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10


【경】 十은 勸事離相明師故ㅣ리

열흔 주001)
열흔:
열ㅎ(열) + -은. * ‘열(十)’은 ‘ㅎ’ 끝소리 체언임.
여흰 주002)
여흰:
여희-(여의다, 이별하다) + -ㄴ.
明 스 셤교 주003)
셤교:
셤기-(섬기다) + -옴 + -.
勸시논 주004)
권시논:
권(勸)- + -시- + -- + -오- + -ㄴ.
젼라

열은 상을 여읜 밝은 스승 섬김을 권하시는 까닭이라.

【종밀주석】 〈佛이 本是로 而勤脩며 惑이 元無호 而須斷이라시니 無軌可則이며 無迹 可依라 必須離相明師ㅣ 觸向야 曉喩 故로 令親近야 盡命亡軀等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1의1:15ㄴ

〈부톄 本來 이로 주005)
이로:
이(이것) + -로.
브즈러니 주006)
브즈러니:
브즈런-(부지런하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 어간의 ‘-’가 완전히 탈락할 경우가 있음.
닷며 주007)
닷며:
-(닦다) + -며.
惑이 本來 업수 주008)
업수:
없- + -우.
모로매 주009)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그츠라 주010)
그츠라:
긏-(끊다) + -으라[명령형 어미].
시니 法이 어루 주011)
어루:
가히.
바돌 주012)
바돌:
받- + -올.
것 업스며 자최 어루 브툴 주013)
브툴:
븥- + -울.
업순디라 주014)
업순디라:
없- + -운 + (것) + -ㅣ라.
반기 주015)
반기:
반드시.
相 여흰 明 스스 向  다라 주016)
다라:
다-(다닫다, 도달하다)[‘ㄷ’ 불규칙 동사] + -아.
알외요 주017)
알외요:
알외-(알게 하다, 알리다) + -옴 + -.
기드리릴 주018)
기드리릴:
기드리-(기다리다) + -리-[미래 시상 선어말 어미] + -ㄹ.
親히 갓가이 주019)
갓가이:
갓갑-(가깝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 초기 훈민 정음 문헌에서는 ‘갓가’로 표기되었음.
야 命을 다며 모 주020)
모:
몸 + -.
업게 샴 주021)
샴:
- + -시- + -옴.
히라 주022)
히라:
ㅎ(-들)[복수 접미사] + -이라. * 중세 한국어에서 복수 접미사 ‘-/-들’은 ‘ㅎ’ 끝소리를 가지고 있었음.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부처가 본래 이것이되 부지런히 닦으며 유혹이 본래 없되 모름지기 끊어라 하시니, 법이 가히 법 받을 것 없으며 자취가 가히 의지할 데 없는 것이라. 반드시 상(相)을 여읜 밝은 스승이 향한 데 다달아 알게 함을 기다릴 것이므로 친히 가까이 하여 목숨을 다하며 몸을 없게 하심 들이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열흔:열ㅎ(열) + -은. * ‘열(十)’은 ‘ㅎ’ 끝소리 체언임.
주002)
여흰:여희-(여의다, 이별하다) + -ㄴ.
주003)
셤교:셤기-(섬기다) + -옴 + -.
주004)
권시논:권(勸)- + -시- + -- + -오- + -ㄴ.
주005)
이로:이(이것) + -로.
주006)
브즈러니:브즈런-(부지런하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 어간의 ‘-’가 완전히 탈락할 경우가 있음.
주007)
닷며:-(닦다) + -며.
주008)
업수:없- + -우.
주009)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주010)
그츠라:긏-(끊다) + -으라[명령형 어미].
주011)
어루:가히.
주012)
바돌:받- + -올.
주013)
브툴:븥- + -울.
주014)
업순디라:없- + -운 + (것) + -ㅣ라.
주015)
반기:반드시.
주016)
다라:다-(다닫다, 도달하다)[‘ㄷ’ 불규칙 동사] + -아.
주017)
알외요:알외-(알게 하다, 알리다) + -옴 + -.
주018)
기드리릴:기드리-(기다리다) + -리-[미래 시상 선어말 어미] + -ㄹ.
주019)
갓가이:갓갑-(가깝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 초기 훈민 정음 문헌에서는 ‘갓가’로 표기되었음.
주020)
모:몸 + -.
주021)
샴:- + -시- + -옴.
주022)
히라:ㅎ(-들)[복수 접미사] + -이라. * 중세 한국어에서 복수 접미사 ‘-/-들’은 ‘ㅎ’ 끝소리를 가지고 있었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