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1


【경】將解此經홀뎬 十門에 分別이니 一은 敎起因緣이오 二 藏乘分攝이오 三은 權實對辨이오 四 分齊幽深이오 五 所被機宜오 六은 能詮體性이오 七은 宗趣通別이오 八은 修證階差ㅣ오 九 通釋名題오 十은 別

원각경언해 상1의1:1ㄴ

解文義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1의1:2ㄱ

 이 經 사굘뎬 주001)
사굘뎬:
사기-(새기다, 해석하다) + -오-[삽입 모음] + -ㄹ뎬[조건의 연결 어미]. * ‘-ㄹ뎬’ 앞에는 아무런 기능이 없이 삽입 모음이 오는 일이 많았음.
열 門에 홀디니 주002)
홀디니:
호-(나누다) + -ㄹ[관형사형 어미] + (것) + -이니[서술격 조사].
나 주003)
나:
나ㅎ(하나) + -[대조의 보조사].
니와샨 주004)
니와샨:
니왇-(일으키다) + -시[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 -오-[삽입 모음] + -ㄴ[관형형 어미]. * 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시-’ 뒤에 삽입 모음 ‘-오-’가 오면 합쳐서 ‘-샤-’가 됨. * ‘니왇-/니르왇-’은 초기 훈민 정음 문헌[세종 시대의 문헌]에서는 ‘니르-’으로 표기되었음.
因緣이오 둘흔 주005)
둘흔:
둘ㅎ(둘) + -은[대조의 보조사]. * 대조의 보조사에는 ‘-ㄴ, -, -은, -, -는’ 등이 모음 조화 표기법에 따라 구분되어 쓰였지만 혼란이 많았음.
藏과 乘과 分 주006)
장·승·분:
장(藏)은 가르침, 승(乘)은 가르침에 대한 깨달음의 방법, 분(分)은 방법의 결정을 말함.
과애 주007)
과애:
-과[접속 조사] + -애[처소 부사격 조사]. * 중세 한국어(14세기 초~17세기 말의 한국어)에서는 여러 개의 체언이 접속 조사로 연결될 때 마지막 체언 뒤에도 접속 조사가 붙음이 일반적이었음.
자표미오 주008)
자표미오:
자피-(잡히다) + -오-[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이오[서술격 조사의 나열 연결형]. * 명사형 어미 ‘-ㅁ’ 앞에는 아무런 기능 없이 삽입 모음이 오는 일이 많았음. 서술격 조사 어간 뒤에 나열의 연결형 어미 ‘-고’가 오면 이 ‘-고’가 ‘-오’로 바뀜.
세흔 주009)
세흔:
세ㅎ(셋) + -은. * 현대어의 ‘셋, 넷’은 15세기 문헌에는 보이지 않음.
權과 實 주010)
권실:
방편과 진실, 또는 임시적인 가르침과 진실된 가르침.
와 마초아 주011)
마초아:
마초-(맞추다) + -아[보조적 연결 어미].
요미오 주012)
요미오:
-(가리다, 가려내다, 분별하다) + -오-[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이오. * 삽입 모음 ‘-오-’는 ‘ㅣ’ 뒤에서 ‘-요-’로 바뀜.
네흔 주013)
네흔:
네ㅎ(넷) + -은.
分齊 주014)
분제:
차별, 범위, 정도, 경계 등의 뜻을 가짐.
기푸미오 주015)
기푸미오:
깊- + -우-[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이오. * 삽입 모음 ‘-오-, -우-’는 모음 조화 표기법에 따라 구분 사용되었으나 혼란이 많음.
【分齊 限量이라】 다 주016)
다:
다(다섯) + -.
니피시 주017)
니피시:
니피-(입히다) + -시-[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 -[관형사형 어미].
機宜 주018)
기의:
기(機)는 마음의 움직임이고, 의(宜)는 그 적절함에 따르는 것. 상대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적합한 작용을 이루는 것을 말함.
【宜 서르 주019)
서르:
서로.
마시라 주020)
마시라:
맞-(맞다) + -[명사형 어미] + -이라[서술격 조사]. * 중세 한국어의 명사형 어미에는 ‘-(으/)ㅁ, -(오/우)ㅁ, -롬; -기; -디’와 고대 한국어의 동명사형에서 남게 된 ‘-(으/)ㄴ, -(오/우)ㄴ, -(으/)ㄹ, -(으/)’ 등이 쓰였음.
여스슨 주021)
여스슨:
여슷 + -은.
能詮 주022)
능전:
말로써 나타내는 것. 경전에 쓰여진 이치를 나타내는 문구를 이름.
주023)
ㅅ:
‘ㅅ’은 관형격 조사로서 이 시대의 관형격 조사에는 ‘-의/-, -ㅅ, -ㅣ’ 등이 있었다. 이 중 ‘-ㅅ’은 무정물(無情物) 체언 뒤나 높임의 자질이 있는 유정물(有情物)로서 주로 유성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서 사용되었음.
體性 주024)
체성:
실체와 본성.
이오 닐구븐 주025)
닐구븐:
닐굽(일곱) + -은.
宗趣 주026)
종취:
종지(宗旨)를 체득하기 위한 수행의 방법.
의 通과 別왜오 주027)
별왜오:
별(구별함) + -와[접속 조사] + -이오. * 마지막 체언 뒤에 접속 조사가 붙은 예임.
여들븐 주028)
여들븐:
여듧(여덟) + -은. ‘여덟’은 중세 한국어 시대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닷곰 주029)
닷곰:
-(닦다) + -오-[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證홈괏 주030)
증홈괏:
증-(깨닫다) + -오-[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과[접속 조사] + -ㅅ[관형격 조사].
릿 주031)
릿:
리(다리, 사닥다리, 층계, 등급) + -ㅅ[관형격 조사].
差等이오 아호 주032)
아호:
아홉 + -[대조의 보조사].
名題 通히 사교미오 주033)
사교미오:
사기-(해석하다) + -오-[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이오[서술격 조사].
【題目이 一部ㅅ 주034)
일부ㅅ:
일부(일부, 전부) + -ㅅ[관형격 조사]. * ‘일부’는 여기서 ‘전부’의 뜻임.
그를 주035)
그를:
글 + -을[목적격 조사].
려 주036)
려:
리-(꾸리다, 싸다) + -어[연결 어미].
머구머실 주037)
머구머실:
머굼-(머금다) + -어[보조적 연결 어미] + 시-(있다. ‘이시다’의 준말) + -ㄹ[원인의 연결 어미]. * ‘려 머굼다’는 ‘포함하다’의 순우리말임.
닐오 주038)
닐오:
니르-/니-(말하다) + -오-[삽입 모음] + -[설명의 연결 어미]. * ‘-’ 앞에 삽입 모음이 오는 일이 많았음. 또 ‘니르-/니-’는 모음 어미 앞에서 ‘닐-’로 모양이 바뀌었음.

