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46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46


【경】

원각경언해 상1의1:71ㄱ

摠不說法相시고 唯辨眞性시니 一切所有ㅣ 唯是妄想이며

원각경언해 상1의1:71ㄴ

一切法界ㅣ 唯是絶言이니 五法과 三自性이 皆空며 八識과 二無我 都遣야 訶敎며 勸離며 毁相며 泯心니 生心면 卽妄이오 不生면 卽佛이라

원각경언해 상1의1:72ㄴ

다 法相 니디 아니시고 오직 眞性을 시니 一切 잇 고디 오직 이 妄想이며 【매 緣코져 호 思量이 그츠니  주001)
녈:
녀-(다니다) + ㄹ.
고디 업수미라】
一切 法界 오직 이 말미 그츠니 【이베 니고져 호 마 일흐니 주002)
일흐니:
잃-(잃다) + -으니.
말ㅅ 길히 주003)
길히:
길ㅎ(道) + -이[주격 조사].
그추미라 주004)
그추미라:
긏-(끊다) + -움 + -이라[서술격 조사].
다 法과 세 自性괘 다 空며

다 법상을 이르지 아니하시고 오직 진성을 분별하시니 일체 있는 곳이 오직 이 망상이며 【마음에 연하고자 하되, 사량이 끊어지니 마음에 다닐 곳이 없음이라.】 일체 법계 오직 이 말씀이 그치니 【입에 이르고자 하되 말을 잃으니 말씀의 길이 끊어진 것이라.】 다섯 법과 세 자성이 다 공하며

【다 法은 곧 楞伽애 다 法을 교미니 닐오 名과 相과 妄想과 正智와 如如왜니 그러나 다시 다 空寂니 엇뎨오 如를 迷호 爲야 名相이 이러 妄想이 이 나니 名과 相괘 本來如 알면 妄 곧 智라 니니 주005)
니니:
니-(말하다) + -니.
名과 相과 妄想괘 업고 오직 如如와

원각경언해 상1의1:73ㄱ

智왜리라 智ㅣ 如를 因야 션디라 주006)
션디라:
셔-(서다) + -ㄴ[관형형 어미] + -[의존명사] + -이라[서술격 조사].
智體  空며 如ㅣ 智 브터 곤디라 주007)
곤디라:
-(밝다) + -오- + -ㄴ[관형형 어미] + -[의존명사] + -이라[서술격 조사].
如혼 고디 업슬 다 空니라 세 自性은 妄計自性과 緣起自性과 圓成自性이니 名과 相과 이 妄計오 妄想 이 緣起오 正智와 如如와 圓成이라】

〈다섯 법은 곧 능가에 다섯 법을 밝힘이니, 이르되 명과 상과 망상과 정지와 여여이니, 그러나 다섯이 다 공적하니 어떠하냐. 여를 미함을 위하여 명상이 일어나 망상이 여기에서 나니 명과 상이 본래 여인 것을 알면 망을 곧 지라 이르니, 명과 상과 망상이 없고 오직 여여와 지일 것이라. 지가 여로 인하여 선 것이라, 지체가 또 공하며 여가 지를 의지하여 밝힘이라. 여한 곳이 없으므로 다 공니라. 세 자성은 망계자성과 연기자성과 원성자성이니 명과 상은 이 망계이고 망상은 이 연기이고 정지와 여여는 원성이라.〉

八識과 二無我 다 아 주008)
아:
앗-(빼앗다, 없게 하다) + -아.

팔식과 이무아를 다 빼앗아

【八識은 眼識과 耳識과 鼻識과 舌識과 身識과 意識과 末那識과 阿賴耶識괘니 다 緣을 브터 나니 緣야 난 거슨 性이 空니  엇뎨 一定 體리오  我와 法과 이슈믈 因야 二無我 니니 我 오히려 得디 몯거니 주009)
몯거니:
몯(못) + -거-[확인법 선어말 어미] + -니. * ‘몯거니’의 ‘-’가 생략된 형태임.
無我ㅣ 어듸 이시리오】

【팔식은 안식과 이식과 비식과 설식과 신식과 의식과 말나식과 아뢰야식이니, 다 연을 의지하여 나니, 연하여 난 것은 성이 공하니 또 어찌 일정한 체이리오? 또 아와 법 있음을 인하여 이무아를 이르니, 아를 오히려 얻지 못하니 무아가 어디 있으리오?】

敎 구지즈며 주010)
구지즈며:
구짖-(꾸짖다) + -으며.
여희요 勸며 相 헐며  업

원각경언해 상1의1:73ㄴ

게 니  내면 곧 妄이오 내디 아니면 곧 부톄라

교를 꾸짖으며 여읨을 권하며 상을 헐며 마음을 없게 하니 마음을 내면 곧 망이고 내지 않으면 곧 부처라.

