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19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19


【경】 然이나 其所說法數ㅣ 有七十五호 但說人空샤 不明法空시고

원각경언해 상1의1:29ㄴ

唯依六識三毒샤 建立染淨根本시니 未盡法源실 故多諍論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그러나 그 니샨 法數ㅣ 닐흔다시 이쇼 주001)
이쇼:
이시- + -오-[삽입 모음] + -[설명의 연결 어미].

그러나 그 말하신 법수(法數)가 일흔다섯이 있되

【닐흔다 法은 모다 오직 다 類니 나 色法

원각경언해 상1의1:30ㄱ

이 열나히 잇니 다 根과 다 境과 表 업슨 色괘니 表 업슨 色은 안햇 주002)
안햇:
안ㅎ[‘ㅎ’ 끝소리 명사] + -애[처소의 부사격 조사] + -ㅅ[관형격 조사].
듣그리니 주003)
듣그리니:
듣글(티끌) + -이니.
곧 過去엣 한 法의 그리멧 주004)
그리멧:
그리메(그림자) + -ㅅ[관형격 조사].
像이라 둘흔 心法이니 오직  意識이 잇니라 세흔 心의 뒷논 주005)
뒷논:
두- + 잇-(있다) + -- + -온. * 동사 ‘두다’는 보조적 연결 어미 ‘-어’를 취하지 않은 채 ‘잇다’와 결합함. 따라서 ‘두어 잇논’이 아니라 ‘두잇논, 뒷논’이 됨.
法이 마여스시 잇니  여스세 호니 나 徧大地法이 열 가지 잇니 닐오 受와 想과 思와 觸과 欲과 慧와 念과 作意와 勝解와 【아 緣야 니굔 주006)
니굔:
니기-(익히다) + -온.
境界 기 주007)
기:
-(밝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記持야 닛디 주008)
닛디:
닞-(잊다) + -디.
아니호미 일후미 念이오  니르와다 주009)
니르와다:
니르왇-(일으키다) + -아.
미 조 밧긔 주010)
밧긔:
(밖) + -의[관형격 조사].
한 境에 緣케 호미 일후미 作意오 緣논 境에 미 決定을 내야 이 이리 반기 그리호미 일후미 勝解라】
三摩地왜니 이 一切ㅅ 心에 周徧 일후미 徧地라 둘흔 大善地 열히 잇니 닐오 信과 브

원각경언해 상1의1:30ㄴ

즈런홈과 捨 行과 【惛沈 여희며 掉擧 여희여 그 미 平等시 일후미 捨ㅣ라】 慚과 愧와 【過惡 짓고 제 붓그류미 주011)
붓그류미:
붓그리-(부끄러워하다) + -움 + -이.
일후미 慚이오  붓그류미 일후미 愧라】
업숨 주012)
업숨:
없- + -움.
과 瞋 업숨과 害 아니 홈과 輕安과 放逸 아니 홈괘라 세흔 大煩惱ㅣ 여스시 잇니 닐오 癡와 放逸와 게을움 주013)
게을움:
게으르- + -움. * 어간 끝소리 ‘ㅡ’가 탈락된 예임.
과 信 아니 홈과 惛沈과 掉擧왜라 〖미 寂靜티 아니야 貪欲 等을 緣호미 일후미 掉擧ㅣ라〗 네흔 大不善이 둘히 잇니 닐오 慚 업숨과 愧 업숨괘라 다 小煩惱ㅣ 열히 잇니 닐오 忿怒와 윰 주014)
윰:
이-(피하다, 덮다, 숨기다) + -움.
과 慳貪과 새옴 주015)
새옴:
시샘, 질투.
과 惱와 【 怒ㅣ라】 害와 怨望과 諂과 소굠 주016)
소굠:
소기-(속이다) + -옴.
과 憍慢괘라 여스슨 一定 주017)
일정(一定):
반드시, 꼭, 결단코.
아니 호미 여들비 잇니 닐오