원각경언해 상1의1:2ㄴ

이라】
열흔 주039)
열흔:
열ㅎ(열) + -은[대조의 보조사].
글  各別히 주040)
각별히:
각각, 각자 따로.
사교미라 주041)
사교미라:
사기-(해석하다) + -오-[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이라[서술격 조사].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장차 이 경(經)을 해석하려면 열 부문으로 나눌 것이니, 하나는 가르침을 일으키는 인연이요, 둘은 장(藏)과 승(乘)과 분(分)에 잡힘이요, 셋은 권(權)과 실(實)을 맞추어 가려냄이요, 넷은 분제(分齊)가 깊음이요, 【분제는 한정된 양이라】 다섯은 입히시는 기의(機宜)요, 【의(宜)는 서로 맞음이라】 여섯은 능전(能詮)의 체성(體性)이요, 일곱은 종취(宗趣)를 통함과 구별함이요, 여덟은 닦음과 깨달음의 등급의 차등이요, 아홉은 명제를 통석함이요, 【제목이 전체의 글을 포함해 있으므로 말하기를 통(通)이라】 열은 글의 뜻을 각각 해석함이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사굘뎬:사기-(새기다, 해석하다) + -오-[삽입 모음] + -ㄹ뎬[조건의 연결 어미]. * ‘-ㄹ뎬’ 앞에는 아무런 기능이 없이 삽입 모음이 오는 일이 많았음.
주002)
홀디니:호-(나누다) + -ㄹ[관형사형 어미] + (것) + -이니[서술격 조사].
주003)
나:나ㅎ(하나) + -[대조의 보조사].
주004)
니와샨:니왇-(일으키다) + -시[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 -오-[삽입 모음] + -ㄴ[관형형 어미]. * 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시-’ 뒤에 삽입 모음 ‘-오-’가 오면 합쳐서 ‘-샤-’가 됨. * ‘니왇-/니르왇-’은 초기 훈민 정음 문헌[세종 시대의 문헌]에서는 ‘니르-’으로 표기되었음.
주005)
둘흔:둘ㅎ(둘) + -은[대조의 보조사]. * 대조의 보조사에는 ‘-ㄴ, -, -은, -, -는’ 등이 모음 조화 표기법에 따라 구분되어 쓰였지만 혼란이 많았음.
주006)
장·승·분:장(藏)은 가르침, 승(乘)은 가르침에 대한 깨달음의 방법, 분(分)은 방법의 결정을 말함.
주007)
과애:-과[접속 조사] + -애[처소 부사격 조사]. * 중세 한국어(14세기 초~17세기 말의 한국어)에서는 여러 개의 체언이 접속 조사로 연결될 때 마지막 체언 뒤에도 접속 조사가 붙음이 일반적이었음.
주008)
자표미오:자피-(잡히다) + -오-[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이오[서술격 조사의 나열 연결형]. * 명사형 어미 ‘-ㅁ’ 앞에는 아무런 기능 없이 삽입 모음이 오는 일이 많았음. 서술격 조사 어간 뒤에 나열의 연결형 어미 ‘-고’가 오면 이 ‘-고’가 ‘-오’로 바뀜.
주009)
세흔:세ㅎ(셋) + -은. * 현대어의 ‘셋, 넷’은 15세기 문헌에는 보이지 않음.
주010)
권실:방편과 진실, 또는 임시적인 가르침과 진실된 가르침.
주011)
마초아:마초-(맞추다) + -아[보조적 연결 어미].
주012)
요미오:-(가리다, 가려내다, 분별하다) + -오-[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이오. * 삽입 모음 ‘-오-’는 ‘ㅣ’ 뒤에서 ‘-요-’로 바뀜.
주013)
네흔:네ㅎ(넷) + -은.
주014)
분제:차별, 범위, 정도, 경계 등의 뜻을 가짐.
주015)