【敎 구지주믄 닐오 로  傳고 文字 셰디 아닌 젼라 여희요 勸호 두 디 잇니 나 敎 여희에 호미니 주011)
호미니:
-(하다) + -옴 + -이니.
우흿 敎 구지조 주012)
구지조:
구짖-(꾸짖다) + -옴 + -.
일우 마리오 둘흔 法을 여희에 호미니 法이 비록 無量나 色과 과애 나디 아니니  여희면 미 如고 色 여희면 色이 如니 그럴 이제 다 여희면  體ㅣ 念 여흰  마리라 주013)
마리라:
맞-(맞다 適) + -- + -리-[미래 시상 선어말 어미] + -라[평서형 종결 어미].
相 허루믄 境을 자니 믈읫 잇 相이 다 이 虛妄이라  업게 호 智 자니 境相의 空  아로 비러 주014)
비러:
빌-(빌리다) + -어.
닐오 智라 니 相이 마 잇디 주015)
잇디:
잇-(있다) + -디.
아니커니 智 엇뎨 眞實이 이시리오 과 境괘 둘히 업스면 곧 다 그추미니 미  相 업수미 곧 이  安호미니 그

원각경언해 상1의1:74ㄱ

럴 닐오  내면 곧 妄이오 내디 아니면 곧 부톄라 니  내다 닐오 갓 주016)
갓:
한갓. 공연히[부사].
다  낼  아니라 비록 菩提와 涅槃과 觀心과 見性을 내야도  닐오  내요미라 다 妄想이 외오 想念이 다 괴외야 주017)
괴외야:
괴외-(고요하다) + -야 + -[특수의 보조사].
비르서 닐오 내디 아니호미니 마  念이 나디 아니면 前後ㅅ  주018)
:
(가 邊) + -이[주격 조사].
그처 照體 오 셔 物와 我왜 다 如호미 이 寂照ㅣ 알 나토미니 엇뎨 眞實ㅅ 부톄 아니리오】

【교를 꾸짖음은 이르되, 마음으로 마음을 전하고 문자를 세우지 아니하는 까닭이라. 여읨을 권하는 데는 두 가지 뜻이 있으니 하나는 교를 여의게 함이니 위의 교 꾸짖음을 이루는 말이고, 둘은 법을 여의게 함이니 법이 비록 무량하나 색과 마음에 나지 아니하니 마음 여의면 마음이 여하고 색을 여의면 색이 여하니, 그러므로 이제 다 여의면 마음의 체가 염을 여읜 곳을 맞으리라. 상 헐어버림은 경을 잡으니 무릇 있는 상이 다 이 허망이라. 마음을 없게 함은 지를 잡으니 경상의 공한 것을 아는 것을 빌어 이르되 지라고 하니, 상이 이미 있지 아니하니 지 어찌 진실이 있으리오? 마음과 경이 둘이 없으면 곧 다 그침이니 마음이 마음의 상 없음이 곧 이 마음을 안함이니 그러므로 이르되 마음을 내면 곧 망이고 내지 아니하면 곧 부처라 하니, 마음을 내다 이름은 한갓 다른 마음을 낼 뿐 아니라 비록 보리와 열반과 관심과 견성을 내어도 또 이르되 마음 내는 것이라, 다 망상이 되고 상념이 다 고요하여야 비로소 이르되 내지 아니함이니 이미 한 염이 나지 아니하면 전후의 가장자리가 끊어져 조체 혼자 서서 물과 아가 다 여함이 이 적조가 앞에 나타남이니 어찌 진실의 부처가 아니리오?】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녈:녀-(다니다) + ㄹ.
주002)
일흐니:잃-(잃다) + -으니.
주003)
길히:길ㅎ(道) + -이[주격 조사].
주004)
그추미라:긏-(끊다) + -움 + -이라[서술격 조사].
주005)
니니:니-(말하다) + -니.
주006)
션디라:셔-(서다) + -ㄴ[관형형 어미] + -[의존명사] + -이라[서술격 조사].
주007)
곤디라:-(밝다) + -오- + -ㄴ[관형형 어미] + -[의존명사] + -이라[서술격 조사].
주008)
아:앗-(빼앗다, 없게 하다) + -아.
주009)
몯거니:몯(못) + -거-[확인법 선어말 어미] + -니. * ‘몯거니’의 ‘-’가 생략된 형태임.
주010)
구지즈며:구짖-(꾸짖다) + -으며.
주011)
호미니:-(하다) + -옴 + -이니.
주012)
구지조:구짖-(꾸짖다) + -옴 + -.
주013)
마리라:맞-(맞다 適) + -- + -리-[미래 시상 선어말 어미] + -라[평서형 종결 어미].
주014)
비러:빌-(빌리다) + -어.
주015)
잇디:잇-(있다) + -디.
주016)
갓:한갓. 공연히[부사].
주017)
괴외야:괴외-(고요하다) + -야 + -[특수의 보조사].
주018)
:(가 邊) + -이[주격 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