원각경언해 상1의1:31ㄱ

으춤
주018)
뉘으춤:
뉘웇-(뉘우치다) + -움.
오롬 주019)
오롬:
올-(졸다) + -옴.
과 尋과 伺와 〖法을 조  麤히 주020)
추히:
거칠게, 자세하지 않게, 대충.
옮교미 일후미 尋이오 細히 옮교미 주021)
옮교미:
옮기- + -옴 + -이.
일후미 伺ㅣ라〗 貪과 瞋과 慢과 疑왜라】

【일흔다섯 법은 모두 오직 다섯 종류니, 하나는 색법(色法)이 열하나가 있으니, 다섯 뿌리와 다섯 경계와 겉 없는 색(色)이니, 겉 없는 색은 안의 티끌이니 곧 과거의 많은 법의 그림자의 영상이라. 둘은 심법(心法)이니 오직 한 의식이 있으니라. 셋은 마음에 둔 법이 마흔여섯이 있는데, 또 여섯으로 나누니, 하나는 편대지법(徧大地法)으로 이에는 열 가지가 있으니 말하기를, 수(受)와 상(想)과 사(思)와 촉(觸)과 욕(欲)과 혜(慧)와 염(念)과 작의(作意)와 승해(勝解)와 【일찍이 인연하여 익힌 경계를 밝히 기억해 지녀 잊지 아니함이 이름이 염(念)이요, 마음을 일으켜 마음이 자주 밖의 많은 경계에 인연하게 함이 이름이 작의(作意)요, 인연하는 경계에 마음이 결정을 하여 이 일이 반드시 그렇게 하게 함이 〈그〉 이름이 승해(勝解)라.】 삼마지(三摩地)니, 이 일체의 마음에 두루 있으므로 〈그〉 이름이 편지(徧地)라. 둘은 대선지(大善地)로 (모두) 열 가지가 있으니, 이르기를 믿음과 부지런함과 버림을 행함과 【혼침(惛針) 여의며 도거(掉擧) 여의어 그 마음이 평등함이 이름이 버림(捨)이라.】 참(慚)과 괴(愧)와 【과한 악을 짓고 제 부끄러워함이 이름이 참(慚)이요, 남 부끄러워함이 이름이 괴(愧)라.】 탐함 없음과 성냄 없음과 해 아니 함과 경안(輕安)과 방일(放逸) 아니 함이라. 셋은 대번뇌가 여섯이 있으니 이르기를, 치(癡)와 방일(放逸)과 게으름과 믿음 아니 함과 혼침(惛沈)과 도거(掉擧)라. 〖마음이 고요하지 아니하여 탐욕 등을 인연함이 이름이 도거이라.〗 넷은 대불선(大不善)이 둘이 있으니 이르기를, 참(慚) 없음과 괴(愧) 없음이라. 다섯은 소번뇌가 열이 있으니 이르기를, 분노와 숨김과 간탐(慳貪)과 시샘과 뇌(惱)와 【빠른 분노라.】 해침과 원망과 아첨과 속임과 교만이라. 여섯은 반드시 아니 함이 여덟이 있으니 이르기를, 뉘우침과 졸음과 심(尋)과 사(伺)와 〖법을 찾되 마음을 대충 옮김이 〈그〉 이름이 심(尋)이요, 자세히 옮김이 〈그〉 이름이 사(伺)이라.〗 탐함과 성냄과 게으름과 의심함이라.】

네흔 相應 아니  法이 열네히 잇니 〖이 得等ㅅ 諸法이 과 相應 아니 일후미 不相應이라〗 나 得이오 〖三性法에 비러 셰여 어두믈 주022)
어두믈:
얻- + -움 + -을.
일후믈 得이라〗 둘흔 得 아니오 세흔 衆同分이오 〖六趣 달오미 주023)
달오미:
다-(다르다) + -옴 + -이.
各各 가지 아니니 제 類로 사로미 주024)
사로미:
살- + -옴 + -이.
일후미 衆同分이라〗 네흔 無想異熟이오 〖欲色界예 定 닷고로 주025)
닷고로:
-(닦다) + -옴 + -로.
因 사마 뎌 하 果感호미 일후미 無想異熟이니 異熟이 세 디 잇니 나 變야 달아 니고미니 주026)
니고미니:
닉-(익다) + -옴 + -이니.
모로매 니구믈 因야 能히 果 블루미오 주027)
블루미오:
브르-(부르다) + -움 + -이오. * ‘브르-움’이 ‘블룸’으로 어간 교체된 예임.
둘흔 다 時節에

