서술격 조사].
주012)
더움:더으-(더하다) + -우-[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더함, 덧보탬.
주013)
더룸:덜-(덜다) + -우- + -ㅁ. * 덜음, 덜어냄.
주014)
업서:없- + -어.
주015)
외리라:외-(되다) + -리-[미래 시상 선어말 어미] + -라[평서형 종결 어미].
주016)
묻오샤:묻-(묻다) + -오-[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 + -시- + -오- + -ㅁ + -. * 초기 훈민 정음 문헌에는 ‘묻샤’으로 표기되던 것이 ‘’을 안 쓰기로 하면서 이렇게 표기법이 바뀌었음.
주017)
니샤:니-(말하다) + -시- + -오- + -.
주018)
니고:- + --[현재 시상 선어말 어미] + -니-[원칙의 선어말 어미] + --[상대 높임 선어말 어미] + -ㅅ고[‘쇼셔’체의 설명 의문형 어미].
주019)
닷디:-(닦다) + -디[보조적 연결 어미]. * ‘-디’처럼 자음이 3개 연결되면 한 자음이 탈락됨.
주020)
아니홀딘댄:아니- + -오- + -ㄹ딘댄[조건의 연결 어미]. 아니하면, 아니할 것이면.
주021)
므스글:므슥(무엇) + -을[목적격 조사].
주022)
리고:- + -리-[미래 시상 선어말 어미] + --[상대 높임 선어말 어미] + -ㅅ고[의문형 어미].
주023)
니와도:니왇- + -오- + -ㅁ + -.
주024)
한:하-(많다, 크다) + -ㄴ[관형사형 어미].
주025)
더롤디니:덜-(덜다) + -오- + -ㄹ + -(것) + -이니.
주026)
다고:다-(다하다) + -고.
주027)
리라:-(밝다) + -리- + -라.
주028)
니닌:니-(말하다) + --[현재 시상 선어말 어미] + -ㄴ[관형형 어미] + 이(사람) + -ㄴ[대조의 보조사].
주029)
닷곰:- + -오- + -ㅁ.
주030)
업수매:없- + -우- + -ㅁ + -애.
주031)
디고:디-(빠지다) + -고.
주032)
니길:니기-(익히다) + -ㄹ[관형사형 어미].
주033)
무른:물(무리) + -은[대조 보조사].
주034)
이슈메:이시-(이다) + -우- + -ㅁ + -에.
주035)
이니:이-(매이다, 얽매이다) + -- + -니.
주036)
아롬:알-(알다) + -오- + -ㅁ. * 앞으로 명사형 어미 ‘-옴, -움’은 더 이상 분석하지 아니함.
주037)
닷논:- + -- + -오- + -ㄴ.
주038)
드위현:드위혀-(뒤집다, 뒤집히다) + -ㄴ.
주039)
호:(듯) + - + -오- + -.
주040)
마:맞-(맞다, 부합하다) + -.
주041)
:가장, 매우.
주042)
교미:기-(밝히다) + -오- + -ㅁ + -이.
주043)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주044)
욜디니라:-(가리다, 가려내다) + -오-[삽입 모음] + -ㄹ + (것) + -이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