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25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25


【경】 法性괘니

法性괘니

법성이니

【종밀주석】 〈通於頓漸니 漸은 卽終敎ㅣ니 終於始故ㅣ오 頓은 如後說니라〉

〈頓과 漸과 通니 漸 곧 終敎ㅣ니 始  젼오 頓 後ㅅ 말 니라〉

〈돈과 점에 통하니, 점은 곧 종교이니 시를 마치는 까닭이요, 돈은 뒤의 말 같으니라.〉

【경】 今에 將法性야 對二宗야 料簡야

원각경언해 상1의1:38ㄱ

卽爲二門니 一은 對法相이오 二 對破相이라

이제 法性 가져 二宗 對야 야 곧 二門이 외니 나 法相 對호미오 둘흔 破相 對호미라

이제 법성을 가져 이종을 대하여 가려내어 곧 이문이 되니, 하나는 법상을 대함이요 둘은 파상을 대함이라.

【경】 初中에 性相二宗이 有多差別니 今에 隨類束야 略叙十條노니 一은 三乘과

初中에 性과 相괏 二宗이 한 差別이 잇니 이제 類 조차 주001)
조차:
좇-(좇다, 따르다) + -아.
뭇거 주002)
뭇거:
-(묶다) + -어.
畧히 열 條 펴노니 【열 對ㅅ 中에 다 웃 句는 相이오 아랫 句는 性이라】 나 三乘과

초중에 성과 상의 이종이 큰 차이가 있으니, 이제 종류를 따라 묶어 간략히 열 조항을 펴니, 【열 대 중에 다 위의 구절은 상이요, 아랫 구절은 성이라.】 하나는 삼승과

【종밀주석】 〈性五故也ㅣ라 初 小ㅣ오 次 一이니 不了ㅣ오 後 具三乘야 爲了ㅣ니 深

원각경언해 상1의1:38ㄴ

密에 云云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性이 다신 젼라 처믄 小乘이오 버그닌 주003)
버그닌:
버그-(다음가다, 버금가다)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사람) + -ㄴ[대조의 보조사].
一乘이니 了義 아니오 後는 三乘이 자 주004)
자:
-(갖다, 갖추다) + -아.
了義니 深密에 云云시니라 【法相宗ㅅ 덴 一乘으로 權 삼고 三乘으로 實 사니 그럴 深密經 三時敎 中에 처믄 다 외디 몯고 버거 다 외니 이 너뭄 주005)
너뭄:
넘- + -움.
과 몯 미추미 주006)
미추미:
및-(미치다) + -움 + -이.
다 了義 아니오 第三時 中에 性 잇닌 주007)
잇닌:
잇-(있다) + - + -이(사람) + -ㄴ[대조의 보조사].
외오 주008)
외오:
외-(되다) + -고.
업스닌 주009)
업스닌:
없- + -은 + 이(사람) + -ㄴ[대조의 보조사].
외디 몯호미 주010)
몯호미:
몯-(못하다) + -옴 + -이[주격 조사] + -[특수의 보조사]. ‘못함이야, 못함이라야’의 뜻임.
비르서 了義라 니 一切衆生이 다 가짓 性이 

원각경언해 상1의1:39ㄱ

 모로매 三乘이 이셔 機 니피샤미 주011)
니피샤미:
니피-(입히다) + -시- +-옴 + -이.
비르서 足니라 주012)
足니라:
足- + -ㄹ[원인의 연결 어미] + -이니라.
深密에 云云은 뎌 經에 니샤 너비 一切 乘을 發야 가릴 주013)
가릴:
가- + -ㄹ[관형사형 어미] + 이(사람) + -ㄹ[목적격 조사].
爲야 니시다 시니 一切 乘은 곧 三乘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성이 다섯인 까닭이라. 처음은 소승이요, 다음은 일승이니 요의 아니요, 후는 삼승이 갖추어 요의니 심밀에 운운하시니라. 【법상종의 뜻에는 일승으로 권을 삼고 삼승으로 실을 삼으니, 그러므로 심밀경의 삼시교 중에 처음은 다 되지 못하고 다음으로 다 되니, 이는 넘음과 못 미침이 다 요의 아니요, 제3시 중에 성 있는 이는 되고 성 없는 이는 되지 못함이라야 비로소 요의라 하니, 일체 중생이 다섯 가지의 성을 갖추므로 모름지기 삼승이 있어야 기를 입히심이 비로소 족하기 때문이니라. 심밀에 운운은, 저 경전에 말하기를 널리 일체의 승을 발하여 가는 이를 위하여 말한다고 하시니, 일체의 승은 곧 삼승이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조차:좇-(좇다, 따르다) + -아.
주002)
뭇거:-(묶다) + -어.
주003)
버그닌:버그-(다음가다, 버금가다)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사람) + -ㄴ[대조의 보조사].
주004)
자:-(갖다, 갖추다) + -아.
주005)
너뭄:넘- + -움.
주006)
미추미:및-(미치다) + -움 + -이.
주007)
잇닌:잇-(있다) + - + -이(사람) + -ㄴ[대조의 보조사].
주008)
외오:외-(되다) + -고.
주009)
업스닌:없- + -은 + 이(사람) + -ㄴ[대조의 보조사].
주010)
몯호미:몯-(못하다) + -옴 + -이[주격 조사] + -[특수의 보조사]. ‘못함이야, 못함이라야’의 뜻임.
주011)
니피샤미:니피-(입히다) + -시- +-옴 + -이.
주012)
足니라:足- + -ㄹ[원인의 연결 어미] + -이니라.
주013)
가릴:가- + -ㄹ[관형사형 어미] + 이(사람) + -ㄹ[목적격 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