기푸미오:깊- + -우-[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이오. * 삽입 모음 ‘-오-, -우-’는 모음 조화 표기법에 따라 구분 사용되었으나 혼란이 많음.
주016)
다:다(다섯) + -.
주017)
니피시:니피-(입히다) + -시-[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 -[관형사형 어미].
주018)
기의:기(機)는 마음의 움직임이고, 의(宜)는 그 적절함에 따르는 것. 상대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적합한 작용을 이루는 것을 말함.
주019)
서르:서로.
주020)
마시라:맞-(맞다) + -[명사형 어미] + -이라[서술격 조사]. * 중세 한국어의 명사형 어미에는 ‘-(으/)ㅁ, -(오/우)ㅁ, -롬; -기; -디’와 고대 한국어의 동명사형에서 남게 된 ‘-(으/)ㄴ, -(오/우)ㄴ, -(으/)ㄹ, -(으/)’ 등이 쓰였음.
주021)
여스슨:여슷 + -은.
주022)
능전:말로써 나타내는 것. 경전에 쓰여진 이치를 나타내는 문구를 이름.
주023)
ㅅ:‘ㅅ’은 관형격 조사로서 이 시대의 관형격 조사에는 ‘-의/-, -ㅅ, -ㅣ’ 등이 있었다. 이 중 ‘-ㅅ’은 무정물(無情物) 체언 뒤나 높임의 자질이 있는 유정물(有情物)로서 주로 유성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서 사용되었음.
주024)
체성:실체와 본성.
주025)
닐구븐:닐굽(일곱) + -은.
주026)
종취:종지(宗旨)를 체득하기 위한 수행의 방법.
주027)
별왜오:별(구별함) + -와[접속 조사] + -이오. * 마지막 체언 뒤에 접속 조사가 붙은 예임.
주028)
여들븐:여듧(여덟) + -은. ‘여덟’은 중세 한국어 시대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주029)
닷곰:-(닦다) + -오-[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주030)
증홈괏:증-(깨닫다) + -오-[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과[접속 조사] + -ㅅ[관형격 조사].
주031)
릿:리(다리, 사닥다리, 층계, 등급) + -ㅅ[관형격 조사].
주032)
아호:아홉 + -[대조의 보조사].
주033)
사교미오:사기-(해석하다) + -오-[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이오[서술격 조사].
주034)
일부ㅅ:일부(일부, 전부) + -ㅅ[관형격 조사]. * ‘일부’는 여기서 ‘전부’의 뜻임.
주035)
그를:글 + -을[목적격 조사].
주036)
려:리-(꾸리다, 싸다) + -어[연결 어미].
주037)
머구머실:머굼-(머금다) + -어[보조적 연결 어미] + 시-(있다. ‘이시다’의 준말) + -ㄹ[원인의 연결 어미]. * ‘려 머굼다’는 ‘포함하다’의 순우리말임.
주038)
닐오:니르-/니-(말하다) + -오-[삽입 모음] + -[설명의 연결 어미]. * ‘-’ 앞에 삽입 모음이 오는 일이 많았음. 또 ‘니르-/니-’는 모음 어미 앞에서 ‘닐-’로 모양이 바뀌었음.
주039)
열흔:열ㅎ(열) + -은[대조의 보조사].
주040)
각별히:각각, 각자 따로.
주041)
사교미라:사기-(해석하다) + -오-[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이라[서술격 조사].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