원각경언해 상1의1:31ㄴ

니구미니 주028)
니구미니:
닉-(익다) + -움 + -이니.
過去의 지 주029)
지:
짓- + -오-[삽입 모음] + -ㄴ.
因이 이제 現在예 果 得며 現在예 지 因이 未來옛 果 블로미오 주030)
블로미오:
브르-(부르다) + -옴 + -이오. * ‘브르-움’이 ‘블룸’ 또는 ‘블롬’으로 표기됨. 제2 음절 이하의 모음이 혼란스럽게 표기된 예임.
세흔 다 類예 니구미니 善惡因을 브터 無記果 感호미라〗 다 無想定이오 〖여러 六識心과 心數法을 滅야 緣야 혜욤 주031)
혜욤:
혜-(세다, 생각하다, 헤아리다) + -옴.
업수미 주032)
업수미:
없- + -움 + -이.
일후미 無想定이라〗 여스슨 滅盡定이오 〖여러 六識心과 心數法과 第七一分을 滅호미 일후미 滅盡定이라〗 닐구븐 命根이오 여들븐 生이오 아호븐 住ㅣ오 열흔 異오 열나 滅이오 열둘흔 名이오 열세흔 句ㅣ오 열네흔 文이라 〖名은 次第行列이니 一切 法의 自性을 니고 句는 次第로 주033)
차제로:
차례로. * 현대어 ‘차례’는 한자어 ‘次第’의 옛음 ‘뎨’가 변한 것임.
버릴시니 주034)
버릴시니:
버리-(벌이다) + -[명사형 어미] + -이니.
法의 差別을 니고 文은 次第로 니 주035)
니:
닛-(잇다) + -어.

원각경언해 상1의1:32ㄱ

어울울시니 주036)
어울울시니:
어울-(어울리다) + -우-[사동 접미사] + -[명사형 어미] + -이니.
名과 句와 븓논 주037)
븓논:
븥-(붙다, 의지하다, 의거하다) + -논.
고디라 주038)
고디라:
곧(곳, 장소) + -이라.
〗 다 無爲法이 세히 잇니 나 擇滅이오 【慧ㅣ  주039)
:
-(가리다, 가려내다) + -.
能이 이실 주040)
이실:
이시-(있다) + -ㄹ(원인의 연결 어미).
일후미 擇이니 요 브터 주041)
요 브터:
- + -옴 + - + -브터. * ‘- 브터(-을 붙어, -을 의지하여)’가 ‘-으로부터’로 격조사화하였음.
滅을 得 일후미 擇滅이라】
둘흔 非擇滅이오 〖因緣이 몯디 주042)
몯디:
몯-(모이다, 모으다) + -디[보조적 연결 어미].
아니면 諸法이 나디 아닌논디라 주043)
아닌논디라:
아니- + -논 + (것) + -이라. * ‘아니논’이 ‘*아닣논 → *아닏논 〉 아닌논’으로 표기가 바뀐 것임.
慧 브터 滅논디 주044)
논디:
- + -논 + (것) + -이.
아닐 일후미 非擇滅이라〗 세흔 虛空이라 【色性이 一切ㅅ 지 주045)
지:
짓- + -운.
業을 바돔 주046)
바돔:
받- + -옴.
업슬 주047)
업슬:
없- + -을.
일후미 虛空이라】
오직 人空 니르샤 法空 기디 아니시고 오직 六識과 三毒 브트샤 더러움과 조홈괏 주048)
조홈괏:
좋-(깨끗하다) + -옴 + -과 + -ㅅ.
根本 셰시니 브툰 주049)
브툰:
븥-(붙다, 의지하다, 의거하다) + -운.
밧 根本 기니 小乘은 혜요 現在ㅅ 色心으로 所熏을 삼고 三毒로 能熏을 사 業을 지 報 受야 生死ㅣ

