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24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24


【종밀주석】 〈二ㅣ 皆漸敎之始니 卽戒賢과 智光과 二論師ㅣ 各依一經야 立三時敎야 互相破斥야

원각경언해 상1의1:36ㄱ

而傳習者ㅣ 皆認法性之經야 成立自宗之義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둘히 다 漸敎ㅅ 처미니 주001)
처미니:
처(처음) + -이니.
戒賢智光과 두 論師ㅣ 各各  經 브터 三時敎

원각경언해 상1의1:36ㄴ

 셰여 서르 허러 주002)
허러:
헐-(헐다, 파괴하다) + -어.
할아 주003)
할아:
할-(헐뜯다, 비방하다) + -아[원인의 연결 어미].
戒賢은 深密等經과 瑜伽等論 브터 三種敎 셰여 法相大乘으로 了義 사니 닐오 주004)
닐오:
니르-/니-(말하다) + -오-[삽입 모음] + -[양보의 연결 어미].
부톄 처 鹿苑에 四諦法輪을 옮기샤 한 有爲法이 緣야 나 我 업수믈 주005)
업수믈:
없- + -움 + -을.
니시고 그러나 오히려 法이 我 업슨 理 니디 아니시니 곧 阿含 等이 이라 第二時 中에 비록 徧計所執을 브트샤 諸法의 空 니시나 그러나 依他와 圓成에  주006)
:
오히려, 아직도.
有를 니디 아니시니 곧 諸部般若ㅣ라 第三은 三性과 三無性 等을 초 니샤 주007)
니샤:
니-(말하다) + -시- + -아앞선 동작 양태의 연결 어미] + -[특수 의미의 보조사].
비르서 大乘正理 다시니 곧 解深密 等이라 智光은 般若等經과 中觀等論 브트샤  세 敎 셰여 無相大

원각경언해 상1의1:37ㄱ

乘으로 眞實ㅅ 了義를 사니 닐오 부톄 처 鹿苑에 小乘을 니샤 心과 境괘 다 이쇼 니시고 버거 주008)
버거:
다음으로, 버금으로.
法相大乘의 境이 空고 心이 이쇼 니시고 後에 上根을 爲샤 無相大乘의 心境이 다 空야 平等 一味 니시다 니라】
傳習리 다 法性ㅅ 經을 아라 제 宗ㅅ 들 일워 셰니라 【法性宗이 頓이 이시며 漸이 잇니 漸宗 브툰 주009)
브툰:
븥-(붙다, 의거하다) + -운[관형사형 어미].
經은 이 法華 涅槃 等 第四五時 中에 니샨 法性ㅅ 實理니 이 始敎 뫼호시논 밀 주010)
밀:
(마침, 마지막) + -일.
일후미 終敎ㅣ오 頓宗 브툰 經은 이 華嚴 圓覺ㅅ 類니 三時 五時예 븓디 아니야 眞性ㅅ 常住 理 다 니시니라 그 破相

원각경언해 상1의1:37ㄴ

宗 브툰 經은 이 第二時옛 空敎ㅅ 般若 等이오 그 法相宗 브툰 經은 이 第三時 中ㅅ 四十年 前엣 解深密 等이니 이제 後엣 무릐 주011)
무릐:
물(무리) + -의.
傳習리 시혹 닐오 唯識이 華嚴 等 六經을 브터 짓다 며 시혹 涅槃 等엣 다 佛性 잇니라 샨 等理 주012)
혀:
혀-(끌다, 인용하다) + -어.
空宗ㅅ 들 證야 일우니라 주013)
일우니라:
일-(이루다) + -우-[사동의 접미사] + -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둘이 다 점교의 처음이니 곧 계현과 지광과 두 논사가 각각 한 경전을 의거하여 삼시교를 세워 서로 헐어 비방하거늘 【계현은 심밀경 등의 경전과 유가론 등의 이론에 의거하여 세 가지의 가르침을 세워 법상 대승으로 요의를 삼으니 이르기를, 부처께서 처음 녹원에 사제 법륜을 옮기시어 많은 유위법이 인연하여 나서 자아 없음을 말하시나, 오히려 법이 자아 없는 이치를 말하지 아니하시니 곧 아함 등이 이것이라. 제2시 중에 비록 편계 소집을 의거하여 여러 법의 공을 말하시나, 그러나 의타와 원성에 오히려 유를 말하지 아니하시니 곧 제부 반야이라. 제3은 삼성과 삼무성 등을 갖추어 말하셔야 비로소 대승 정리를 다하시니 곧 해심밀 등이라. 지광은 반야경 등의 경전과 중관론 등의 이론을 의지하여 또 세 가르침을 세워 무상대승으로 진실의 요의를 삼으니 이르기를, 부처께서 처음 녹원에서 소승을 말하시어 심과 경이 다 있음을 말하시고, 다음으로 법상 대승의 경이 공하고 심이 있음을 말하시고, 후에 상근을 위하시어 무상 대승의 심경이 다 공하여 평등 일미를 이르시다 하니라.】 전습하는 이가 다 법성의 경전을 알아 제 종의 뜻을 이루어 세우니라. 【법성종이 돈이 있으며 점이 있으니, 점종에 의거한 경전은 이 법화, 열반 등 제45시 중에 말하신 법성의 실리니, 이는 시교를 모으시는 마지막이므로 이름이 종교이요, 돈종에 의거한 경전은 이 화엄, 원각의 종류이니 3시와 5시에 의거하지 아니하여 진성의 상주한 이치를 다 이르시니라. 그 파상종에 의거한 경전은 이 제2시의 공교의 반야 등이요, 그 법상종에 의거한 경전은 이 제3시 중의 40년 전의 해심밀 등이니, 이제 뒤의 무리의 전습하는 이가 혹은 말하기를, 유식이 화엄 등 육경을 의거하여 지었다 하며 혹은 열반 등에 다 불성이 있느니라 하신 등의 이치를 인용하여 공종의 뜻을 증명하여 이루게 하니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처미니:처(처음) + -이니.
주002)
허러:헐-(헐다, 파괴하다) + -어.
주003)
할아:할-(헐뜯다, 비방하다) + -아[원인의 연결 어미].
주004)
닐오:니르-/니-(말하다) + -오-[삽입 모음] + -[양보의 연결 어미].
주005)
업수믈:없- + -움 + -을.
주006)
:오히려, 아직도.
주007)
니샤:니-(말하다) + -시- + -아앞선 동작 양태의 연결 어미] + -[특수 의미의 보조사].
주008)
버거:다음으로, 버금으로.
주009)
브툰:븥-(붙다, 의거하다) + -운[관형사형 어미].
주010)
밀:(마침, 마지막) + -일.
주011)
무릐:물(무리) + -의.
주012)
혀:혀-(끌다, 인용하다) + -어.
주013)
일우니라:일-(이루다) + -우-[사동의 접미사] + -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