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64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64


【경】 然所傳

원각경언해 상1의1:109ㄴ

法이 不出定慧와 悟脩와 頓漸니

그러나 傳샨 法이 定과 慧와 悟와 脩와 頓과 漸과애 나디 아니니

그러나 전하신 법이 정과 혜와 오와 수와 돈과 점에 나지 아니하니,

【경】 無定無慧면 是狂是愚ㅣ오 偏脩一門면 無明邪見이리니 此二 雙運야 成兩足尊故로 天台脩行이 宗於止觀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1의1:110ㄱ

定 업스며 慧 업스면 이 미치며 이 어료미오 주001)
어료미오:
어리-(어리석다, 혼미하다) + -옴 + -이오.
【定 업슨 慧 이 미친 慧오 慧 업슨 定은 이 어린 定이라】  門을 츼여 주002)
츼여:
츼-(치우치다, 어긋나다) + -어.
닷면 無明이며 邪 見이리니 【定을 츼여 닷면 無明을 길우고 慧 츼여 닷면 邪見을 길우니라】 이 둘흘  뮈워 주003)
뮈워:
뮈우-(움직이게 하다) + -어 + -.
兩足尊이 외릴 【兩足尊 福과 智왜 圓滿실시니 定은 이 福 體오 慧 智의

원각경언해 상1의1:110ㄴ

根源인 젼라】
天台ㅅ 脩行이 止觀 宗니라
〈天台 智者大師ㅣ 大止觀 十卷과 小止觀 二卷을 니 小止觀 序에 닐오 止 結을 降伏욜 첫 門이오 觀 이 惑 그출 正 宗要ㅣ며 止 이 心識을 길우맷 善 도오미오 觀 이 神解 照야 표맷 微妙 術이며 止 이 禪定ㅅ 勝 因이오 觀 이 智慧ㅅ 브터 도오미라 주004)
도오미라:
돕-(돕다) + -옴 + -이라.
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정 없으며 혜 없으면 이 미치며 이 어리석음이오, 【정 없는 혜는 이 미친 혜고 혜 없는 정은 이 어리석은 정이라.】 한 문을 치우쳐 닦으면 무명이며 사악한 견일 것이니 【정을 치우쳐 닦으면 무명을 기르고 혜를 치우쳐 닦면 사견을 기르나니라.】 이 둘을 함께 움직여야 양족존이 되므로 【양족존은 복과 지가 원만하실 것이니 정은 이 복의 체고 혜는 지의 근원인 까닭이라.】
천태의 수행이 지관을 종하니라.
〈천태 지자 대사가 대지관 10권과 소지관 2권을 만드니 소지관 서에 이르기를, 지는 결을 항복시킬 첫 문이고 관은 이혹을 그치게 할 정한 종요이며, 지는 이 심식을 기르는 데 선한 도움이고, 관은 이 선해를 조하여 살피는 데 미묘한 기술이며, 지는 이 선정의 승한 인이고, 관은 이 지혜에 의지하여 도움이라 하니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어료미오:어리-(어리석다, 혼미하다) + -옴 + -이오.
주002)
츼여:츼-(치우치다, 어긋나다) + -어.
주003)
뮈워:뮈우-(움직이게 하다) + -어 + -.
주004)
도오미라:돕-(돕다) + -옴 + -이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