원각경언해 상1의1:32ㄴ

주050)
긋디:
긏-(끊다) + -디.
아닌니 주051)
아닌니:
아니- + -니.
다가 善 法으로  주052)
:
 + -.
熏야 道 닷면 주053)
닷면:
-(닦다) + -면.
곧 解脫 得 일후미 染淨根本이라 비록 六識이라 니나 오직 이  意識이니 六根 中에 應야  주054)
:
-(쓰다) + -ㄹ.
일후미 六이라】
法ㅅ 根源을 다디 아니실 諍論이 하니라 【諍은 톨시라 주055)
톨시라:
다토-(다투다) + -- + -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넷은 상응 아니한 법이 열넷이 있으니, 〖이 득(得) 들의 여러 법이 마음과 상응 아니 하므로 이름이 불상응이라.〗 하나는 득(得)이요, 〖삼성법(三性法)에 빌어 세워 얻음을 그 이름을 득(得)이라 〈한다.〉〗 둘은 득 아니요, 셋은 중동분(衆同分)이요, 〖육취(六趣)의 다름이 각각 한 가지 아니니, 제 유(類)로 삶이 이름이 중동분이라.〗 넷은 무상 이숙(無想異熟)이요, 〖욕색계에 정(定) 닦음으로 인(因)을 삼아 저 하늘의 과감(果感)함이 이름이 무상 이숙이니, 이숙(異熟)이 세 뜻이 있으니 하나는 변하여 달라져 익음이니, 모름지기 익음을 인하여야 능히 과(果)를 부름이요, 둘은 다른 시절에 익음이니 과거에 지은 인이 이제 현재에 과를 얻으며 현재에 지은 인이 미래의 과를 부름이요, 셋은 다른 유(類)에 익음이니 선악인(善惡因)으로부터 무기과(無記果)를 감(感)함이라.〗 다섯은 무상정(無想定)이요, 〖여러 육식심(六識心)과 심수법(心數法)을 멸하여 인연하여 헤아림 없음이 이름이 무상정이라.〗 여섯은 멸진정(滅盡定)이요, 〖여러 육식심과 심수법과 제칠 일분(一分)을 멸함이 이름이 멸진정이라.〗 일곱은 명근(命根)이요, 여덟은 생(生)이요, 아홉은 주(住)이요, 열은 이(異)요, 열하나는 멸(滅)이요, 열둘은 명(名)이요, 열셋은 구절이요, 열넷은 문장이라. 〖명(名)은 차례의 행렬이니 일체 법의 자성(自性)을 이르고, 구절은 차례로 벌임이니 법의 차별을 말하고, 문장은 차례로 이어 어울리게 함이니 명(名)과 구절에 의지하는 곳이라.〗 다섯은 무위법이 셋이 있으니, 하나는 택멸(擇滅)이요, 【지혜는 가려내는 능력이 있으므로 이름이 택(擇)이니, 가려냄으로부터 멸을 얻으므로 이름이 택멸이라.】 둘은 비택멸이요, 〖인연이 모이지 아니하면 여러 법이 나지 아니하는 것이라. 지혜로부터 멸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름이 비택멸이라.〗 셋은 허공이라. 【색성(色性)이 일체의 지은 업을 받음 없으므로 이름이 허공이라.】 오직 인공(人空)을 말하시어 법공(法空)을 밝히지 아니하시고, 오직 육식(六識)과 삼독(三毒)을 의거하시어 더러움과 깨끗함의 근본을 세우시니 【의거한 바의 근본을 밝히니 소승(小乘)은 헤아리되 현재의 색심(色心)으로 소훈(所薰)을 삼고 삼독으로 능훈(能薰)을 삼으므로 업을 만들어 보(報)를 받아 생사가 끊이지 아니하니 만일 선한 법으로 마음을 훈(薰)하여 도를 닦으면 곧 해탈을 얻으므로 이름이 염정(染淨) 근본이라. 비록 육식(六識)이라 이르나, 오직 이 하나의 의식이니 육근 중에 응하여 쓰므로 이름이 육(六)이라.】 법의 근원을 다하지 아니하므로 쟁론이 많으니라. 【쟁은 다툼이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이쇼:이시- + -오-[삽입 모음] + -[설명의 연결 어미].
주002)
안햇:안ㅎ[‘ㅎ’ 끝소리 명사] + -애[처소의 부사격 조사] + -ㅅ[관형격 조사].
주003)
듣그리니:듣글(티끌) + -이니.
주004)
그리멧:그리메(그림자) + -ㅅ[관형격 조사].
주005)
뒷논:두- + 잇-(있다) + -- + -온. * 동사 ‘두다’는 보조적 연결 어미 ‘-어’를 취하지 않은 채 ‘잇다’와 결합함. 따라서 ‘두어 잇논’이 아니라 ‘두잇논, 뒷논’이 됨.
주006)
니굔:니기-(익히다) + -온.
주007)
기:-(밝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008)
닛디:닞-(잊다) + -디.
주009)
니르와다:니르왇-(일으키다) + -아.
주010)
밧긔:(밖) + -의[관형격 조사].
주011)
붓그류미:붓그리-(부끄러워하다) + -움 + -이.
주012)
업숨:없- + -움.
주013)
게을움:게으르- + -움. * 어간 끝소리 ‘ㅡ’가 탈락된 예임.
주014)
윰:이-(피하다, 덮다, 숨기다) + -움.
주015)
새옴:시샘, 질투.
주016)
소굠:소기-(속이다) + -옴.
주017)
일정(一定):반드시, 꼭, 결단코.
주018)
뉘으춤:뉘웇-(뉘우치다) + -움.
주019)
오롬:올-(졸다) + -옴.
주020)
추히:거칠게, 자세하지 않게, 대충.
주021)
옮교미:옮기- + -옴 + -이.
주022)
어두믈:얻- + -움 + -을.
주023)
달오미:다-(다르다) + -옴 + -이.
주024)
사로미:살- + -옴 + -이.
주025)
닷고로:-(닦다) + -옴 + -로.
주026)
니고미니:닉-(익다) + -옴 + -이니.
주027)
블루미오:브르-(부르다) + -움 + -이오. * ‘브르-움’이 ‘블룸’으로 어간 교체된 예임.
주028)
니구미니:닉-(익다) + -움 + -이니.
주029)
지:짓- + -오-[삽입 모음] + -ㄴ.
주030)
블로미오:브르-(부르다) + -옴 + -이오. * ‘브르-움’이 ‘블룸’ 또는 ‘블롬’으로 표기됨. 제2 음절 이하의 모음이 혼란스럽게 표기된 예임.
주031)
혜욤:혜-(세다, 생각하다, 헤아리다) + -옴.
주032)
업수미:없- + -움 + -이.
주033)
차제로:차례로. * 현대어 ‘차례’는 한자어 ‘次第’의 옛음 ‘뎨’가 변한 것임.
주034)
버릴시니:버리-(벌이다) + -[명사형 어미] + -이니.
주035)
니:닛-(잇다) + -어.
주036)
어울울시니:어울-(어울리다) + -우-[사동 접미사] + -[명사형 어미] + -이니.
주037)
븓논:븥-(붙다, 의지하다, 의거하다) + -논.
주038)
고디라:곧(곳, 장소) + -이라.
주039)
:-(가리다, 가려내다) + -.
주040)
이실:이시-(있다) + -ㄹ(원인의 연결 어미).
주041)
요 브터:- + -옴 + - + -브터. * ‘- 브터(-을 붙어, -을 의지하여)’가 ‘-으로부터’로 격조사화하였음.
주042)
몯디:몯-(모이다, 모으다) + -디[보조적 연결 어미].
주043)
아닌논디라:아니- + -논 + (것) + -이라. * ‘아니논’이 ‘*아닣논 → *아닏논 〉 아닌논’으로 표기가 바뀐 것임.
주044)
논디:- + -논 + (것) + -이.
주045)
지:짓- + -운.
주046)
바돔:받- + -옴.
주047)
업슬:없- + -을.
주048)
조홈괏:좋-(깨끗하다) + -옴 + -과 + -ㅅ.
주049)
브툰:븥-(붙다, 의지하다, 의거하다) + -운.
주050)
긋디:긏-(끊다) + -디.
주051)
아닌니:아니- + -니.
주052)
: + -.
주053)
닷면:-(닦다) + -면.
주054)
:-(쓰다) + -ㄹ.
주055)
톨시라:다토-(다투다) + -- + -이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